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우리 부모님은 요양원에 사십니다 이미지

우리 부모님은 요양원에 사십니다
삼인 | 부모님 | 2023.08.17
  • 정가
  • 16,000원
  • 판매가
  • 14,4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00P (5% 적립)
  • 상세정보
  • 14.8x21 | 0.302Kg | 232p
  • ISBN
  • 978896436246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08년 어머니의 뇌경색 그리고 2010년 아버지의 뇌출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님을 돌보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던 글쓴이의 경험으로 시작된다. 부모님을 모시고 종합병원, 한방병원 등을 수시로 오가며 답답해하던 때에 한 간병인의 조언에 따라 결국 재활병원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렇게 재활병원에서 어머니는 9년, 아버지는 6년 동안 생활하게 되었고 병원비, 간병인비, 치료비 등등 그동안 한 달에 감당해야 했던 비용은 700~800만 원이나 되었다.

비용도 비용이었지만 누워 생활하는 부모님을 돌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그들의 삶의 질과 존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늙고 병들었다 해도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영역은 삶에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재활 치료와 보호자나 간병인의 돌봄만으로 부모님의 삶은 충분할까. 부모님의 현재가 곧 다가올 나의 미래라면 나는 어떤 노년을 살아야 할까 하는 생각 끝에 2014년, 글쓴이는 자신이 꿈꾸는 요양원을 직접 해봐야겠다고 결심한 후, 우여곡절 끝에 2020년, 요양원을 개원했다. 그리고 그간의 여러 경험들을 책으로 엮었다.

  출판사 리뷰

요양원은 아직도 ‘그런 곳’이어야 할까

우리나라도 어느새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노인들을 돌보기 위한 요양시설의 위상과 역할은 점점 중요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늙고 병든 부모님을 집에서 간병하다가 부모님을 요양원으로 모신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전보다 사회적 인식이 좋아졌다고는 하나 아직 요양원에 대한 시선은 부정적인 면이 많다. 요양원으로 모신다고 하면 주위 사람들은 마치 현대판 고려장쯤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우리 부모님은 요양원에 사십니다』는 2008년 어머니의 뇌경색 그리고 2010년 아버지의 뇌출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님을 돌보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던 글쓴이의 경험으로 시작된다. 부모님을 모시고 종합병원, 한방병원 등을 수시로 오가며 답답해하던 때에 한 간병인의 조언에 따라 결국 재활병원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렇게 재활병원에서 어머니는 9년, 아버지는 6년 동안 생활하게 되었고 병원비, 간병인비, 치료비 등등 그동안 한 달에 감당해야 했던 비용은 700~800만 원이나 되었다.
비용도 비용이었지만 누워 생활하는 부모님을 돌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그들의 삶의 질과 존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늙고 병들었다 해도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영역은 삶에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재활 치료와 보호자나 간병인의 돌봄만으로 부모님의 삶은 충분할까. 부모님의 현재가 곧 다가올 나의 미래라면 나는 어떤 노년을 살아야 할까 하는 생각 끝에 2014년, 글쓴이는 자신이 꿈꾸는 요양원을 직접 해봐야겠다고 결심한 후, 우여곡절 끝에 2020년, 요양원을 개원했다. 그리고 그간의 여러 경험들을 책으로 엮었다.

하지만 이 책에는 정부의 정책이니, 선진국 노인복지 제도니, 기존 요양원의 문제점이 어떠니 하는 공허한, 큰 목소리가 없다. 글쓴이의 부모님의 간병 사례, 요양원을 설립하기까지의 사연, 요양원에 첫 입소하신 어르신, 치매 환자들, 요양원 내에서 벌어지는 소소한 사건들, 요양보호사들의 노력 등등. 이 책에는 여러 이야기들이 토막토막 이어져 있을 뿐이다. 그저 자신이 겪었던 이야기와 현재 겪고 있는 이야기들, 마주 앉은 이웃에게 할 수 있는 듯한 이야기들 거기에 글쓴이의 따뜻한 시선이 더해 있을 뿐이다.

요양원에 ‘계신다’는 것과 요양원에 ‘사신다’는 것

『우리 부모님은 요양원에 사십니다』에는 <보아스 골든케어>라는 돌봄 공동체를 설립하게 된 요양원 원장의 사실적인 이야기가 소박하지만 진솔하게 담겨 있다. 짧은 글들 속에 여운이 남는 것은 글쓴이의 실제 경험과 느낌이 꾸밈없이 그대로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을 때 부모님을 모시며 겪었던 나의 고민과 경험이 다른 보호자나 어르신께 도움이 되길 소망했다. 그런데 써나갈수록 과연 이 글이 어떤 도움이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생생히 묘사한 이야기들이 오히려 역효과를 낳아 역시 요양원은 한계가 있다는 인식을 더욱 공고히 만들게 되는 것은 아닐까 두려웠다. -들어가는 말에서

글쓴이가 요양원 원장이라는 부담과 두려움을 무릅쓰고 이 책을 펴내게 된 까닭은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홀로 많은 고민과 비슷한 일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때문이다. 이 책은 소소하게 보이는 이야기들 속에 노년의 삶이 왜 중요한가를 일깨워준다. 그렇기 때문에 요양원이라는 돌봄 시설이 막연히 노년의 마지막 날을 기다리고 있는 곳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요양원은 노년의 삶을 사는 중요한 곳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요양원은 그저 ‘계시는’ 곳이 아닌 삶을 ‘사시는’ 곳이어야 한다는 책의 제목, 『우리 부모님은 요양원에 사십니다』 는 의미 있어 보인다.
이 책 속의 요양원에 관한 어느 이야기가 어떤 이에게 새롭지 않은 이야기처럼 보일지라도 뻔한 이야기가 되지 않는 것은 글쓴이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가 꿈꾸는 돌봄 공동체의 변화를 기대하게 한다.

많은 이들이 시설에서 보내는 여생을 삶의 나쁜 마무리처럼 여긴다. 실제로 일어나는 폭력과 사회가 요양원을 바라보는 폭력적인 시선, 그 모든 게 어르신에게는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자식들에게 폐가 되지 않기 위해 선택해야만 하는 곳. 왜 사람들은 요양원을 그런 곳으로 인식하고 있을까.

매는 기억과 추억이 뒤엉킨 병이라 가슴이 아픈 사례가 많다. 모두가 ‘집’이라는 공간이 주는 안정감을 알고 있지 않은가. 어느 날 갑자기 돌아갈 집이 사라졌거나 기억나지 않는다면 어떨지 상상해 보자. 끝없는 두려움이 찾아올 것이다.

기약할 수 없는 돌봄의 시간. 그 시작과 끝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보호자가 되어서 돌봄 생활을 해나가는 것은 삶의 중요한 요소를 희생하는 선택과 맞닿기도 한다. 돌봄 가운데 선택과 희생은 불가피한 것이지만 그것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사랑도 분명 그 가운데에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임수경
고려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산업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전산원, LG CNS, 국세청, KT 등에서 일했으며 한전KDN 사장,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 보아스 골든케어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나와 우리 가족의 이야기 /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 집이 될 수 있는 곳 / 어서 오세요, 보아스입니다 / 기억을 걷는 병 / 요양원에 간다는 것 / 죽음도 삶의 과정이다 / 보호자가 되는 일 / 믿음, 소망, 사랑 / 보아스 사람들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