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베이스캠프 이미지

베이스캠프
현북스 | 청소년 | 2022.10.05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14x20.2 | 0.307Kg | 240p
  • ISBN
  • 979115741342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김홍빈 대장이 이끌고 교사들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광주전남학생산악연맹의 히말라야 희망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아이들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작한 일곱 청소년의 이야기다.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를 목적지로 힘든 여정에 참여한 아이들 하나하나는 각자의 고민과 아픔의 시간을 지나고 있다.

작가는 최준서, 하연우, 허봉남, 배은서, 천태호, 진시후, 정소하를 통해 청소년들이 겪는 아픔과 희망을 다루고 있다. 가족 문제나 성장기에 겪어야 하는 여러 갈등과 고민들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아이들의 노정을 따라가며 히말라야의 웅장함과 인생의 굴곡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일곱 청소년의 인생 시작점 등정기

《베이스캠프》란 이 등정의 목적지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 ABC’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인생의 시작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김홍빈 대장이 이끌고 교사들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광주전남학생산악연맹의
히말라야 희망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아이들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작한 일곱 청소년의 이야기


《베이스캠프》에 등장하는 일곱 명의 청소년들은 주위를 찬찬히 둘러본다면 어디서나 볼 수 있을 아이들입니다.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 기간이기도 하지만 살아내야 할 삶의 한 시기일 뿐입니다. 성장기라고 해서 아픔이 없는 것도 아니고 고민이 약한 것도 아닐 것입니다. 성장기에 대해서 자주 언급하는 것은 성장기를 어떻게 지나느냐가 이후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를 목적지로 힘든 여정에 참여한 아이들 하나하나는 각자의 고민과 아픔의 시간을 지나고 있습니다. 작가는 최준서, 하연우, 허봉남, 배은서, 천태호, 진시후, 정소하를 통해 청소년들이 겪는 아픔과 희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가족 문제나 성장기에 겪어야 하는 여러 갈등과 고민들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노정을 따라가며 히말라야의 웅장함과 인생의 굴곡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희망원정대를 이끌었던 김홍빈 대장은 등반 도중 열 손가락을 잃고 실의에 빠져 지냈던 경험으로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전남교육청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광주전남학생산악연맹에서 진행한 히말라야 희망학교 프로그램은 이렇게 김홍빈 대장과 교사들의 헌신적인 참여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김홍빈 대장의 비극적인 실종 사건으로, 또 교육청에서 시행하는 파격적인 프로그램으로 많이 알려졌습니다.

욕을 달고 사는 천태호, 살아가는 데는 무조건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최준서, 혼자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진시후, 정체성 혼란에 빠진 허봉남, 1등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엄마의 압박감에 시달리는 배은서, 이기적인 부모에게 역겨움을 느끼는 정소하, 최준서 바라기인 하연우. 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서로의 세계를 인정해 주면서 조금씩, 아주 조금씩 거리를 좁히고 있었다.

“씨발, 그 많은 밥 중에 왜 하필 카레밥이냐고요!”
카레밥을 게걸스럽게 먹는 아빠 얼굴이 떠올랐다. 아빠가 제일 좋아하는 카레밥을 태호는 제일 싫어했다. 카레밥을 보는 것만으로도 화가 차올랐다.
(중략)
“뭐 해? 먹지 않고.”
기영우 선생이 시후를 보며 물었다. 시후는 도둑질하다 들킨 사람처럼 고개를 숙였다. 카레밥이 눈에 들어왔다. 엄마가 제일 자신 있게 만드는 요리였다.
(중략) 엄마의 활짝 웃던 얼굴을 이제는 볼 수 없다. 엄마표 카레밥도 영영 맛볼 수 없다. 시후는 삐져나오려는 눈물방울을 막기 위해 눈에 힘을 주었다.

“이왕 싸울 거 배낭 풀고 제대로 붙어 부러라이. 누가 이기나 한번 봐 불자. 뱀부 로지는 오늘 안으로만 들어가믄 댕께. 자, 누가 이긴가 봐 보세.”
김홍빈 대장의 목소리는 의외로 차분했다.
(중략)
김홍빈 대장은 배낭을 바닥에 내려놨다. 두 친구는 어정쩡하게 섰다.
“왜? 멍석 깔아 중께 허기 싫냐?”
준서는 고개를 돌렸다. 땅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배낭을 집고 연우를 잡아끌었다.
“가자.”
김홍빈 대장도 배낭을 메고 태호를 봤다.
“어이, 태호야! 내 앞에 서라이.”
김홍빈 대장은 태호를 앞에 세웠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현정란
어린이책 문화활동가로 20여 년간 활동하면서 동화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어릴 때부터 읽은 책이 중요한 시기에, 중요한 결정을 할 때 방향을 잡아 줄 뿐 아니라 희망과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며 글을 씁니다. 현재도 관심 분야를 취재하면서 부산에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2017년 7월 첫 장편 동화 《하늘 연못의 비밀》을, 그 후 청소년소설 《버디》, 인물로 만나는 부산정신 시리즈 중 하나인 《최천택》을 썼고, 2021년에 역사 장편 동화 《사비성 아이》를 썼습니다.

  목차

프롤로그

첫째 날
모든 것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포카라(820미터) → 지누난다(1,780미터)

둘째 날, 아침
대지에서 일어나는 일은 대지의 아들에게도 일어난다
지누단다(1,780미터) → 촘롱(2,170미터)

둘째 날, 오전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고,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다
촘롱(2,170미터) → 로시누와(2,180미터)

둘째 날, 점심
대지가 풍요로울 때 우리의 삶도 풍요롭다
로시누와(2,180미터) → 어퍼시누와(2,360미터)

둘째 날, 오후
어차피 가야 할 길, 쉰다고 줄어들진 않는다
어퍼시누와(2,360미터) → 뱀부(2,145미터)

셋째 날, 오전
생각이 사람 보는 눈을 바꾸게 한다
뱀부(2,145미터) → 어퍼도반(2,600미터)

셋째 날, 오후
힘들면 힘들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어퍼도반(2,600미터) → 데우랄리(3,200미터)

셋째 날, 밤
포기해야 할 때는 포기할 줄 알아야 한다
데우랄리(3,200미터)

넷째 날, 오전
인간은 한낱 나약한 미물이다
데우랄리(3,200미터) → 어퍼도반(2,600미터)

넷째 날, 오후
대지는 인간에게 속한 것이 아니며, 인간이 오히려 대지에 속한 것이다
데우랄리(3,200미터) →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3,700미터)

다섯째 날, 아침
자신의 삶은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3,700미터)

다섯째 날, 오후
이름은 그 자체로 힘을 가지고 있다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3,700미터) →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4,130미터)

작가의 말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