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조선의 통신 정책은 일본의 조선 수탈을 용이하게 만드는 체제로 흡수되고 만다. 이 암울한 시기를 다룬 작품이 『덕률풍』이다. 1902년 일본이 침탈 야욕을 구체화하던 시기, 조선 통신권을 빼앗으려는 일본과 이를 저지하려는 통신원 학도들의 대결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덕률풍』은 역사적 사실에 기초했다. 통신기사 양성 기관인 통신원의 전무학당과 그 운영, 지금의 경찰청인 경무대와 경무사, 통신기사와 봉수원 등 실제 있었던 전신 기구와 경찰 조직, 다양한 직종 등 당시의 소재와 현실을 기반으로 했다. 경술국치 이전, 일본의 통신 침탈과 이를 목숨을 걸고 지켜야 했던 식민지 소년들의 비극적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출판사 리뷰
“누구는 나라를 팔아먹고, 누구는 나라를 지키려 목숨을 걸고”
빼앗긴 나라에서 조선의 통신을 지키려 분투한 소년의 이야기
조선에 처음 들어온 전화기 ‘덕률풍’, 통신 역사를 소설로 만나다!
한국 최초로 전화기가 등장한 것은 1882년. 청나라에서 전기를 배운 조선 유학생이 처음으로 가져왔다. 이후 1896년 고종이 행정을 위해 최초로 전화기를 사용했고, 일반 전화기가 도입된 것은 서울과 인천을 잇는 전화를 개통한 1902년이다. 이후 개성과 평양, 수원 등 9개소에 전화소가 설치되었다. 당시 전화기는 텔레폰을 음역한 이름 ‘덕률풍’으로 불렸다. 하지만 1905년 한일통신기관협정이 강제로 체결되면서 조선의 통신권은 박탈당하고, 조선인도 통신권을 당연히 빼앗긴다.
19세기 말 조선은 개화정책을 받아들이며 전신 체계를 도입하기 시작한다. 1882년에 통신행정 기구인 우정사를, 1884년에는 우정총국을, 1893년에는 전우총국을 설치한다. 이후 공문아문 역체국(1894), 농상공부 통신부(1895), 통신원(1900)으로 개편하면서 전신 사업을 추진해 간다.
하지만 결국 조선의 통신 정책은 일본의 조선 수탈을 용이하게 만드는 체제로 흡수되고 만다. 이 암울한 시기를 다룬 작품이 『덕률풍』이다. 1902년 일본이 침탈 야욕을 구체화하던 시기, 조선 통신권을 빼앗으려는 일본과 이를 저지하려는 통신원 학도들의 대결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덕률풍』은 역사적 사실에 기초했다. 통신기사 양성 기관인 통신원의 전무학당과 그 운영, 지금의 경찰청인 경무대와 경무사, 통신기사와 봉수원 등 실제 있었던 전신 기구와 경찰 조직, 다양한 직종 등 당시의 소재와 현실을 기반으로 했다. 경술국치 이전, 일본의 통신 침탈과 이를 목숨을 걸고 지켜야 했던 식민지 소년들의 비극적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통신을 빼앗으려는 자와 지키려는 자! 꼭 알아야 할 우리의 통신 역사
1902년 일반 전화기 덕률풍 보급을 앞둔 시절. 연기로 급보를 전하는 봉수대가 폐지되고 전화소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통신기사 양성 기관인 전무학당에서 공부하는 통신 보이 강식이는 장래 희망이 통신기사다. 전신대를 설치하는 통신기사인 아버지처럼 백성의 발이 되어 줄 통신 기술을 배워 나라의 역군이 되고 싶다. 그러던 어느 날 돌연 아버지가 일본 병사에게 체포되고 만다. 전신대를 쓰러뜨려 사람을 다치게 했다는 누명을 쓴 것. 이 모두가 조선의 통신권을 장악하기 위한 친일 경무사의 계략이었다.
강식은 아버지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사라진 전신대를 찾아 나선다. 전신대에는 강식이가 ‘나는 할 수 있다.’라는 자신의 다짐을 새겨 두었기에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터였다. 강식이는 인왕산에 숨겨둔 전봇대를 찾아 아버지의 누명을 벗고자 하지만, 최악의 국면에 맞닥뜨린다. 일본이 조선 정부 몰래 군용 전신권을 개설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었던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가까이 지내며 믿었던 이들이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나라를 저버리는 극악한 상황이 이어지는데…….
암울한 현실을 신념과 용기로 바꾼 소년, 세상에 뛰어들다
스마트폰, 스마트쇼핑, 디지털 미디어를 가능케 한 통신은 지금 우리에겐 매우 익숙한 기술이지만 백 년 이상의 통신 역사를 살펴보면 지난한 과정과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말기, 당시 백성들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우체, 전신, 전화 등 통신 정책의 도입은 역사적 수순이었다. 비록 일제의 침략으로 통신 주권에 대한 열망은 수포로 돌아갔지만 역사의 비극을 감당하며 이를 지키려 했던 사람들의 노력은 계속되었다.
비극적인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통신 주권을 지키려 고군분투하는 소년의 이야기가 깊은 울림을 주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아버지도, 삼촌도, 친구도 잃게 된 소년을 지탱하게 한 것은 의지와 용기였다. 식민지 소년에게 의지와 용기를 잃는 것은 모든 것을 잃은 것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누구는 나라를 팔아먹고, 누구는 나라를 지키려 목숨을 걸던 시절. 소년의 용기 있는 행동은 결국 배신자를 다시 돌아오게 하고, 동시대를 사는 사람들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힘으로 빛을 발했다. 『덕률풍』은 작고 힘없는 한 소년의 용기와 사랑이 민족을 구하는 불씨가 되었음을 확인하게 하는 소중한 이야기이다.
“덕률풍이네.”
해철 형님이 바로 맞췄다.
“맞아요. 그럼 뜻도 아시겠네요.”
“두말하면 입 아프지. 덕을 펼치는 바람이잖아.”
이번엔 성열 형님이 맞췄다.
“궁에 처음 전화기를 들여왔을 때 불렸던 이름이잖아. 뭐, 지금도 그렇게 불리기도 하고.”
인성 형님이 거들었다.
“그나저나 덕을 펼치는 바람이라니, 참 근사하지 않습니까. 앞으로 제가 만든 전화기 이름은 덕률풍입니다.”
일주일 전에 아버지의 작업장을 보았다는 건 계획적으로 일을 꾸몄다는 의미 아니겠는가. 그런데 왜 아버지의 작업장이란 말인가. 통신기기들은 무슨 일로 들여놓은 거고. 그때 문득 학도 형님들과 나누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우리의 통신권을 빼앗아서 또 전쟁을 벌이려고 그러는 거지. 적군의 동태를 살펴 속히 보고하는 데 통신만 한 게 없잖아.’
내 시선이 다시 병수 삼촌에게 옮겨 갔다. 병수 삼촌이 까짓것, 하는 표정으로 말했다.
“일본이 청국하고 전쟁을 벌였을 때 청국이 졌잖아. 그때 청국이 놓고 간 것들이야.”
“아, 그렇습니까. 흐음, 그런데 청국이 놓고 간 걸 왜 가져온 것입니까?”
“그야 여기 작업장에 군용 전신권을 개설하려고 그런 거지.”
“군용 전신권이요? 그게 뭡니까?”
“어? 내가 방금 뭐라고 했지?”
병수 삼촌은 당황했다.
“군용 전신권인가 군밤 전신권인가, 아무튼 그걸 개설했다고요.”
“아냐, 아냐. 그건 내가 잘못 말한 거야. 못 들은 걸로 해.”
병수 삼촌은 몇 차례 헛기침을 하며 아래로 내려갔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승민
계간 「어린이책 이야기」에 글이 실리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제12회 불교문학상에 입상한 동화 『오방색 꿈』과 『1895년 소년 이발사』, 어린이 논픽션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어(공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선정 도서인 『조선 비밀 마구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