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 이 책은 《열두 달 풍속놀이》(1996)의 개정증보판입니다. 원고 전체를 새롭게 다듬고 보충했으며, 표지와 판형도 변경했습니다.
우리나라 열두 달 세시 풍속을 한눈에!
국립민속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에서 우리나라의 민속과 풍속을 연구하고, 지금은 중앙대학교 민속학과에 몸담고 있는 김종대 교수가 ≪열두 달 풍속 놀이≫를 고치고 다듬어서 새로 펴냈습니다. 이에 앞서서 그는 우리나라 도깨비의 참모습을 알리기 위해 ≪깨비 깨비 참도깨비≫를 펴낸 바 있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글을 쓰는 것이 어른들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도 우리 문화를 바르게 알리는 가장 좋은 지름길이라 여기고 있는 김종대 교수. 그가 오랜 시간 동안 자료를 모으고 연구하여 펴낸 ≪열두 달 풍속 놀이≫에는 우리나라 1년 12달 24절기와 그에 얽힌 풍속들이 상세하게 실려 있습니다.
1월부터 12월까지 그 달의 풍속과 절기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네 삶의 원형이 한눈에 들어오는데, 이 책의 짜임도 그런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또한 각 풍속과 관계있는 구수한 옛 이야기를 함께 엮어 놓음으로써, 어린이 독자들이 이런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연스레 우리네 전통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의 특징 - 작품 속으로
1월은 한 해가 시작되는 달이라 세시풍속이 가장 많습니다. 대표적 세시풍속으로는 설과 정월 대보름입니다. 설날의 풍속으로는 머리카락 태우기, 야광귀 쫓기, 동물의 날 들이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 풍속으로는 계절식인 오곡밥, 부럼, 귀밝이술 마시기와 지신밟기, 낟가릿대 세우기, 소밥주기, 액막이 행사인 제웅치기, 더위팔기, 개보름쇠기 등 재미있는 풍속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1월의 민속놀이인 연날리기, 널뛰기, 쥐불놀이, 북청 사자놀음과 일 년 가운데 가장 처음 오는 절기인 입춘과 우수에 대한 소개도 나오지요. 2월부터 12월까지의 세시풍속을 간단하게 간추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2월은 농사와 관련된 풍속, 영등 관련 풍속, 머슴날, 콩 볶기, 좀생이점 등의 풍속이 그 유래와 함께 잘 나와 있습니다. 2월 절기인 경칩, 춘분 이야기도 있지요. 그리고 봄 향기가 피어나는 3월에는 농사력과 관련된 기우제 행사, 삼월 삼짇날, 한식 등의 대표적 풍속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절기로는 청명과 곡우가 있답니다.
4월은 석가탄신일을 기념하는 초파일과 관련된 연등놀이가 ≪삼국유사≫에 실린 가슴 아픈 사랑이야기와 함께 나와 있습니다. 절기로는 입하와 소만이 있지요. 그리고 5월은 단오가 대표적이며, 절기로는 망종과 하지가 드는 때입니다. 유두와 복날로 대표되는 6월 절기로는 소서와 대서가 끼여 있어 일 년 가운데 가장 더운 때임을 알 수 있지요.
7월 세시로는 칠석과 백중이, 절기로는 입추와 처서가 있습니다. 우리 마음이 고향으로 향하는 가장 큰 명절인 추석이 들어 있는 8월의 절기로는 백로와 추분이 있답니다. 겨울이 오기 전 가을걷이로 바쁜 9월에는 중양절이 있고, 절기로는 한로와 상강이 있습니다.
10월에는 겨울나기를 위한 김장 담그기로 바쁩니다. 그리고 동짓달인 11월에는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된다고 하여 책력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동지에는 동지 팥죽을 먹지요. 섣달인 12월은 한 해를 마감하는 달로, 절기로는 소한과 대한이 끼여 있습니다. 세시로는 수세와 납향, 묵은 세배가 있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달은 음력입니다. 아시다시피 농사를 주로 짓던 우리나라에서는 달을 시간의 주기로 삼는 태음력을 중시했습니다. 태음력에서는 한 달을 더 정해 시간 차이를 맞추었는데, 그것이 바로 윤달이지요. 이 책은 윤달이 생기게 된 까닭과 뜻을 설명하면서 이야기를 마치고 있습니다.
한 해 농사와 연관을 맺고 꼴을 갖추고 알맹이를 이룬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과 절기에 대해 재미있고 독특하게 엮어 낸 ≪열두 달 풍속 놀이≫는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풍속을 올바로 알리고 그 소중한 의미를 일깨워 줄 것입니다.
작가 소개
저자 : 김종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일했고, 지금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한국의 도깨비연구』, 『한국 민간신앙의 실체와 전승』, 『우리 문화의 상징세계』, 『한국의 학교괴담』 등이 있다.
목차
글쓴이의 말 5
한국의 세시풍속 10
1월의 세시풍속 13
2월의 세시풍속 86
3월의 세시풍속 101
4월의 세시풍속 113
5월의 세시풍속 126
6월의 세시풍속 147
7월의 세시풍속 155
8월의 세시풍속 169
9월의 세시풍속 184
10월의 세시풍속 194
11월의 세시풍속 202
12월의 세시풍속 212
윤달의 세시풍속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