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현대 정신철학 입문  이미지

현대 정신철학 입문
개념과 쟁점
북캠퍼스 | 부모님 | 2025.07.21
  • 정가
  • 16,800원
  • 판매가
  • 15,120원 (10% 할인)
  • S포인트
  • 840P (5% 적립)
  • 상세정보
  • 12x18.8 | 0.228Kg | 228p
  • ISBN
  • 979118857126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현대 정신철학의 핵심 쟁점들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본격 입문서. 저자 알베르트 네벤은 독일 보훔루르대학의 철학자이자 인지과학자로, 철학적 탐구에 최신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을 접목하여 정신의 본질을 탐색한다.

우리는 매일 감각하고 정서를 느끼며 사유하고 결정을 내리는 존재다. 하지만 이처럼 자명해 보이는 정신의 작동 방식은 과학과 철학의 두 축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이 책은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의 교차점에서 ‘정신이란 무엇인가’라는 고전적 물음을 다시 제기하며, 우리가 경험하는 의식과 정서, 사고와 자유의지에 대해 오늘날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다.

  출판사 리뷰

의식, 정서, 자유의지… 현대 정신철학의 핵심을 해부하다
철학과 과학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인간 정신의 본질을 탐구하는 안내서

현대 정신철학의 핵심 쟁점들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본격 입문서 《현대 정신철학 입문》이 출간되었다. 저자 알베르트 네벤은 독일 보훔루르대학의 철학자이자 인지과학자로, 철학적 탐구에 최신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을 접목하여 정신의 본질을 탐색한다. 우리는 매일 감각하고 정서를 느끼며 사유하고 결정을 내리는 존재다. 하지만 이처럼 자명해 보이는 정신의 작동 방식은 과학과 철학의 두 축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이 책은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의 교차점에서 ‘정신이란 무엇인가’라는 고전적 물음을 다시 제기하며, 우리가 경험하는 의식과 정서, 사고와 자유의지에 대해 오늘날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다. 저자는 철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인지과학 전반의 성과를 폭넓게 반영하여, 정신 현상을 단일한 틀이 아닌 융합적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고전 이론인 이원론, 동일성 이론, 기능주의, 수반 이론뿐 아니라 감각질과 설명적 간극, 결정론과 자유의지 논쟁까지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각 이론의 배경과 논리, 철학적 함의를 빼놓지 않고 소개한다. 단순한 개념 해설을 넘어 독자 스스로 사유의 방향을 설정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철학 전공자는 물론, 인간 정신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유익한 안내서이자 철학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의식이 되는가

이 책은 ‘정신 현상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출발한다. 지각, 감정, 고통, 소망, 기억 등은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현상이지만, 철학적으로 그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분류하는 일은 쉽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신이 ‘뇌의 작용’이라거나 ‘마음의 상태’라고 쉽게 말하지만, 이러한 직관은 실질적 설명이 되지 못한다. 저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여기는 정신 현상을 철학적 개념 도구를 활용해 점검하며, 그것이 단순한 내면 체험이 아니라 설명 가능한 구조와 원인을 갖춘 현상임을 밝힌다.

인간 정신을 설명하는 철학의 도전들

이 책은 정신과 물질의 관계, 의식의 성질, 자유의지의 가능성 등 철학이 오랫동안 씨름해온 핵심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먼저 실체 이원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정신과 신체를 별개로 보는 전통적 관점이 인과적 설명에서 어떤 문제를 불러오는지 분석한다. 이어서 수반 이론, 심신 평행론, 부수 현상 이론 등 현대 자연주의 관점에서 제시된 다양한 해법을 검토하며, 정신을 물리적 세계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를 소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은 감각질 같은 주관적 경험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난점을 드러낸다. 일례로 기능주의는 정신 상태를 기능적 역할로 정의하면서 감각의 질적 측면을 놓치고 있으며, 이는 의식 철학에서 ‘어려운 문제’로 불리는 핵심 쟁점으로 남아 있다. 저자는 이처럼 설명의 한계에 맞닥뜨린 지점에서 자유의지 논쟁을 다룬다. 인간은 과연 결정론적 우주 안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대안으로 저자는 양립불가론과 양립가능론의 입장을 상세히 비교하며, 자유를 단순한 선택이 아닌 자기 이해와 책임의 문제로 재정의하려는 철학적 도전을 감행한다. 이처럼 이 책은 인간 정신에 대한 철학적 해명의 스펙트럼을 촘촘하게 펼쳐 보이며, 단순한 이론 소개를 넘어 사유의 깊이를 확장하도록 이끈다.

철학과 과학, 정신을 해석하는 두 언어

정신철학은 이제 철학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심리학은 감정과 동기의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신경과학은 의식과 기억의 생물학적 기반을 해명하며, 인지과학은 지각과 판단을 기능적으로 모델링한다. 인공지능 연구는 인간과 유사한 인지 기능을 재현하려 하고, 언어학은 생각과 언어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이 책은 이러한 다양한 접근을 철학적으로 조율하면서, 인간 정신을 둘러싼 현대 학문의 지형도를 섬세하게 그려낸다. 또한 철학과 과학, 두 흐름이 충돌하고 교차하는 지점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단일 이론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정신의 복합성과 그 해명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요컨대 철학은 인간 정신의 핵심 개념들을 날카롭게 정의하고, 과학은 그것들을 실험과 모델로 분석한다. 정서는 신체 반응에 그치지 않고, 환경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행동 유도를 포함한 다층적 구조를 지니며, 의식은 단순한 각성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지각과 자아에 대한 반성을 수반하는 고차원적 현상이다. 그리고 자유의지는 인과적 제약과 자율성의 조건을 둘러싼 논쟁 속에서 결정론과 양립 가능한지를 헤아려야 하는 문제다.

이 책은 철학의 오래된 질문에 답하기 위한 이론들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 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현대 철학의 치열한 탐구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과학과 철학이 서로를 비추는 방식, 이론과 경험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드러나는 사고의 가능성은 독자 스스로 깊이 있는 사유를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넓혀가도록 만든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얼마나 자유로운가, 의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러한 물음 앞에 서 있는 이들에게 이 책은 한층 깊고 넓은 사유의 문을 열어줄 것이다. 정신의 작동 원리를 탐색하는 이 철학적 여정은 이제 독자의 몫으로 활짝 열려 있다.

정신 현상은 다채로운 일상 경험의 한 묶음이다. 지각, 감정, 고통, 소망, 신념, 희망, 생각, 기억뿐만 아니라 성격적 행동 경향도 이에 속한다.

우리는 정신 현상과 물리 현상 사이의 관계를 밝히려는 이 열린 도전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일반 이론이 마련된다면, 소망이나 신념과 같은 일상심리학적 현상들을 과학 이론의 체계 안에 포함하여 적절히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향성 개념에서 핵심은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각 단계가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정확하게 구분되는지가 아니다. 앞으로 발달심리학의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와 단계 모델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더라도 이는 결정적인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지각,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지향성을 무언가를 향하는 특성으로 보는 관점의 변화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알베르트 네벤
독일 보훔루르대학 정신철학 교수. 철학자이자 인지과학자로, 정신적 표상, 정서, 자아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알베르트루트비히대학과 빌레펠트대학에서 철학, 심리학, 정신과학을 공부했다. 튀빙겐대학을 거쳐 2007년부터 보훔루르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마음 읽기: 마음과 자기 관점 이론의 신경 매커니즘Mind reading: neural mechanisms of theory of mind and self-perspective”(2001) 《옥스퍼드 핸드북: 4E 인지The Oxford Handbook of 4E Cognition》(공저, 2018) 《맥락, 지시와 의미: 단수 용어의 의미론Kontext, Referenz und Bedeutung: eine Bedeutungstheorie singularer Terme》(1994, 1996) 등이 있다.

  목차

서문

1. 정신 현상이란 무엇인가?

1.1 정신 현상의 다양성
1.2 정신: 일반적 특징 부재
1.3 정신 현상과 물질 현상의 관계

2. 심신 문제에 관한 주요 견해

2.1 이원론
2.2 자연주의의 형태

3. 현대 정신철학의 기본 개념

3.1 지향성
3.2 정신적 표상
3.3 정신의 전형: 체화된 정신
3.4 지각과 행동의 상호작용 모델

4. 현대 정신철학을 위한 주요 적용 분야

4.1 의식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
4.2 자연주의적 전형 내에서 의식 논쟁

5. 정서

5.1 정서에 관한 기본 이론
5.2 정서의 분류
5.3 정서의 기능

6. 자유의지 논쟁

6.1 출발점, 입장, 딜레마
6.2 자율 이론을 위한 그 밖의 적합성 조건
6.3 양립가능론의 자유의지에 관한 이론
6.4 조건부 자율성에 의한 자유의지
6.5 장본인 감각


참고문헌
찾아보기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