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언해 경신록언석  이미지

언해 경신록언석
『경신록』을 풀이하여 1796년에 간행한 언해서
한국학자료원 | 부모님 | 2024.03.15
  • 정가
  • 150,000원
  • 판매가
  • 135,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9.5x26.5 | 0.626Kg | 184p
  • ISBN
  • 979116887655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경신록』을 풀이하여 1796년에 간행한 언해서. ‘경신록언해’라고도 한다. 원래 『경신록』은 도가에서 인간의 선행과 악행에 대한 하늘의 업보(業報)를 하나하나 예를 들어 실증한 책으로, 이 한문본은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천보산 불암사(佛巖寺)에서 홍태운(洪泰運)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하였다. 이 책의 판목(板木)은 현재에도 불암사에 보존되어 있다. 전체가 86장인 이 책은 한문 원문이 없고 언해만 실려 있다. 언해도 서명과 각 경문의 제목만 한자로 썼을 뿐, 나머지는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경신록』을 풀이하여 1796년에 간행한 언해서.

1권 1책. 목판본.

‘경신록언해’라고도 한다. 원래 『경신록』은 도가에서 인간의 선행과 악행에 대한 하늘의 업보(業報)를 하나하나 예를 들어 실증한 책으로, 이 한문본은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천보산 불암사(佛巖寺)에서 홍태운(洪泰運)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하였다. 이 책의 판목(板木)은 현재에도 불암사에 보존되어 있다.

전체가 86장인 이 책은 한문 원문이 없고 언해만 실려 있다. 언해도 서명과 각 경문의 제목만 한자로 썼을 뿐, 나머지는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光緖六年庚辰季春刊印(광서6년경진계춘간인)’이라는 간기를 가진 이본(異本)은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0년(고종 17)최성환(崔瑆煥)이 번역한 것으로 1권 1책 84장으로 된 목판본이다.

1880년본은 1796년본의 판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어서 표기나 판식(版式) 등에 차이점이 전혀 없다. 단지, 원간본의 간기와 지(識)가 있는 끝부분의 2장이 없을 뿐이다.

1880년(고종본)의 내용은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문창제군음즐문(文昌帝君陰騭文)」·「문창제군권경자지문(文昌帝君勸敬字紙文)」·「동악대제회생보훈(東嶽大帝回生寶訓)」·「원료범선생입명편(袁了凡先生立命篇)」·「유정의공우조신기(兪淨意公遇竈神記)」·「감응편치복영험(感應篇致福靈驗)」·「음즐문영험(陰騭文靈驗)」·「인시경신록영험 印施敬信錄靈驗」·「행불귀전공응례(行不貴錢功應例)」·「공과격찬요(功過格纂要)」 등으로, 여러 도가서에서 발췌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796년본(정조본)은 수록항목이 약간 다르다. 1795년에 간행된 한문본 『경신록』은 항목수가 15가지가 아닌 19가지로 되어 있다.

『경신록언석』은 18세기말의 국어현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데, ‘ㅄ’을 제외하고는 ‘ㅅ’계 합용병서만을 어두의 된소리로 사용하였다는 점, 어말자음군 중 ‘ㄺ’과 ‘ㄼ’만 분철표기하였다는 점, ‘ㄷ’구개음화가 보인다는 점, 치찰음(齒擦音) 아래에서의 ‘이’ 전부고모음화(前部高母音化)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1981년홍문각(弘文閣)에서 영인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작가 소개

지은이 : 최성환
조선후기 동지중추부사, 중추부도사, 수문장 등을 역임한 무신.최성환(崔瑆煥)은 1813년(순조 13)에 출생하였다. 자는 성옥(星玉)이고, 호는 어시재(於是齋)이며,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중인 가문 출신으로, 할아버지는 최윤상(崔潤祥)이고, 아버지는 최광식(崔匡植)이다.1838년(헌종 4) 무과에 급제한 뒤 1843년(헌종 9) 이후 수문장을 지냈고, 1844년(헌종 10)에는 훈련도감 초관(哨官)을 지냈으며, 1845년(헌종 11)에는 종4품의 선략장군(宣略將軍)으로 무겸선전관과 훈련원주부를 지냈다. 1849년(철종 즉위) 훈련원 판관, 1851년(철종 2) 경복궁 위장(景福宮衛將)을 지냈고, 같은 해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으며, 1852년(철종 3)에는 중추부도사를 역임하였다. 1864년(고종 1)에는 대왕대비와 왕대비에게 존호를 올리기 위해 설치한 가상존호도감(加上尊號都監)에 별간역(別看役)으로 참여하였다. 1874년(고종 11)에 다시 수문장에 제수되었다. 1891년(고종 28)에 사망하였다.최성환은 중인인 율과(律科) 출신 장지완(張之琬), 역과(譯科) 출신 정수동(鄭壽銅) 등과 교류하는 한편, 판서를 역임한 남병철(南秉哲)의 후원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1882년(고종 19)과 1885년(고종 22) 두 차례에 걸쳐 시무에 관한 상소를 올린 바 있는데, 특히 1882년에는 『효경대의(孝經大義)』와 『고감(古鑑)』두 책을 올리고 이를 중외에 널리 알려 교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효경대의』는 『효경』의 장구(章句)에 옛 사람들의 훌륭한 행실을 경서와 사서 등에서 발췌하여 첨부한 것이고, 『고감』은 이전 역사에서 군신(君臣)의 선악 중 경계할 내용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이 밖에도 최성환은 다수의 저술을 편찬하였는데, 『고문비략(顧問備略)』은 헌종 연간 국왕의 초치(招致)를 받은 뒤에 국왕을 만나 발언하기 위해 정치와 군사, 제도 및 관리의 인사나 인재 등용 등과 관련된 시무를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그러나 헌종의 승하로 국왕에게 올리지는 못했다.또한 남병철이 발문을 쓴 『시민요결(視民要訣)』, 역대 중국의 시선집인 『성령집(性靈集)』과 한국의 역대 시를 모은 『동국아집(東國雅集)』, 교류했던 정수동의 시를 모아 간행한 『하원시초(夏園詩抄)』, 교화서인 『태상감응편도설(太上感應篇圖說)』, 지리서인 『여도비지(輿圖備志)』 등이 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