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희교
1962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푸단대학에서 중미관계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광운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사비평> 편집위원을 지냈고,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중미 관계가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과 아시아 민중의 성장이 국제관계에 미치는 연구를 주로 해 왔다. 한국의 중국인식에 대한 비평적인 글과 한국에서 소개되지 않은 중국의 탈식민주의적 역사에 대한 글을 주로 써 왔다. 지금은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에 관심이 많다.쓴 책으로는 대중서로 《안녕? 중국!》 《나를 찾는 46가지 질문》이 있고, 여럿이 함께 쓴 《역사 용어 바로 쓰기》가 있다. 중국과 홍콩에서도 함께 쓴 책을 여러 권 냈다. 옮긴 책으로 《현대중국을 찾아서(모두 2권)》와 《20세기 포토 다큐 세계사 1: 중국의 세기》가 있다.
책을 내면서
1부 함부로 말해도 되는 중국
1. 과연 산타가 사라졌을까?
2. 중국에도 산타는 왔다
3. 그 많은 특파원은 어디에 있었을까?
4. 함부로 말해도 되는 중국
2부 흔들리는 ‘전후체제’
1. 샌프란시스코체제의 구축
2. 봉쇄된 중국, 배제된 한반도
3. 키신저 시스템의 등장
4. 키신저 시스템의 위기
3부 한국 보수주의의 위기의식과 중국
1. 한국 보수주의의 위기
2.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의 충돌
3. 동북공정 사태, 다시 안보로
4. 사드, 한국 보수주의의 신냉전적 기획
5. 우한폐렴, 한국 보수주의의 유사인종주의적 기획
4부 짱깨주의의 탄생
1. 짱깨의 부활
2. 짱깨와 짱깨주의
3. 짱깨주의의 역사성: 타율적 근대, 미완의 중국관
5부 짱깨주의의 프레임I: 유사인종주의
1. 미개한 중국
2. 나쁜 중국
3. 중국이 문제다
4. 단 하나의 중국
6부 짱깨주의의 프레임I:I 신식민주의체제 옹호
1. 중국이 성공할 리 없다
2. 중국은 패권을 추구한다
3. 중국은 다시 한반도를 지배할 것이다
4. 미국 편에 서야 한다: 사라진 탈식민주의의 꿈
7부 짱깨주의의 프레임III: 자본의 문제를 중국의 문제로
1. 중국발 미세먼지
2. 중국이 제주를 집어삼킨다
3. 중국인 집주인
4. 쌍용차의 기술 유출
8부 짱깨주의의 프레임IV: 신냉전체제 구축
1. 군사굴기
2. 항행의 자유
3. 첩보기관 공자학당
4. 친중정권
9부 중국 담론의 유통경로
1. 중국 보도의 교과서: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2. 프레임의 근거지: 서방의 언론들
3. 짱깨주의의 표본실: 《환추스바오》
4. 사라진 진보적 중국 프레임
5. 진보적 담론 유통경로의 부재
10부 한국 언론의 짱깨주의적 보도 테크닉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석 달 동안
한국 언론에 나타난 중국 보도 분석
1. 사실 보도보다 분노와 혐오를 조장
2. 선입견이 담긴 감정적이고 부정적인 단어 사용
3. 중국인 몇 명이 한 일도 중국 전체의 문제로 보도
4. 중국이 잘한 일도 나쁜 점을 보도
5. 전 세계적 문제나 자연현상도 중국 탓
6. 미국의 행위는 국가전략의 문제,
중국의 행위는 도덕의 문제
7. 미국이 그렇다면 그런 것
8. 중국의 입장은 없거나 구색용
9. 일단 문제를 제기하고 결과에는 상관하지 않음
10. 한 언론의 보도를 거의 모든 언론이 반복 재생
11부 진보진영에서도 짱깨주의는 유통된다
1. 짱깨주의의 일상화
2. 진보주의자들도 함부로 말하는 중국
3. 사라진 전선, 부재한 진영
12부 한국 진보진영의 중국 담론
1. 실천적 중국 담론의 실종
2. 중국도 문제라는 프레임
3. 자유주의적 보편가치의 전유
4. 사회주의 중국 프레임
5. 사라진 평화체제 담론
13부 샌프란시스코체제의 위기
1. 미국 헤게모니의 추락
2. 중국봉쇄 정책과 미국의 헤게모니
3. 미국 국내 이익 집단의 상호충돌
4. 동맹국 사이 상호 이해관계의 충돌
5. 안보적 보수주의와 경제적 보수주의의 분화
14부 다자주의 시대를 열 기회가 왔다
1. 중국봉쇄 불가능
2. 중국의 성장
3. 아시아의 성장
4. 대항 세력의 성장
5. 체인화된 국제 분업체계
6. 상호견제력이 확보된 군사력
7. 문화적 영도력의 다원화
15부 평화체제와 중국
1. 평화체제 관점으로 중국 보기
2. 전쟁 억지력으로써 중국
3. 다자주의의 중심축
4. 단일 시장의 급진성
5. 자본 억제적인 당-국가체제
6. 내부지향적 국가의 경험
7. 공통의 생활세계
8. 짱깨주의를 넘어: 다른 방식의 세계 꿈꾸기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