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동과 청소년, 그 언저리에서 갈팡질팡하는 우리 중학생들의 이야기. 양인자 작가의 <우리들의 DNA>는 또렷이 중학생들을 향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곳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모두 중학생이다. 얼핏 모범생과 문제아 또는 우등생과 열등생식 이분법으로 나누어졌을 아이들의 내면도 아주 깊고 정교하게 파고든다. 그 결과 아주 평범해보이는 인물도 입체적이고 다채로워진다. 주위에서 흔히 보던, 어떤 중학생의 모습으로 다시금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양인자 작가는 ‘문학은 삶의 DNA’라고 말한다. 그렇다. 문학은 한 장의 종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들의 DNA>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중학생들을 새로이 발견하고 그들의 발화를 돕는다. 나아가 그 목소리는 이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전해져 그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긍정적 순환은 비유전적 문화 요소인 ‘밈(MEME)’이 되어 더 나은 DNA를 만들 것이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 운동부터 2009년 쌍용자동차 노동자 정리해고, 그리고 지금 우리 청소년이 마주하는 현실까지 중요한 발자국을 기록하는 양인자 작가. 정채봉 문학상을 수상한 양인자의 첫 청소년 단편집 <우리들의 DNA>는 삶의 의미를 찾는 청소년들의 여섯 빛깔 단편을 들려 준다.
출판사 리뷰
리더스원의 큰글자도서는 글자가 작아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모든 분들에게 편안한 독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책 읽기의 즐거움을 되찾아 드리고자 합니다.
중학생은 모호한 위치다. 초등학교를 갓 졸업해 어린이 티를 벗었는가 싶다가도, 고등학생에 비하면 여전히 앳된 아이의 모습이다. 하지만 중학생이 어디 ‘청소년’이라는 단어 안에 뭉뚱그려 지나칠 시기인가? 중학생은 질풍 노도 시기인 사춘기의 직격탄을 맞으며, 격동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북한이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 때문에 쳐들어오지 못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만큼 그 존재감은 아주 강력하다. 그런 캐릭터에 비해, 막상 청소년 소설을 살펴보면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경우가 많다. 그것은 중학생들의 모습을 담은 문학이 별로 없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성인의 문턱을 코앞에 둔 고등학생들보단 어리지만, 그 누구보다 하고픈 말이 많을 중학생들. 우리에게는 중학생들의 시선과 감정에 눈높이를 맞춘 그런 이야기가 필요하다.
양인자 작가의 『우리들의 DNA』는 또렷이 중학생들을 향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곳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모두 중학생이다. 얼핏 모범생과 문제아 또는 우등생과 열등생식 이분법으로 나누어졌을 아이들의 내면도 아주 깊고 정교하게 파고든다. 그 결과 아주 평범해보이는 인물도 입체적이고 다채로워진다. 주위에서 흔히 보던, 어떤 중학생의 모습으로 다시금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양인자 작가는 ‘문학은 삶의 DNA’라고 말한다. 그렇다. 문학은 한 장의 종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들의 DNA』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중학생들을 새로이 발견하고 그들의 발화를 돕는다. 나아가 그 목소리는 이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전해져 그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긍정적 순환은 비유전적 문화 요소인 ‘밈(MEME)’이 되어 더 나은 DNA를 만들 것이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 운동부터 2009년 쌍용자동차 노동자 정리해고, 그리고 지금 우리 청소년이 마주하는 현실까지 중요한 발자국을 기록하는 양인자 작가. 정채봉 문학상을 수상한 양인자의 첫 청소년 단편집 『우리들의 DNA』는 아이들의 삶을, 아이들의 세상을 바꾸는 작품이 될 것이다.
여러분의 DNA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나요?
삶의 의미를 찾는 이들의 여섯 빛깔 단편
『우리들의 DNA』는 우리 중학생들의 여섯 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먼저 독자를 반기는 「심연의 물고기, 하늘거린다」는 심해의 물고기처럼 납작 엎드려 미동도 하지 않던 주인공이 아버지의 편법과 잘못에 맞서는 모습을 담았다. 그 누구의 선택이 아닌, 오직 주인공 자신만의 의지로 아주 조금씩, 앞으로 헤엄쳐 나간다.
두 번째 단편 「그 한마디」에는 ‘철이 없다’는 부모의 말에 억눌려있던 중학생 승민이가 등장한다. 자유롭게 뛰놀지 못하고 책상 앞 붙박이마냥 결박되어있던 승민이는 따뜻한 말 한마디를 통해 커다란 위로를 받고 성장한다.
「꽃잎이 된 교복」은 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배경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민혜는 공부를 더 잘하겠다는 약속을 하며 새로운 교복을 맞춘다. 새 교복을 입는다는 생각에 들떠있던 민혜가 대학생들의 시위를 마주하며 자신이 그토록 아끼고 기다렸던 교복을 내던진다.
한편 「일 달러, 움켜쥔 희망」은 쌍용자동차 정리해고를 당한 아버지를 둔 재희의 이야기다. 정리해고라는 사건은 재희네 가족의 삶을 짓밟는다. 체험 학습비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재희지만 그보다 더 힘든 상황에 놓인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을 위해 자신의 꿈을 잠시 양보한다.
「굽은 소나무」는 ‘등 굽은 소나무가 선산 지킨다’는 속담처럼 공부 잘하는 언니 밑에서 홀대 받던 미리가 부모님의 곁을 오래도록 지키고자 결심하는 모습을 담았다. 과연 성적이 진정한 삶을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DNA」는 살아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신이 엄마의 모습을 그려냈다. 아빠의 장례식날에도 장사를 하겠다는 엄마를 바라보며 신이는 삶의 처절한 몸짓을 느낀다. 세상 사람들 모두가 욕하는 엄마를 감싸고야 마는 열다섯 살 신이.
중학생은 삶을 알기에 어린 나이가 아니다. 이들 역시 자신을 향해 넘실거리는 거센 파도들을 오롯이 견뎌내고 있다. 연약해보이지만 단단한 마음을 가진 중학생들의 이야기 『우리들의 DNA』는 삶을 향한 뜨거운 생명력을 선사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양인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다녔다. 극문화연구회 ‘삶과 마당’에서 장구를 배우고 마당극도 했다. 뒤늦게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 대학원에서 부족한 공부를 채웠다.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천왕봉’이 당선 되었고, 제7회 푸른문학상 새로운 작가상과 제3회 정채봉 문학상을 받았다. 월간 『어린이와 문학』에 청소년 소설이 추천 완료 되었다. 그동안 나온 책으로는 장편동화 『늦게 피는 꽃』『엄마 딸 하정연이야』『얄미운 내 꼬리』『형이 되는 시합』, 동화집 『껌 좀 떼지 뭐』『가출 같은 외출』이 있다. 『우리들의 DNA』는 첫 청소년 소설집이다. 남보다 잘 쓰기보다 어제보다 더 나은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나아가라는 뜻으로 이메일 주소도 aprow@hanmail.net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