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취미,실용
병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병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
아주 작은 수고로 생애 최정점의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
북폴리오 | 부모님 | 2022.03.20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819Kg | 458p
  • ISBN
  • 979116841109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우리는 모두 살아가면서 다양한 질병에 걸릴 것이라는 ‘사실’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한 개인으로서 이에 대한 대처 방식을 제대로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질병의 본질이 무엇인지 개인과 인류 집단의 한 일원으로서 최대한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

바로 이것이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다. 그는 과거 의과대학교를 다니면서 질병 존재 의의에 대한 의학서의 해설을 보거나 강의를 들은 기억이 없었다. 대형 서점을 다니며 질병에 대해 서술한 다양한 국내외 교양서적을 뒤져봤지만, 질병의 본질을 고찰하고 이를 받아들여 최대한 건강하게 살아갈 방법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은 찾기 힘들었다. 결국 ‘직접 써보자’란 생각으로, 그야말로 의사로서 ‘영혼을 갈아 넣어’ 쓴 책이 《병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다.

이승훈 교수가 직접 실천하고 있는 예방법 및 치료법, 의료 통계 데이터와 최신 연구자료 에센스를 한 권에 망라한 책이다. 현대의학에서 증명 가능한 최대한의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일상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수준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정복이 불가능하다면, 길들여 공생하라!
<유 퀴즈 온 더 블럭> 역대급 화제를 모은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가 영혼을 갈아 쓴 책

“우리 모두가 병을 품고 있다. 다만 인식하지 못할 뿐”
도대체 병이란 뭘까? 길들여 공생하는 게 가능한 일일까?


‘코로나’란 단어에 지긋지긋함을 넘어 무덤덤해지기까지 할 무렵.
변종 바이러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치명률을 경험하면서 인류는 엔데믹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절멸이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어차피 우리의 선택지는 단 한 방향으로 흐를 수밖에 없었다.
‘컨트롤해보자.’
실제로 세계 각국은 막연한 공포감을 억누른 채, 풍토병으로서 코로나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통제와 의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단기성 이익보다,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할 ‘인류 발전’이라는 미래 이익이 크기 때문이다. 이 밉살스러운 녀석은 과연 십 년 후, 이십 년 후 우리에게 어떤 존재가 되어 있을까.

우리는 모두 살아가면서 다양한 질병에 걸릴 것이라는 ‘사실’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한 개인으로서 이에 대한 대처 방식을 제대로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질병의 본질이 무엇인지 개인과 인류 집단의 한 일원으로서 최대한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
바로 이것이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다. 그는 과거 의과대학교를 다니면서 질병 존재 의의에 대한 의학서의 해설을 보거나 강의를 들은 기억이 없었다. 대형 서점을 다니며 질병에 대해 서술한 다양한 국내외 교양서적을 뒤져봤지만, 질병의 본질을 고찰하고 이를 받아들여 최대한 건강하게 살아갈 방법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은 찾기 힘들었다. 결국 ‘직접 써보자’란 생각으로, 그야말로 의사로서 ‘영혼을 갈아 넣어’ 쓴 책이 《병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다.

“이 책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말하고 싶은 것은 병이 곧 우리의 적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우리는 병과 함께 살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점이다. 병을 가지고도 행복하게 사는 삶은 병을 대하는 사람의 태도가 얼마나 슬기로운지에 달려 있다. 우리는 모두 질병을 안고 살 수밖에 없는 생명체다.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자신의 몸을 위해 가장 적절한 태도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본문 중)

기필코 건강해야 할 중요한 날!
과연 최고의 몸 상태를 지켜낼 수 있을까?
내일의 건강을 미리 계획하는 ‘내 몸 최적화의 기술’


저자 이승훈 교수가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했을 당시 “건강을 챙기기 위한 교수님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이 있었다. 그의 답은 “약을 먹습니다”였고, 출연진과 스텝들은 물론 시청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를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해야 할 것을 하는 것,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안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부정확하고 얕은 지식을 바탕으로 한 ‘어설픈 짐작’이야말로 건강을 망치는 원인이라고 한다. 먹어야 할 약은 철저히 용량・용법을 지켜 먹고, 의학에 근거해 권고하는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검증 안 된 상업적・비의학적 지식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게 그가 말하는 건강의 정답이다.
《병을 무서워하지 않습니다》는 이승훈 교수가 직접 실천하고 있는 예방법 및 치료법, 의료 통계 데이터와 최신 연구자료 에센스를 한 권에 망라한 책이다. 현대의학에서 증명 가능한 최대한의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일상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수준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혈압의 놀라운 파워] 보통 심장의 분출 압력은 수은 혈압계를 기준으로 100~140mmHg정도로 표현한다. 쉽게 말해 액체 금속인 수은을 10~14센티미터가량 밀어 올리는 압력이라는 의미다. 수은의 비중이 13.6이니까 이를 물로 환산하면 물을 13.6~19.0미터로 밀어 올리는 압력이라는 뜻이 된다. 참고로 혈액은 비중이 1.053으로 물과 거의 같다. 만약 정말로 목 동맥이 깔끔하게 절단되는 사고가 벌어진다면 혈액이 13미터 이상 분수처럼 콸콸 솟구쳐 오르는 것이 영화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라는 뜻이다.
- PART 1 사람의 몸이란 무엇인가

[심방세동에 대해] 심인성 경색의 원인 중 한 가지인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원인이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흡연 등의 위험 요인을 조심하거나 평상시에 잘 치료하면 된다. 하지만 심방세동은 예방이 확실하다고 보기 힘들다. 노인에게서 발생하는 매우 흔한 부정맥의 유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즉 수명이 길어지면서 심방세동은 심근의 노화와 함께 자연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대표적으로 음주가 심방세동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하니 절주가 어느 정도 효과는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완전한 발생 예방을 기대할 정도는 아니다. 무엇보다 심방세동을 가진 환자가 자각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힘들다. 협심증처럼 가슴에 통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실신으로 발현하는 경우도 흔하지 않다.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결국 매년 정기적으로 심전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 PART 3 적어도 뇌졸중으로는 쓰러지지 않게 해줄게요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승훈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세닉스바이오테크 대표이사, (사)한국뇌졸중의학연구원 원장 및 뇌혈관대사이상질환학회 회장을 겸직하고 있다. 의학자로서 뇌졸중의 기초와 임상에 관한 200여 편의 국외 논문을 발표했으며, 대한신경과학회 향설학술상, 서울대학교 심호섭의학상, 유한의학상 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및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등을 수상했다. 이런 공로로 2014년 심장 및 뇌졸중 분야 세계 최고학회인 미국심장학회/미국뇌졸중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에서 석학회원(Fellow of AHA)으로 추대되었다. 또한, 최다 판매량의 의‧과학 전문 글로벌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의 뇌졸중 6권 교과서 시리즈, <뇌졸중 재발견(Stroke Revisited)>을 집필했다. <뇌졸중 재발견> 시리즈는 해외에서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아 1, 2권은 스프링거 네이처 판매량 상위 25%에 드는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이 교수는 2020년 여름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뇌졸중 및 신약개발에 대한 유쾌하고 자상한 설명으로 당시 프로그램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뇌졸중 환자를 진료하고, 본인이 2016년 설립한 ㈜세닉스바이오테크에서 나노자임 신약을 개발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목차

INTRO 감기에 걸려 휴학한다고?
감기에 걸려 휴학한다고? 17 | 질병이란 무엇인가? 20 | 약은 안 먹을래요, 영양제는 먹어도 되죠? 26 | 암 정복은 언제쯤? 30 | 수명 연장의 꿈 36

PART 1 사람의 몸이란 무엇인가
당신은 오장육부의 상태를 느끼고 사십니까? 45 | 인간 장기의 작동 원리: 호흡 53 | 인간 장기의 작동 원리: 순환 59 | 인간 장기의 작동 원리: 섭취, 소화, 흡수, 배설 69 | 인간 장기의 작동 원리: 대사의 중추, 간 77 | 인간 장기의 작동 원리: 뇌 89

PART 2 질병이란 무엇인가
이승훈 박사의 새로운 질병분류법 107

PART 3 적어도 뇌졸중으로는 쓰러지지 않게 해줄게요
뇌졸중은 무슨 뜻? 123 | 뇌졸중의 공포: 제대로 알고 무서워합시다 128 | 신경과와 뇌졸중이 뭐예요? 134 | 심근경색과 동일, 대혈관 죽상경화증 145 | 뇌에만 존재하는 질환, 소혈관 폐색 157 | 범인은 심장, 뇌는 피해자, 심인성 색전 172 | 미니뇌졸중? 그냥 전구증상 합시다 184 | 혈전이란? 아주 쉽게 이해해보기 192 | 가난과 고혈압이 만드는 뇌졸중: 뇌실질 출혈 199 | 시한폭탄 폭발: 지주막하 출혈 211 | 진단과 치료: 자가진단이 필요한가? 226 | 적어도 뇌졸중으로는 쓰러지지 않게 해줄게요 244

PART 4 암도 생명,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도대체 암이란 무엇이길래: 암도 생명? 275 | 전 세계 암의 발생 현황을 보면 발암물질을 이해할 수 있다 286 | 건강검진,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306

PART 5 당분간 절대로 아파서는 안 되는 상황!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생 일대의 상황을 준비 중인 분들께 329 | 감기란 무엇인가? 332 | 적어도 며칠간 감기는 안 걸리기 347 | 감기 바이러스로 코로나19를 이해할 수 있다 362 | 의대에서는 감기를 안 가르친다? 376

PART 6 마지막으로 독자들께 꼭 드리고 싶은 이야기
내 몸은 내가 제일 잘 안다 387 | 건기식의 가능성과 한계 396 | 약은 최대한 안 먹는 게 좋죠? 402 | 담배보다 전자담배가 낫나? 411 | 적절한 체중이란 보기 좋은 체중인가요, 건강에 좋은 체중인가요? 415 | 코로나19 백신은 뇌졸중 원인 맞나요? 425 | 과연 우리나라에 명의는 존재하는가? 435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