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장인용
성균관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 역사연구소에서 중국미술사를 공부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에 다닐 때부터 출판 일을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 도록을 여러 권 만들었다. ≪중국미술사≫를 우리말로 옮겼고 앞으로도 미술 분야에 관한 글을 쓰고자 한다. 그동안 쓴 책으로 ≪고전 vs 고전≫, ≪세상이 보이는 한자≫ ≪동양화는 왜 문인화가 되었을까≫, ≪세상을 바꾼 씨앗≫, ≪주나라와 조선』 등이 있다.
동양화, 이것이 궁금하다: 이 책을 보면 알게 되는 것들
동양화를 이해하는 참 쉬운 방법: 이 책의 활용법
동양화가 보이는 동아시아사
1 동양화 : 우리의 그림, 낯설고 신비로운 세계
무엇이 동양화일까요?/ 동양화는 왜 우리에게 낯설까요?/ 동양화는 어렵다?/ 문인화가 특히 난해해 보이는 이유/ 한번 바뀌면 되돌아가지 않는 예술/ 동양화는 서양화와 무엇이 다를까요?/ 다르지만 비슷한 서양화와 동양화/ 동양화의 계보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동양화의 다양한 형식
2 인물화 : 실용적인 그림, 계급과 지위를 드러내다
필요해서 그린 그림/ 주인공을 가운데로/ 크게 그린 사람이 주인공/ 정면보다 측면이 특징을 잘 드러낸다/ 쇠락하는 초상화/ 근엄한 초상화, 개성 넘치는 초상화/ 인물화가 미녀를 만나 예술이 되다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양화의 선과 채색
3 화조화 : 감상하는 그림, 예술의 경지에 들어서다
순수한 예술을 향해/ 엄숙한 장식이 즐거운 감상으로/ 황제를 위해 그린 화조화/ 그림도 잘 그리는 황제/ 동양화, 드디어 시와 만나다/ 새로운 기법, 다양한 관점/ 모든 생명에 화가를 투영하다/ 산수화의 일부였던 조선 초·중기의 화조화/ 독립된 화풍을 개척한 조선 후기의 화조화/ 화조화의 발전과 쇠퇴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화조화의 소재들
4 산수화 : 압도하는 그림, 동양화의 정점에 오르다
병풍의 장식으로부터/ 난세에 숨어 그린 그림/ 황량한 겨울 풍경으로 드러낸 망국의 한/ 대자연 속의 인간/ 여러 시점을 한 폭의 그림 속에/ 새로운 기법, 신선한 탐구/ 구도의 변화, 산을 한쪽으로/ 주제를 강조하게 된 여백/ 문학과 더 가까이, 예술의 경지로/ 기록으로만 존재하는 고려의 산수화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산수화의 시점과 표현법
5 문인화 : 영혼이 그린 그림, 점과 선은 정신이다
사라진 직업 화가들/ 시가 먼저, 그림은 거드는 것/ 정으로 주고받는 그림/ 기교를 뺀 추상적인 예술로/ 사색하듯 오래, 절제해 그린다/ 꿈틀거리는 능선 속 감춰진 욕망/ 마음의 눈으로 보고 그린 밤 풍경 /영혼을 불어넣어 찍는 점/ 생계를 위해 그린 비운의 문인화가들/ 비록 베꼈지만 붓질에는 정신이 깃든/ 그림 좀 그리는 조선의 선비들 / 모사와 추상의 한계를 넘다, 정선/ 지적 탐구로 보여준 독창적 멋, 강세황/ 유배지에서 이룩한 문인화의 절정, 김정희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문인화 속의 글과 시, 낙관
6 사군자 : 교양이 흐르는 그림, 품격이 먼저다
사군자는 문인들의 화조화/ 죽(대나무) 허공에 뻗은 잎으로 내면의 인격을/ 죽(대나무) 생동감 넘치는 해방된 자연/ 죽(대나무) 조선만의 기교와 혁신/ 난 숨어서 고고한 향기를 내뿜듯이/ 난 무더기씩 나누어 짜임새 있게/ 난 그림 때문에 유행한 조선의 난 키우기/ 매(매화) 멀리 가는 매화 향기처럼/매(매화) 괴짜가 그린 삐딱한 매화/ 매(매화) 조선 사대부의 지극한 매화 사랑/ 국(국화) 재능이 있어야 그릴 수 있었던/ 국(국화) 국화가 힘 있는 선을 만날 때/ 국(국화) 가을 국화 앞에 두고 술 한잔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먹을 쓰는 여러 가지 방법
7 풍속화 : 평범하되 비범한 그림, 파격의 눈으로 세상을 꿰뚫다
보통 사람을 그려야 풍속화다/ 송나라 사람 587명을 만날 수 있는 그림/ 밭 갈고 옷 짜는 모습을 그린 이유/ 조선의 문인들, 저속한 그림에서 아름다움을 찾다/ 윤두서, 몰락한 선비의 파격적인 실험/ 조영석, 세상을 꿰뚫어보는 세심한 눈/ 김홍도와 강세황, 천재와 그의 스승/ 사실은 김홍도가 그리지 않은 <씨름>/ 김득신, 이야기를 보는 듯 기발한/ 신윤복, 비뚤어진 마음을 드러내며/ 김준근, 외국인을 상대로 그림 장사를 했던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동양화의 제목은 누가, 어떻게 붙일까
8 민화 : 만인이 즐긴 그림, 가장 한국적인 것이 흐른다
민화는 백성의 그림일까/ 오직 왕을 위한 일월오봉도/ 부귀영화의 상징, 모란도/ 정조가 사랑한 그림, 책가도/ 양반의 허세와 개성, 문자도/ 가장 한국적인 그림, 호도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화: 그림의 소재가 상징하는 것들
저자 후기: 동양화 도슨트를 마치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