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단편소설 75 상)
머리말
작품 미리보기
안국선 | 금수회의록
이해조 | 자유종
김동인 | 배따라기, 태형, 감자, 광염소나타, 광화사, 붉은 산
현진건 |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할머니의 죽음,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고향
나도향 |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전영택 | 화수분
최서해 | 탈출기, 홍염
이태준 | 꽃나무는 심어 놓고, 달밤, 까마귀, 복덕방, 돌다리
이효석 | 돈, 메밀꽃 필 무렵, 사냥
김유정 | 소낙비, 금 따는 콩밭, 떡, 만무방, 봄 · 봄, 동백꽃, 땡볕
계용묵 | 백치 아다다
주요섭 | 사랑손님과 어머니
이 상 | 날개
현 덕 | 남생이, 하늘은 맑건만, 고구마, 나비를 잡는 아버지
(한국단편소설 75 하)
머리말
작품 미리보기
김동리 | 무녀도, 역마, 등신불
채만식 | 레디메이드 인생, 치숙, 왕치와 소새와 개미, 논 이야기, 미스터 방, 이상한 선생님
염상섭 | 두 파산
황순원 | 독 짓는 늙은이, 소나기, 학
손창섭 | 비 오는 날
오상원 | 유예
김성한 | 바비도
하근찬 | 수난이대
박경리 | 불신 시대
이범선 | 오발탄, 표구된 휴지
강신재 | 젊은 느티나무
김승옥 |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김정한 | 모래톱 이야기
조세희 | 뫼비우스의 띠,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전상국 | 우상의 눈물
임철우 | 사평역
박완서 | 해산 바가지, 그 여자네 집
이문구 | 유자소전
오정희 | 소음 공해
윤흥길 | 종탑 아래에서
성석제 | 아무도 모르라고
*전문 수록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예외적으로 뒷부분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한국고전소설 45)
머리말
작품 미리보기
신화 | 단군 신화, 주몽 신화, 신라 시조 혁거세왕, 김수로왕 신화
설화 | 구토 설화, 도미 설화, 온달 설화, 가실과 설씨녀 설화, 지귀 설화, 연오랑 세오녀, 화왕계, 조신몽, 김현감호, 경문 대왕 이야기, 바리데기
가전체 | 공방전, 국순전, 국선생전
전기 소설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설공찬전
설화 소설 | 심청전, 흥부전
우화 소설 | 토끼전, 장끼전, 호질, 까치전
풍자 소설 | 배비장전, 이춘풍전, 옹고집전, 양반전, 광문자전
염정 소설 | 춘향전, 운영전, 구운몽, 심생의 사랑
가정 소설 |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사씨남정기
군담 소설 | 박씨전, 임경업전, 유충렬전, 조웅전
사회 소설 | 홍길동전, 허생전
*전문 수록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바리데기」, 「까치전」, 「조웅전」은 예외적으로 요약되어 있습니다.
(한국중장편소설 40)
머리말
작품 미리보기
이인직 | 혈의 누
이광수 | 무정
염상섭 | 만세전
박태원 |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천변풍경
심 훈 | 상록수
채만식 | 탁류, 태평천하, 민족의 죄인
김동인 | 대수양
이태준 | 해방 전후
이미륵 | 압록강은 흐른다
황순원 | 나무들 비탈에 서다
이문구 | 관촌수필
윤흥길 | 장마,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완장
조세희 | 은강 노동 가족의 생계비,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김원일 | 도요새에 관한 명상
박완서 | 나목, 엄마의 말뚝2,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이문열 | 사람의 아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권정생 | 몽실언니
강석경 | 숲속의 방
조정래 | 태백산맥
박경리 | 토지
최명희 | 혼불
이순원 | 아들과 함께 걷는 길
최인호 | 상도
신경숙 | 외딴 방
김 훈 | 남한산성
더 읽어볼 작품
최인훈 | 광장
현기영 | 순이 삼촌
양귀자 | 일용할 양식
황석영 | 개밥바라기별
한 강 | 채식주의자
김려령 | 완득이
(세계단편소설 45)
머리말
작품 미리보기
미국
어니스트 헤밍웨이 | 노인과 바다, 인디언 부락,
하얀 코끼리 같은 언덕
오 헨리 | 크리스마스 선물, 마지막 잎새, 20년 후
에드거 앨런 포 | 검은 고양이, 어셔가의 몰락
나다니엘 호손 | 큰 바위 얼굴
폴 빌라드 | 이해의 선물, 안내를 부탁합니다
워싱턴 어빙 | 뚱뚱한 신사
영국
오스카 와일드 | 행복한 왕자
캐서린 맨스필드 | 가든파티
허버트 조지 웰스 | 마술 상점
프랑스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 어린 왕자
기 드 모파상 | 목걸이, 두 친구, 미뉴에트
알퐁스 도데 | 마지막 수업, 별, 산문으로 쓴 환상시,
코르니유 영감의 비밀, 황금 뇌를 가진
사나이
빅토르 위고 | 가난한 사람들
독일
프란츠 카프카 | 변신, 법 앞에서
토마스 만 | 묘지로 가는 길
헤르만 헤세 | 나비
폴란드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등대지기
러시아
레프 톨스토이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유년 시대
안톤 체호프 | 귀여운 여인, 사랑에 대하여, 우수,
관리의 죽음
니콜라이 고골 | 외투
이반 투르게네프 | 밀회
막심 고리키 | 2인조 도둑
중국
루쉰 | 아큐정전, 고향
일본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라쇼몬, 코
스페인
후안 발레라 | 이중의 희생
(한국현대소설 이야기)
머리말
‘새로운’ 소설이 탄생하다 | 개화기~1910년대
지금까지의 고전 소설은 잊어라! - 이인직의「혈의 누」
인간의 악행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 안국선의「금수회의록」
지식인 여성들의 밤샘 토론회 - 이해조의「자유종」
자유연애와 계몽을 소설에 담다 - 이광수의「무정」
문학 깊이 읽기 한국 현대 문학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단편 소설, 전성기를 누리다 | 1920년대
조선말로 된 최초의 단편 소설 - 김동인의「배따라기」
“조선은 무덤이고 우리는 모두 구더기다!” - 염상섭의「만세전」
유학파 지식인들은 왜 점점 무기력해졌을까 현진건의「술 권하는 사회」
사랑으로 신분의 벽을 넘다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
“우리는 여태까지 속아 살았다.” - 최서해의「탈출기」
문학 깊이 읽기 일제 강점기 문학은 ‘한국’ 문학일까?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일구다 | 1930년대~1945년
동상이몽(同床異夢) 세 가족 - 염상섭의「삼대」
교활함 속에 숨겨져 있었던 민족애 김동인의「붉은 산」
소외된 인물을 가만히 쓰다듬다 - 이태준의「달밤」
“이 다리에는 우리 가족의 역사가 담겨 있단다.” - 이태준의「돌다리」
눈앞에서 벌어진 일을 그대로 노트에 적다 박태원의「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북적북적’ 청계천 변 시민들의 일상사 박태원의「천변 풍경」
내년 봄에도 장인님과 몸싸움을 하게 될까 - 김유정의「봄·봄」
가혹한 농촌 현실이 만들어 낸 ‘막된 사람들’ - 김유정의「만무방」
지금이면 쉽게 이루어졌을 두 사람의 사랑 주요섭의「사랑손님과 어머니」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 이상의「날개」
고향과 아버지에 대한 마음을 소설에 담다 이효석의「메밀꽃 필 무렵」
일제 강점기에 등장한 ‘놀부’ - 채만식의「태평천하」
문학 깊이 읽기 고통과 문학적 성과는 함께 가는 것일까?
혼란과 상처의 기록 | 1946년~1950년대
방삼복은 ‘개천에서 난 용’이었을까? - 채만식의「미스터 방」
전통적인 민족 정서가 섬진강처럼 흐르는 소설” - 김동리의「역마」
언제나 비에 젖어 있는 인생들” - 손창섭의「비 오는 날」
죽음까지 남은 시간은 ‘단 한 시간’ - 오상원의「유예」
625 전쟁 중에도 꺼지지 않은 휴머니즘 황순원의「너와 나만의 시간」
문학 깊이 읽기 왜 어떤 작가들은 문학사에서 사라졌을까?
진정한 ‘민주화’를 위한 몸부림 | 1960~70년대
‘광장다운 광장’은 결국 없었다 - 최인훈의「광장」
1960년대 한국 시민의 자화상 김승옥의「서울, 1964년 겨울」
수난의 현대사가 낳은 한국 대표 소설 - 박경리의「토지」
전쟁이 세상을 질펀하게 적시다 - 윤흥길의「장마」
고향으로의 ‘탈출’을 꿈꾸다 황석영의「삼포 가는 길」
1970년대 사회에 관한 문학적 보고서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문학 깊이 읽기 문학은 지식인들만이 했을까?
‘민중’이 중심에 우뚝 서다 | 1980년대
막차, 그리고 희망을 기다리는 사람들 - 임철우의「사평역」
생명보다 소중한 것이 있을까 박완서의「해산 바가지」
탄탄했던 ‘독재 왕국’은 왜 무너졌을까 이문열의「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소외된 소시민의 삶을 들여다보다 양귀자의「일용할 양식」
문학 깊이 읽기 문학은 혁명을 꿈꾸는 것일까?
다양성을 보듬어 안다 | 1990년대 이후
성인군자 못지않은 제 친구를 소개합니다 - 이문구의「유자소전」
짜디짠, 지구에서 생존하기 박민규의「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나’에서 ‘우리’로 건너가다 - 김려령의「완득이」
문학 깊이 읽기 우리 문학에 노벨상이 필요할까?
사진으로 보는 문학의 현장
사진 제공처
(한국고전문학 이야기)
머리말
상고 시대의 한국 문학
1과 입으로 전해져 온 옛이야기 | 설화
하늘과 땅이 결합해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단군 신화」
알을 깨고 등장한 ‘고구려의 자부심’ -「주몽 신화」
조신은 왜 정토사를 세웠을까 -「조신의 꿈」
구두쇠 영감이 잔치를 벌인 이유는? -「자린고비 설화」
2과 이야기의 한 부분이 시가로 탄생하다 | 고대 가요
“우리에게는 왕이 필요합니다.” -「구지가」
이별의 한이 물처럼 흐르다 백수 광부 아내의「공무도하가」
다정한 꾀꼬리가 부럽구나 - 유리왕의「황조가」
“무사하게만 돌아오세요.” - 어느 행상인의 아내의「정읍사」
3과 시에 담긴 우리말 | 향가
삼국 시대의 ‘미스터리한’ 사랑 이야기 - 서동의「서동요」
사람들은 왜 처용 얼굴을 문에 붙여 놓았을까 - 처용의「처용가」
누이의 죽음에 대한 ‘서정(抒情)’ - 월명사의「제망매가」
4과 한자에 운율이 담기다 | 한시
“만족했다면 어서 돌아가시오.” - 을지문덕의「여수장우중문시」
비 내리는 밤, 고독은 깊어지고 - 최치원의「추야우중」
역사 함께 읽기 아주 오래전 한반도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고려 시대의 한국 문학
1과 사물이 살아 숨 쉬다 | 가전
‘돈에 대한 탐욕’을 경고하다 - 임춘의「공방전」
고려 시대 최고 애주가의 술 이야기 - 이규보의「국선생전」
2과 일상의 경험을 담다 | 설
썩어 버린 재목이 준 교훈 - 이규보의「이옥설」
“우리 인생 전체가 남에게 빌린 것.” - 이곡의「차마설」
3과 고려 시대의 유행가 | 고려 가요
“이별해도 절대 절망하지 않겠어요.” -「가시리」
향가의 숨결을 이어받은 고려 가요 - 정서의「정과정」
고려의 혼란 속에서 탄생한 노래 -「청산별곡」
4과 ‘귀족들만의’ 고려 가요 | 경기체가와 시조
포부와 자신감이 넘치는 이 노래, 어떻습니까 한림 제유의「한림별곡」
흰 머리를 보며 인생의 이치를 깨닫다 우탁의「 손에 막 잡고」,「춘산에 눈 녹인 람」
5과 한문학의 꽃 | 한시
드넓은 대동강에 눈물을 더하다 - 정지상의「송인」
“역사와 인간의 삶은 참으로 무상하구나.” - 이색의「부벽루」
역사 함께 읽기 고려 사회는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해 갔을까?
조선 전기의 한국 문학
1과 최초의 ‘소설’이 탄생하다 | 한문 소설과 수필
생사를 넘나든 ‘아름다운 인연’ - 김시습의「만복사저포기」
시대를 뛰어넘은 ‘진보적’ 사상을 담다 - 김시습의「이생규장전」
‘험한’ 파도 위를 선택한 노인의 이야기 - 권근의「주옹설」
2과 ‘훈민정음’이 몰고 온 새바람 | 악장과 언해
훈민정음 장체의 ‘첫 번째 결실’ - 정인지, 권제, 안지 등의「용비어천가」
조선이 반한 ‘애국심과 충심’ - 두보의「춘망」
3과 ‘간결한 형식’이 사대부의 마음을 끌다 | 시조
“두 임금은 섬길 수 없습니다.” - 길재의「오백 년 도읍지를~」
‘기발한 천재성’으로 사랑을 노래하다 황진이의「동지ㅅ 기나긴 밤을~」
자연 속에서 ‘진정한 학문’을 꿈꾸다 - 이황의「도산십이곡」
4과 우리 민족의 ‘호흡’과 잘 어우러지다 | 가사
대자연 속에서 ‘봄’과 ‘풍류’를 즐기다 - 정극인의「상춘곡」
가사에 담은 ‘우리말의 아름다움’ - 정철의「속미인곡」
이 한(恨)을 어떻게 다스릴꼬 - 허난설헌의「규원가」
역사 함께 읽기 조선이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고 발전한 과정은 어떠했을까?
조선 후기의 한국 문학
1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 꽃핀 ‘국문 소설’ | 고전 소설
악한 행동은 뉘우치고 곧 깨닫기를 - 김만중의「사씨남정기」
호랑이가 인간을 호되게 질책하다 - 박지원의「호질」
‘효의 아이콘’ 심청의 감동적인 이야기 -「심청전」
2과 ‘역사적 사실’과 ‘개인적 체험’의 교집합 | 수필
바느질 도구들, 인간의 모순을 논하다 -「규중칠우쟁론기」
“너무 기뻐서 울고 싶구나.” - 박지원의「통곡할 만한 자리」
3과 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 | 판소리민속극
어깨를 들썩이며 ‘보고 듣는’ 이야기 -「흥보가」
‘신명 나고 즐겁게’ 사회를 비판하다 -「봉산탈춤」
4과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체험을 녹여 내다 | 가사
양반도 예전 같지 않구나 박인로의「누항사」
유배지에서의 ‘생생한 절규’ - 안조환의「만언사」
5과 ‘문학의 대중화’가 시작되다 | 시조한시
자연 속에서도 드러난 ‘사대부의 자존심’ - 윤선도의「만흥」
농촌과 농민을 바라보는 ‘따스한 시선’ - 정약용의「탐진촌요」
역사 함께 읽기 조선은 어떤 변화를 겪고 새롭게 나아갔을까?
사진 제공처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