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머리말
제1장 서론: 한국인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과 민주주의 위기
I. 12.3 비상계엄과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
II. 전 세계와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 평가
1. V-Dem 민주주의 보고서 /2. IDEA 민주주의 보고서 /3. EIU의 민주주의 지수 보고서 /4. 프리덤하우스 보고서
III. 사법의 정치화와 민주주의
IV. 책의 구성
제2장 한국인이 바라보는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I. 들어가며
II. 기존연구 검토
1. 포퓰리즘 개념과 민주주의 /2. 포퓰리즘 수요차원의 분석
III. 가설
1.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지지 /2. 포퓰리즘과 정치참여: 투표 참여와 사회운동 참여 /3.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의미: 절차/자유 vs. 성과/분배
IV. 연구방법
1. 사례설명 /2. 데이터 /3. 변수 측정
V. 분석 결과
VI. 토의 및 결론
제3장 한국인의 정치적·경제적 불만과 포퓰리즘 태도
I. 서론
II. 기존 연구의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 포퓰리즘과 포퓰리즘 태도 /2. 정치적 불만과 포퓰리즘 성향 /3. 경제적 불만과 포퓰리즘
III. 연구방법 및 자료
1. 종속변수: 포퓰리즘 태도 /2. 독립변수 /3. 통제변수
IV. 분석결과
1. 다중회귀분석 결과 /2. 예측력 분석
Ⅴ. 결론
제4장 한국 유권자의 지역정체성과 정서적 양극화
I. 들어가며
II. 정서적 양극화의 두 가지 접근법
III. 자료와 변수 조작
1. 지역정체성 /2. 영호남 지역감정 양극화 /3. 정서적 양극화 /4. 이념과 정책선호 /5. 정치 관여
IV. 회귀분석
V. 결론 및 함의
제5장 정서적 양극화의 시각에서 분석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왜 정서적 양극화인가?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III. 자료와 연구설계
IV. 분석 결과
1. 로짓모형 결과 /2. 민주당 후보와 미래통합당 후보 지지요인 비교
V. 결론: 정서적 양극화 논의의 시급성
제6장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태도
I. 서론
II.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1. 한국에서의 원자력 정책에 대한 논쟁과 환경 문제와의 연계성 /2.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태도 결정 요인과 환경 인식
III. 연구 설계
IV. 분석결과
1.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원자력 에너지 정책에 대한 태도 간 상관 관계 /2. 지지 정당에 따른 환경과 원자력 에너지 인식 간 상관관계 차이 분석
V. 결론
제7장 한국에서 세계시민주의와 국가 자부심의 관계와 그 정책적 함의
I. 서론
II. 기존연구 검토
1. 세계시민주의와 국가 자부심: 이론적 검토 /2. 국가 자부심과 세계시민주의의 상관관계 /3. 세계시민주의와 세계화: 세 가지 관점
III. 가설
IV. 자료 및 변수의 측정
1. 독립변수: 국가 자부심 /2. 종속변수 /3. 통제변수
V. 결과
VI. 토의
제8장 상생의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적 협의의 제도화: 사회적 협의기구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와 분석 틀
1. 선행연구 검토 /2. 분석 틀
III. 정부별 사회적 협의의 전개 과정과 특징
1. 사회적 협의기구의 변천 /2. 사회적 협의기구의 활동과 특징
IV. 정부별 정치구조 요인·행위자 요인의 효과
1. 김대중 정부의 사회적 협의 요인 /2. 노무현 정부의 사회적 협의 요인 /3. 이명박 정부의 사회적 협의 요인 /4. 박근혜 정부의 사회적 협의 요인
V. 결론
제9장 책임정치의 변화와 민주주의: 대통령-여당 호감도 격차와 중간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I. 문제제기: 2024년 총선과 차별화된 대통령-여당 선호의 부상
II. 중간선거와 상충적 유권자의 감정적 반응
1. 중간선거와 대통령 국정운영평가 /2. 상충적 유권자 이론과 감정지능이론의 접목 /3. 연구가설의 설정
III. 자료 및 분석 방법
IV. 경험적 분석: 상충적 태도에 따른 국정운영평가의 영향력 변화
1. 예비 분석 /2. 회귀분석: 대통령 국정운영평가와 대통령-여당 호감도 격차의 상호작용 분석
V. 결론: 대통령-여당에 대한 인식 분화의 정치적 함의
제10장 결론: 한국의 정치 양극화와 정치제도 개혁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