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여세실의 두 번째 시집 『화살기도』가 민음의 시 334번으로 출간되었다. 2023년 출간된 『휴일에 하는 용서』 이후 2년 만에 펴내는 신작 시집이다. 2021년 《현대문학》 신인 추천으로 등단한 여세실은, “오랜 훈련을 거친 사람의 내공”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증명하듯 등단 직후부터 ‘젊은 시’의 흐름을 형성하며 폭발적인 시작 활동을 펼쳐 왔다. 첫 시집에서 “그치지 않고 솟아나는 슬픔”을 바라던 젊은 시인은, 이제 ‘몸을 이곳에 있게 하는’ 삶의 기반으로 슬픔을 다루는 슬픔의 숙련공이 되어 있다.
『화살기도』에서 여세실의 언어는 잠을 자고, 밥을 먹고, 트림을 하고, 뛰고, 울고 웃는 몸을 통해 발산된다. 살아 있는 동안은 몸 바깥으로 나갈 수 없듯, “슬픔 밖의 끝장”에도 여전히 슬픔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시인은 이제 슬픔에 집을 짓고 산다. 계란말이를 정갈히 자르고 너비아니를 구워 꼭꼭 씹어 먹는 생의 감각은, 슬픔으로 이주한 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는 일상의 단면을 포착한다.
출판사 리뷰
여세실의 두 번째 시집 『화살기도』가 민음의 시 334번으로 출간되었다. 2023년 출간된 『휴일에 하는 용서』 이후 2년 만에 펴내는 신작 시집이다. 2021년 《현대문학》 신인 추천으로 등단한 여세실은, “오랜 훈련을 거친 사람의 내공”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증명하듯 등단 직후부터 ‘젊은 시’의 흐름을 형성하며 폭발적인 시작 활동을 펼쳐 왔다. 첫 시집에서 “그치지 않고 솟아나는 슬픔”을 바라던 젊은 시인은, 이제 ‘몸을 이곳에 있게 하는’ 삶의 기반으로 슬픔을 다루는 슬픔의 숙련공이 되어 있다.
『화살기도』에서 여세실의 언어는 잠을 자고, 밥을 먹고, 트림을 하고, 뛰고, 울고 웃는 몸을 통해 발산된다. 살아 있는 동안은 몸 바깥으로 나갈 수 없듯, “슬픔 밖의 끝장”에도 여전히 슬픔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시인은 이제 슬픔에 집을 짓고 산다. 계란말이를 정갈히 자르고 너비아니를 구워 꼭꼭 씹어 먹는 생의 감각은, 슬픔으로 이주한 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는 일상의 단면을 포착한다.
하여 여세실의 슬픔은 생활 속의 작은 기쁨들로 채워진다. 다음 생으로 건너간 이의 환생을 짐작하고 그들의 습관을 자신의 몸에 장착하면서, 주어진 삶을 한 톨도 남김없이 끝까지 살리라 결심한다. 이 시집은 상실 직후에 휘몰아치는 분노와 우울의 터널을 지나, 슬픔이라는 타향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의 기록이다. 그곳에서는 상처를 지울 필요가 없고, 무감해지기 위해 애쓸 필요도 없다. 오히려 ‘더 크게 웃고 더 왕창 울어야’ 하는 곳에서 슬픔은 명랑하게 빛난다. 길고 긴 애도를 끝맺지 못해 괴롭다면, 어서 극복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린다면, 『화살기도』는 삶의 자리로서의 슬픔을 찾는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 만물의 기도
가지 말래도 가 보아야 한다
하지 말래도 해 보아야 한다
겪지 말래도
몸소
낱낱이
모조리
쓴 것
쓰인 것
앓아 보아야 한다
―「만종」에서
장시 「만종」은 온갖 것들의 기도가 넘실대는 시편이다. 유실물 보관함, 깨끔발, 양봉꾼, 바보와 얼간이, 불침번, 침묵, 시인, 미궁, 철, 맏이, 틈, 지붕, 흑연, 시, 망태기, 옻……. 여세실의 시는 빳빳하게 다려진 원형(原型)의 언어가 아닌, 모두의 입에 오르내려서 이리저리 뭉그러지고 찌그러진 말의 맛을 전한다. 이는 시집 전체를 관통하는 여세실만의 미학이다. 절제된 달변으로는 번역할 수 없는 토속적이고 폭발적인 말들은, 그가 차용하고 있는 화살기도의 형식에 맞춤한다. 보통의 기도가 상실과 결핍의 자리에서 벗어나기를 갈구한다면, 여세실의 화살기도-시는 잃은 것을 더 잃기를, 완전히 허물어지기를 바란다. “나의 무너짐이 집이 되게 하세요”라는 기도에는 생의 굴곡을 겸허히 받아들인 자의 지혜와 강단이 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화살기도』에는 절기가 있고 삶의 생장이 있으며, 그로부터 촉발되는 리듬이 있다. 아래로 꺼질 땐 몸을 더욱 낮추고 가벼이 떠오를 땐 평화를 즐기는 이의 자연스러운 리듬은, 추락이 두려워 뻣뻣하게 굳은 우리의 등을 톡 친다. 빙빙, 입에 착 붙는 말맛으로 독자들을 어르고 달랜다. 계절의 변화가 우리의 소관이 아니듯, 상실과 평안 또한 오고 가도록 내버려두라고. 그 모든 것을 몸소 경험해 보아야만 절기를 알고 철이 들 것이라고.
■ 남은 자의 기도
내 곁을 스쳐 지나가는 아이의 얼굴, 노인의 보폭, 나뭇잎의 사그라짐을 본다. 그것들 모두 너의 환생이라고 생각하면 걸음이 가뿐해진다. (……) 빙빙 너는 떠나고 너의 습관은 내게 남아 여전히 살아간다. 짝. 짝. 짝. 짝. 짝. 사랑함으로, 더 바짝 껴안음으로, 그리고 그보다 더 가벼이 떠나보냄으로, 더 가뿐히 미래를 일궈 내는 힘으로. 너는 이곳에 있구나.
―「타향」에서
『화살기도』 곳곳에는 사랑하는 이를 영영 떠나보내고 그 이후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눈에 띈다. 「타향」의 ‘나’는 이생에 없는 ‘너’의 습관과 기쁨과 절망을 고스란히 물려받아 현재의 삶을 꾸려 가고 있으며, 「숙련공」의 ‘나’는 돌아가신 할머니의 새치 한 가닥과 한집에서 산다. 여세실은 상실에 얽힌 마음을 서사로 설명하려 하지 않는다. 그저 현실에서 마주하는 장면 하나하나에 온전히 감응하는 방식으로 살아남은 사람의 마음이 어떠한지를 그려 낸다. 상실을 되짚는 행위는 삶을 과거형으로 만들지만, 여세실의 시는 허공을 가르는 화살처럼 온몸으로 ‘지금’이라는 순간을 산다. 그리하여 매일 숨 쉬고 살아가는 세상에서, 일상을 채우는 온갖 것들에서 떠난 ‘너’를 알아본다. 「타향」의 ‘너’는 우연히 마주친 아이의 얼굴이기도, 나뭇잎의 사그라짐이기도 하다. 우연과 찰나가 뒤섞여 만들어 내는 순간순간마다 그리운 이를 마주하는데, 생을 어떻게 허투루 낭비할 수 있을까. 슬픔의 숙련공으로서 여세실은 기도한다. “나를 슬픈 자의 발 앞에 두지 마시고, 그가 내가 되게 하세요”라고.
■ 작품 해설
삶의 지리멸렬한 반복을 사랑할 수는 없더라도, 삶에서 만난 것들과 함께 걸어가 보는 것. 때로 걸음을 멈추고, 돌아서고, 버림받고, 잃어버리고, 붕괴되고, 질문하고, 홀로 남아 있는 것.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성찰하고 받아들이며 상처와 번민 속에서도 총총히 다시 나아가는 것. 여세실은 모두가 다른 이야기를 쓰며 각자 걷고 있는 삶의 여정을,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이라도 우리가 이미 함께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반복되는 삶에서, 불완전하고 취약한 한 인간으로서 여세실은 다른 차원의 반복을 만들어 낸다. 시들어 죽었다가도 어느새 ‘활짝’ 피어나는 기도-시라는 이름의 반복. 여세실은 더 많이 사랑하게 해 달라는 기도를 반어의 언어로 반복하고, 번복하고, 다시 반복한다. (……) 여세실이 털어놓은 이 내밀한 이야기들이 적잖은 맥락에서 우리 자신의 이야기로 들리는 것은 왜일까. 그녀가 이 두툼한 시집 전체에 걸쳐 끊임없이 반복하는 이 질문 때문이 아닐까. 존재의 타향에서 당신, 편안히 숨 쉬고 마음껏 말하고 사랑하며 온전히 살아 있습니까? 덧붙이건대 타향이야말로 존재가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기에 가장 좋은 장소가 아니겠는가.
─김수이(문학평론가)
슬픔이라면 기어코 연장하겠습니다 외로움에 불필요한 요소라면 찬성입니다
어디까지나
피를 혈이라 부르고 얼굴을 면이라 쓰고 나면 내가 서 있는 부엌이 굴속이 되고
내가 깨뜨린 게 사람으로 둔갑한 거품이라고
거품으로 변장한 옥상이라고
난간으로 둔갑한 너의 기도 끝에 선다
얼마든지
―「화살기도」에서
울먹거리는 나를 보고 지나가는 노인이
한마디를 거들었다
드디어 혼자가 되었구나
간절히 바라던 일이 모두
이루어지고 난 뒤에
텅 비어 버린 겨울나무
손바닥에 손금을 짚어 보며
더 이상 아무것도 바랄 것이 없다는 게
그럼에도 이렇게 기다랗게
생명선이 이어져 있다는 게
―「을의 기쁨」에서
여섯 살에 여섯 살을 살지 못하면 언젠가 꼭 다시 그 나이를 살게 된다
그 누구의 목소리도 듣고 싶지 않아서 모두의 얼굴을 밝게 켜둔 채 잠에 드는 애
(……) 나를 닮은 것들은 눈이 너무 많고 손바닥이 축축합니다 누구도 시로 쓸 수 없는 착한 사람이 되려다가 거의 모든 시에 쓰인 유령이 되었습니다 과연 내가 좋은 사람일까요?
―「주머니가 많은 옷」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여세실
1997년 경기 안양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21년 《현대문학》 신인 추천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휴일에 하는 용서』가 있다.
목차
1부
세필세작(細筆細雀) 13
솔의 눈 14
예지의 말 18
만종 19
아침기도 34
화살기도 35
모래 주먹밥 38
2박 3일 39
눈으로만 봐 주세요 43
휴면 계정 45
이웃집에 토끼가 산다 48
회전무대 50
발성 52
칼날 54
트릭 55
을의 기쁨 58
사바아사나 65
보편지향기도 68
리버서블 69
타향 70
2부
돌 77
풍선껌 79
소금 정원 82
나무말미 84
방학 숙제 85
높은음자리표 88
기쁘다 90
바자회 92
단순한 우연 95
친구 98
림보 대회 101
분실물 보관함 104
내가 아니어도 되는 일 109
주머니가 없는 옷 110
주머니가 많은 옷 112
숙련공 114
조경 122
비굴할 때는 비굴한 채로 124
3부
청포묵 먹는 날 129
춘하추동 130
손이 많이 가는 스타일 133
나무는 나무이기를 그만두고 지붕은 지붕이기를 멈추며 138
정각에 오는 슬픔 140
낮과 밤 142
외가 144
수취 146
배합물 148
성실한 사람들 150
상냥한 사람들이 키운 텃밭 153
혼자를 위한 숲 154
할 수 있는 일 157
쌀통에 쌀을 쏟으면 소나기 오는 소리가 들린다 160
야행 162
솜 164
숫눈은 떠나간 발자국만을 드러내지만 빗물은 뺨 위에 지문을 띄워 주니까 166
작품 해설–김수이(문학평론가)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