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승일
1955년 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한 후, 대만(국립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1987년])과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1992년])에서 유학했다.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국민대와 동아대 교수 등을 거쳐 현재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中國革命の起源(일어판)』 등 30여 권, 역서로는 『모택동선집』 『등소평문선』 『한중관계사』 등 200여 권이 있고, 논문으로는 한중일 비교문화사 및 중국사회경제사 관련 150여 편이 있다. 2012년에 중국정부로부터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는 중국국무원신문판공실 해외자문위원(명예이사)으로 선정되었다. 2017년에는 중국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의 “실크로드의 책 향기” 공정 제1기 “외국인이 쓰는 중국” 프로젝트의 출판 지원 대상으로 자서 『한국인도 모르고 중국인도 모르는 한중우호교류사(『我眼中的韓中關係)』라는 제목으로 중국인민대학출판사에서 2018년에 출판됨)가 선정되었고, 2018년에는 동 프로젝트를 주관하는 비서처로부터 창작상을 수상하였으며, 2019년에는 중국도서수출입총공사로부터 국제출판전문가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Ⅰ 시스템
· 10C 당송교체기, 동아시아 고대 교류시스템의 해체
- 발해의 건국과 장보고의 활동 배경 분석을 중심으로 -
· 17C 명청교체기, 동아시아 근세 교류시스템의 새로운 전개
- 무역과 연계시스템을 중심으로 -
· 19C 청일전쟁 전후, 동아시아 전통 교류시스템의 해체와 한중일의 대응
- 구질서에서 현대 질서로의 국제적 계기 -
Ⅱ 내재화
· 한중일의 성리학 수용과 자기화
· 한중일에 미친 출판문화교류의 영향과 교훈
· 한중일의 불교 수용과 성격의 변화
· 한중일 다보탑 신앙의 특징
Ⅲ 차별화
· 한중일의 유불(儒佛)사상 활용과 적용
· 한중일 지식계층의 반식민지론 성격
· 한중일의 순국(殉國) 관념
· 한중일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시각
마치는 말
한중일 역사인식 갈등의 해소를 위한 제언
- 역사 교과서 기술의 문제와 극복 -
후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