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4 대구광역시교육청 책쓰기 프로젝트>에서 선정된 책으로, ‘ChatGPT’와 나눈 대화 내용과 최대 관심사인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구를 소설, 수필 형식으로 담아 낸 작품집이다. 요즈음 화두가 되었던 오픈AI가 개발한 최첨단 언어 모델인 ‘ChatGPT’를 활용하여, 세상에 대한 왕성한 호기심을 질문하고, 대화한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입혀본 이야기와 학생들의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를 하여, 미래를 만들어 가는 주제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한 이야기들을 소설, 수필 형식으로 열정적으로 창작하였습니다.
출판사 리뷰
챗gpt를 만나고 나의 미래를 꿈꾸다
<2024 대구광역시교육청 책쓰기 프로젝트>에서 선정된 책으로, ‘ChatGPT’와 나눈 대화 내용과 최대 관심사인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구를 소설, 수필 형식으로 담아 낸 작품집이다.
요즈음 화두가 되었던 오픈AI가 개발한 최첨단 언어 모델인 ‘ChatGPT’를 활용하여, 세상에 대한 왕성한 호기심을 질문하고, 대화한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입혀본 이야기와 학생들의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를 하여, 미래를 만들어 가는 주제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한 이야기들을 소설, 수필 형식으로 열정적으로 창작하였습니다.
제 1부는 ‘그린비, 챗gpt와 대화하다’이다.
호기심으로 챗gpt를 처음 대했을 때와 달리 챗gpt와 진지하게 대화하고, 그에 대한 느낀 점을 솔직담백하게 적고 있다.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그린비 학생들은 인공 지능과 정보와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상호 학습과 협업을 강화하는 경험을 작품 속에 담아 내고 있다.
제 2부 ‘그린비, 진로의 여정을 그리다’이다.
자신만의 주제를 설정하여 창작한 각각의 글은 청소년들의 최대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를 보여주며, 그들의 미래를 밝게 묘사하고 있다. 영화 분야, 영화감독, 프로그래머, 작가, 언어학자, 데이터 분석가, 생명공학 연구자, 전자공학자, 안전관리자, 교육자 등 다양한 분야에 자신의 꿈을 두고 각자의 꿈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그 열정을 발산하여 뛰어난 글을 창작하였다.
열일곱 열여덟 남학생들의 머릿속에 가득한 형언할 수 없는 무궁무진한 것들이 창작의 고통을 겪으면서 생각의 우물들이 깊이 파져서 마르지 않는 샘물이 되고, 솟구치는 창작의 영감을 자꾸자꾸 퍼 올려 멋진 작품으로 탄생하였다.
책장을 넘기면서 펼쳐질 다채로운 이야기는 여러분께서 독자일 뿐만 아니라 든든한 동료 여행자가 되어 그린비 주인공들의 미래에 대한 비전과 탐구에 불을 붙일 그들의 아름다운 진로 여정에 함께하길 바란다.
- 대구광역시교육청은 <대구광역시교육청 책쓰기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2009년부터 책을 읽기만 하는 소비자로서의 학생에서 책을 생산하는 저자가 될 수 있도록 책쓰기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매년 학생들이 책쓰기 교육을 통해 학생저자로 탄생하고 있다.
…타닥 타닥 타닥…
여기저기서 자판 소리가 진지하면서도 묵직하게 들립니다. 혹시 어디서 들리는지 궁금하세요? 네, 바로 성광고등학교 컴퓨터실입니다. 매년 그랬듯이, 올해도 참 감사하게 성광고 ‘그린비’ 동아리의 책쓰기 갈무리가 시작되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작품에 한 땀 한 땀 열심히 황금빛 수를 놓고 있습니다. ‘그린비(그리운 선비)’ 책쓰기 동아리가 어느덧 열세 번째 책의 완성을 앞두고 있습니다.
올해 열일곱 열여덟 남학생들은 요즈음 화두가 되었던 오픈AI가 개발한 최첨단 언어 모델인 ‘ChatGPT’를 활용하여, 세상에 대한 왕성한 호기심을 질문하고, 대화한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입혀본 이야기와 학생들의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를 하여, 미래를 만들어 가는 주제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한 이야기들을 소설, 수필 형식으로 열정적으로 창작하였습니다.
제 1부는 ‘그린비, 챗gpt와 대화하다’입니다.
그린비 학생들은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한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관심 분야와 진로에 대한 탐구를 위해 정보를 얻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창의적인 융합정신을 발휘하여,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관심사를 탐구하고 심층적인 정보를 습득했습니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자
신의 진로와 전공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얻었을 것입니다. 이 활동을 통해 우리 아이들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는 능력을 기르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깨달았을 것입니다.
처음으로 챗gpt와의 대화를 시도한 아이의 생각, 그동안 장난삼아 여러 번 챗gpt와의 대화를 한 학생의 생각 등 여러 상황들이 존재했지만, 이번 책쓰기 활동에서는 챗gpt와 진지하게 대화하고, 그에 대한 느낀 점을 솔직담백하게 적어보았습니다.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그린비 학생들은 인공 지능과 정보와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상호 학습과 협업을 강화하는 경험을 얻었습니다. 이러한 뛰어난 노력과 열정의 결과물이 한 편의 글로 나타났습니다.
제 2부 ‘그린비, 진로의 여정을 그리다’입니다.
그린비 학생들의 글은 그들의 개성과 역량을 빛내고, 미래에 대한 열망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자신만의 주제를 설정하여 창작한 각각의 글은 그들의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를 보여주며, 그들의 미래를 밝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한 글자 한 글자 진심을 눌러 담아 써내려 간 것이 느껴집니다. 아이들이 풀어낸 글에서 찾아볼 수 있는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분석, 그리고 창의적인 비전은 놀라울 뿐만 아니라 영감을 주기도 합니다.
이 학생들은 영화 분야, 영화감독, 프로그래머, 작가, 언어학자, 데이터 분석가, 생명공학 연구자, 전자공학자, 안전관리자, 교육자 등 다양한 분야에 자신의 꿈을 두고 각자의 꿈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그 열정을 발산하여 뛰어난 글을 창작하였습니다.
열일곱 열여덟 남학생들의 머릿속에는 형언할 수 없는 무궁무진한 것들이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가득 존재하나 봅니다. 책쓰기 활동을 처음 시작했을 때에는 다소 어색해하기도 했고, 아이디어를 내기 위한 몸부림도 조금 비쳤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이 가진 생각의 우물들이 깊이 파져서 마르지 않는 샘물이 되고, 솟구치는 창작의 영감을 자꾸자꾸 퍼 올리는 것을 지켜보게 됩니다.
책장 한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글쓰기에 대한 아이들의 노력과 열정이 보입니다. 서로 다른 각자의 경험과 지금까지 걸어온 인생이 보입니다. 책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노력과 열정을 칭찬하고, 수고한 학생들에게 응원과 격려의 박수를 보내며 이 책쓰기 활동이 얼마나 귀중하고 가치 있는 경험인지 강조하고 싶습니다. 또한 우리 학생들의 미래가 빛나도록 이와 같은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책장을 넘기면서 펼쳐질 아이들의 다채로운 이야기가 기대되신다면 여러분께서 독자일 뿐만 아니라 든든한 동료 여행자가 되어 우리 그린비 주인공들의 미래에 대한 비전과 탐구에 불을 붙일 그들의 아름다운 진로 여정에 함께해 주시길 기원합니다.
마지막으로 책이 나오기까지 도와주신 동료 국어교사(김대웅, 김형수, 남양선, 우성훈, 이대은, 이은희, 정반석, 정성윤, 정안수)와 미술 동아리(광미회) 시간에 그린비 책의 발간을 위해 학생들이 활동한 그림을 찬조해 주신 최수형 선생님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마음껏 책을 갈무리할 수 있도록 늦은 시간까지 컴퓨터실을 개방해 주신 이우일 선생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지도교사 성진희
작가 소개
지은이 : 그린비
그리운 선비들의 아름다운 향연, ‘그린비’‘그린비’는 ‘그리운 선비’의 준말로 글을 사랑하는 성광고등학교 책쓰기 동아리이다. 대구광역시교육청에서 실시한 ‘책쓰기 프로젝트’에서 여덟 작품집 『그린비, 시를 그리다』, 『그린비, 세상을 그리다』, 『그린비, 꿈을 노래하다』, 『그린비, 봄을 꿈꾸다』, 『그린비, 향촌을 거닐다』, 『그린비, 영화 그 뒤를 걷다』, 『그린비, 별을 쏘다』, 『그린비, A.D. 2040을 두드리다』가 우수도서로 선정되어 전국 출판되는 영예를 안았다. 그 외 『그린비, 향촌을 거닐다∥』, 『그린비, 명화를 스토리텔링하다』, 『그린비, 일상에 일상을 더해 이상을 이루다』가 있으며, 올해 『그린비, 흐린 지구에 푸른 인간을 그리다』는 열두 번째 작품이다.
목차
책머리에 지도교사 성진희
1부……그린비, 챗GPT와 대화하다
알려 줄래? 영화 분야 정하윤
알고 싶어! 프로그래머, 인공지능 대체품 이진호
말해 줘! 쓰레기 섬 고현우
작가에 대하여 장세형
안락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박대운
영화감독은? 제갈민서
너 소설도 쓸 줄 아니? 이승민
데이터 분석가에 대하여 알려 줄래? 민선재
생명공학 연구자를 알고 싶어 박찬엽
전자의 모든 것에 대해 전민규
꿈이란 최우진
생명 윤리에 대한 너의 의견을 말해 줄래? 임세헌
알고 싶어! 안전관리자 조성민
미래를 말해 줄 수 있니? 오동건
2부……그린비, 진로의 여정을 그리다
1. 엔터테인먼트 및 예술의 여정
우리가 사는 세상┃금빛나무 / 페트병 25호 / 에필로그 정하윤
죽음에 대하여┃모순 / 나의 단상 / 에필로그 박대운
프로답게┃우리의 청춘은 푸르다 / 에필로그 제갈민서
본성(本性)┃번 아웃 / 성전환 군인 / 에필로그 장세형
2. 기술 및 공학의 여정
데이터의 변신┃데이타-버스 / 에필로그 민선재
THE SMALL┃전자 생존 / 에필로그 전민규
programming & AI┃분열 / 대체품 / 에필로그 이진호
생명 윤리┃결정, 복제 인간 / 에필로그 임세헌
3. 과학 및 연구의 여정
외국어 정복기┃더 아일랜드 / 에필로그 이승민
신경, 미래, 현대, 그리고 신념┃미래 / 에필로그 오동건
포스트 팬데믹┃팬데믹 창조자 / 에필로그 박찬엽
쓰레기와의 전쟁┃쓰레기 섬 / 재활용 / 에필로그 고현우
4. 안전 및 보안의 여정
로마인 이야기┃세베리우스 아비투스 / 에필로그 조성민
5. 교육의 여정
꿈┃비합리적인 선택 / 에필로그 최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