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5-6학년 > 사회,문화 > 문화
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 (개정판) 이미지

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 (개정판)
백제에 대한 궁금증 47가지
다섯수레 | 5-6학년 | 2013.01.05
  • 정가
  • 9,500원
  • 판매가
  • 8,550원 (10% 할인)
  • S포인트
  • 428P (5% 적립)
  • 상세정보
  • 22.8x28 | 0.600Kg | 40p
  • ISBN
  • 978897478373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온조를 대표로 하는 부여계 고구려 유민이 한강 유역에 세운 나라입니다. 삼국 가운데 가장 개방적이었던 백제는 앞선 문물을 받아들여 아름다운 백제 문화를 꽃피우면서 그 문화를 일본에 전파했습니다. 백제는 남하해 오는 고구려에 밀려 도읍을 웅진으로 옮겨야 했으나 이후 힘을 키워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도읍을 사비로 옮긴 뒤 백제는 한강 유역을 잃는 위기에 처했지만 국력을 회복하고 신라와 팽팽히 맞섰습니다. 그러나 백제는 당나라와 손잡은 신라의 공격을 막아 내지 못하고 멸망합니다. 3년 동안이나 끈질기게 저항했던 부흥 운동이 좌절된 후 백제의 많은 유민은 일본으로 건너가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갔습니다.

  출판사 리뷰

문화 강국 백제의 건국부터 국제 교류, 생활, 문화까지,
알찬 질문과 답을 통해 백제사의 궁금증을 풀어 갑니다.


2001년 처음 출간된 이래 꾸준한 사랑을 받아 온 [백제를 왜 잃어버린 왕국이라고 하나요?]가 개정증보판[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로 새롭게 선보입니다.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 의해 하루아침에 땅속에 묻혀 버린 뒤 승자에 의해 기록된 고대사에서 사라진 것이 백제의 역사입니다. 그러나 최근 유적 발굴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백제 역사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특히 첫 도읍지 위례성이었던 풍납토성의 발굴로 일본에까지 전수했던 백제의 뛰어난 토목 기술이 확인되었습니다. 사비 시대의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 대향로는 쓰임과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룬 수준 높은 공예품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에 의해 백제가 동아시아 최고의 문화 강국이었음이 알려졌습니다.

이 책은 백제의 건국부터 활발한 국제 교류,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 그리고 멸망과 부흥 운동까지 백제 역사의 면면을 살펴봅니다. 풍부한 유적, 유물 사진은 백제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생생히 살려 내 백제 역사에 한층 가까이 다가가게 합니다.
이번 개정증보판에는 백제의 토목 기술로 만들어진 김제 벽골 제방, 백제의 금속 공예 수준을 알게 한 부여 왕흥사 출토 사리함, 무왕 시대를 밝히는 중요한 사료인 미륵사 출토 금제 사리 봉안기, 정화 시설을 갖추고 여럿이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대형 화장실 등 최근의 연구 성과가 수록되었습니다. 또한 연표와 함께 백제 통사를 연대순으로 살펴보는 권말 부록을 통해 백제의 역사적 의의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교과 연계
[사회] 5학년 1학기 : 1. 하나 된 겨레
[도덕] 4학년 1학기 : 5.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작가 소개

저자 : 권오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6년 삼한의 사회 구성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국립중앙박물관, 동아대학교를 거쳐 현재 한신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고대의 국가 형성과 대외교류 연구에 주력해 왔으며, 최근에는 주로 백제시대를 연구하고 있다. 마한의 유적인 순천 대곡리 마을 유적, 천안 청당동 무덤과 백제 고분인 화성 화산 고분 등을 조사했고, 1999년부터는 서울 풍납토성에 대한 발굴과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2000년, 중국 남조 양나라의 유적·유물을 답사한 후 백제와 중국 남조, 일본의 고분시대를 연결하는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에 관심을 지니게 되었고, 이것을 푸는 열쇄가 무령왕릉임을 절감하여 이에 대한 연구에 몰두해 왔다. 저서로 [송국리4](1991),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1994, 공저), [한성기 백제의 물류시스템과 대외교섭](2004, 공저), [풍납토성4](2004, 공저) 등이 있으며, 2004년 8월부터 일본 오사카대학 고고학연구실 객원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백제와 야마토 정권 간에 전개된 교류에 대해 집중 연구 중이다.

그림 : 이영경
서울대학교에서 동양화를 공부한 뒤 어린이책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아씨방 일곱 동무] [신기한 그림족자] [오러와 오도] 등의 그림책을 쓰고 그렸으며, 프랑스와 일본에 소개되어 널리 사랑 받는 그림책 [넉 점 반] 등에 그림을 그렸다.

  목차

건국과 발전
백제는 어떤 나라였나요?
백제의 땅을 가장 많이 넓힌 왕은 누구인가요?
백제의 도읍은 왜 여러 곳에 있었나요?
도읍
백제의 첫 도읍 위례성은 어떤 곳인가요?
백제의 세 번째 도읍 사비성은 어떤 곳이었나요?
국제 교류
백제는 어떤 나라와 교류했나요?
백제는 어떻게 해상 강국이 되었나요?
무령왕릉은 왜 벽돌로 만들었나요?
일본과의 교류
칠지도는 왜 유명한가요?
백제 유물이 왜 일본에서 많이 나올까요?
일본 고대 문화에 영향을 준 백제 사람은 누구인가요?
백제 사람들
백제 사람들은 어떻게 생겼나요?
백제 땅에 다른 나라 사람도 살았나요?
백제 문화의 전성기
백제 문화의 전성기는 언제였나요?
백제의 금속 공예품은 어디에서 많이 나왔나요?
무령왕릉을 지키는 짐승은 무엇인가요?
금속 공예
금동 대향로는 왜 그렇게 유명한가요?
백제 금속 공예의 수준을 알게 한 유물은 무엇인가요?
우체통 모양을 한 사리감도 있나요?
불상과 그림
밝게 웃는 얼굴로 이름난 불상은 무엇인가요?
백제 산수화의 수준을 알게 하는 유물이 있나요?
백제의 그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미륵사
미륵사는 왜 그렇게 큰가요?
미륵사는 누가 지었나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탑은 무엇인가요?
주생활
백제 사람들도 기와집에 살았나요?
백제의 궁궐은 어떻게 생겼나요?
토기
백제의 유물에는 왜 토기가 많은가요?
백제 사람들은 어떤 토기를 만들었나요?
식생활
백제 사람들도 쌀밥을 먹었나요?
백제 사람들도 수저를 썼나요?
백제 사람들은 어떻게 농사를 지었나요?
의생활
백제 사람들은 어떤 옷감으로 옷을 만들었나요?
백제 사람들은 어떤 신발을 신었나요?
백제의 왕은 무슨 옷을 입었나요?
백제 사람들은 어떤 장신구를 했나요?
교육과 예술
백제에도 연필과 공책이 있었나요?
백제에도 박사가 있었나요?
백제에는 달력이 있었나요?
백제 사람들은 무슨 노래를 불렀나요?
관직과 군대
백제에서는 어떤 사람이 벼슬을 할 수 있었나요?
백제의 군인들은 어떤 무기로 싸웠나요?
계백 장군은 왜 자기 가족을 죽였나요?
멸망과 부흥 운동
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
백제는 왜 멸망했나요?
백제를 되찾으려는 싸움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백제를 공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역사적 의의
동아시아의 문화 강국 백제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