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운영
'학생들에게는 국어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최고의 책, 선생님들에겐 알찬 수업이 되게 하는 최적의 학습 도구'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20여 년간 국어 학습서 문제집을 집필하고 제작하여왔다.매년 10만 이상의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던 <꿈틀 국어 상.하>를 비롯하여 <모든 것 시리즈>, <첫 수능 시리즈>, <심쿵 명강 시리즈>, <국어는 꿈틀 시리즈>, <완성 시리즈>, <문학 비책> 등이 초심을 지키며 만들어낸 결과물로 학생들과 선생님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교재 집필을 하며 도움과 관심이 필요한 곳을 찾아 사회 환원 활동을 하자는 뜻을 함께한 공동 집필자들을 만난 것은 인생의 기쁨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마음이 모여 집필을 하였기 때문에 더 좋은 책을 만들 수 있지 않았나 싶다.<밥비><밥어휘력><밥문학><밥문법 어휘><예비 밥시리즈>는 매일매일 개별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학습 플랜>을 짜고 [제대로 독해법]과 [제대로 풀이법]으로 기출을 학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능 국어가 유형화된 지문과 문제를 정해진 시간에 정확히 독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쪽으로 변화하여 왔기 때문에 <밥 시리즈>는 변화된 수능 국어에 가장 알맞은 수능 기출 학습 교재라고 할 수 있다.앞으로도 학생들과 선생님들에게 꼭 필요한 교재를 만드는 일에 초심을 지키며 힘을 다해나갈 것이다.
Ⅰ 운문 1
<고전 시가>
01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 · 구지가(구간 등) · 황조가(유리왕)
02 찬기파랑가(충담사) · 제망매가(월명사)
03 추야우중(최치원) · 제가야산독서당(최치원) ·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04 가시리(작자 미상) · 서경별곡(작자 미상)
05 동동(작자 미상)
06 정석가(작자 미상)
07 청산별곡(작자 미상)
08 한림별곡(한림 제유)
09 송인(정지상) · 사리화(이제현) · 부벽루(이색)
10 ᄒᆞᆫ 손에 막ᄃᆡ 잡고(우탁) · 이화에 월백ᄒᆞ고(이조년) · 구룸이 무심ᄐᆞᆫ 말이(이존오)
11 용비어천가(정인지 외)
12 강촌(두보) · 절구(두보)
13 나 태어나(김시습) ·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이달)
14 수양산 ᄇᆞ라보며(성삼문) · 방 안에 켜 있는 촉불(이개) · 어뎌 ᄂᆡ 일이여(황진이) ·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
15 오백 년 도읍지를(길재) · 눈 맞아 휘어진 대를(원천석) · 묏버들 갈ᄒᆡ 것거(홍랑)
16 강호사시가(맹사성)
17 도산십이곡(이황)
18 상춘곡(정극인)
19 사미인곡(정철)
20 속미인곡(정철)
21 규원가(허난설헌)
22 절명시(황현)
23 논밭 갈아 김매고(작자 미상) · 님이 오마 하거늘(작자 미상) · 귓도리 저 귓도리(작자 미상)
24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작자 미상) ·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작자 미상) ·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작자 미상)
25 한숨아 세한숨아(작자 미상) · 매화 옛 등걸에(매화) · 봄이 왔다 ᄒᆞ되(신흠)
26 집방석 내지 마라(한호) · 국화야 너는 어이(이정보) · 어이 못 오던가(작자 미상)
27 만흥(윤선도)
28 어부사시사(윤선도)
29 누항사(박인로)
30 일동장유가(김인겸)
31 정선 아리랑(작자 미상)
Ⅱ 운문 2
<현대시>
01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02 향수(정지용)
03 접동새(김소월) · 산유화(김소월)
04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05 님의 침묵(한용운) · 알 수 없어요(한용운)
06 거울(이상)
07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 독을 차고(김영랑)
08 고향 앞에서(오장환)
09 절정(이육사) · 교목(이육사) · 그날이 오면(심훈)
10 흰 바람벽이 있어(백석)
11 쉽게 씌어진 시(윤동주)
12 자화상(윤동주) · 참회록(윤동주)
13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백석)
14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김수영)
15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16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신동엽)
17 농무(신경림) · 벼(이성부)
18 목계 장터(신경림)
19 저 산이 날더러 - 목월 시 운을 빌려(정희성)
20 나(김광규)
21 납작납작 - 박수근 화법을 위하여(김혜순) · 우리 동네 구자명 씨(고정희)
22 성에꽃(최두석)
23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이문재)
24 첫사랑(고재종)
25 눈물은 왜 짠가(함민복)
Ⅲ 산문 1
<고전 소설>
01 만복사저포기(김시습)
02 이생규장전(김시습)
03 홍길동전(허균)
04 최척전(조위한)
05 운영전(작자 미상)
06 박씨전(작자 미상)
07 구운몽(김만중)
08 사씨남정기(김만중)
09 숙향전(작자 미상)
10 임진록(작자 미상)
11 홍계월전(작자 미상)
12 유충렬전(작자 미상)
13 임경업전(작자 미상)
14 주생전(권필)
15 춘향전(작자 미상)
16 흥부전(작자 미상)
17 장끼전(작자 미상)
18 광문자전(박지원)
Ⅳ 산문 2
<현대 소설>
01 만세전(염상섭)
02 고향(현진건)
03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박태원)
04 날개(이상)
05 동백꽃(김유정)
06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07 복덕방(이태준)
08 천변풍경(박태원)
09 태평천하(채만식)
10 미스터 방(채만식)
11 역마(김동리)
12 비 오는 날(손창섭)
13 흐르는 북(최일남)
14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양귀자)
15 다음에, 나머지 반도(성석제)
16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성석제)
17 사평역(임철우)
18 병신과 머저리(이청준)
19 엄마의 말뚝 2(박완서)
20 해산 바가지(박완서)
21 도도한 생활(김애란)
22 외딴 방(신경숙)
23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김초엽)
24 늙으신 어머니의 향기(문순태)
Ⅴ 산문 3
<수필, 극, 설화, 가전, 판소리>
01 권태(이상)
02 파초(이태준)
03 뒤지가 진적(이희승)
04 나무(이양하)
05 무소유(법정)
06 동승(함세덕)
07 파수꾼(이강백)
08 오발탄(이범선 원작 / 나소운, 이종기 각색)
09 단군 신화(작자 미상)
10 주몽 신화(작자 미상)
11 바리데기(작자 미상)
12 공방전(임춘)
13 이옥설(이규보)
14 슬견설(이규보)
15 주옹설(권근)
16 조침문(유씨 부인)
17 통곡할 만한 자리(박지원)
18 서포만필(김만중)
19 양주 별산대놀이(작자 미상)
20 하회 별신굿 탈놀이(작자 미상)
21 심청가(작자 미상)
22 수궁가(작자 미상)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