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한자와 성운학 이미지

한자와 성운학
역락 | 부모님 | 2024.04.28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9,000원 (5%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x20 | 0.374Kg | 288p
  • ISBN
  • 979116742713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통시’라는 개념과 ‘공시’라는 개념은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가 제시한 분석 기준이다. 이 개념은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언어학 이외에도 문학이나 역사 또는 문화사적인 면에서 각 요소의 변천 과정이나 지역·세대·계층 간의 차이 등을 논할 때 공시와 통시로 구분해서 접근할 수 있다. 학문 분석의 기본적인 틀이 된다.

  출판사 리뷰

『고음운학초계-상(古音韻學初階-上)』 1에서는 성운학(聲韻學)을 ‘천서(天書)’와 ‘절학(絶學)’이라는 표현으로 소개하고 있다. 성운학이 상당히 그리고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천서(tiānshū), 즉 ‘하늘의 책’이라는 뜻이다. 하늘의 이치에 맞닿을 만큼 어려운 내용이라는 표현이다. 절학(juexue)은 ‘실전(失傳)된 학문’을 지칭하기도 하고, ‘빼어나고 독보적인 학문’을 지칭하기도 한다.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든, ‘어렵다’라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이처럼 ‘어렵다’라는 선입견 때문인지, 성운학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대만에서도 다른 영역에 비해 전공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이나 연구자들이 상당히 적은 영역이다.
성운학의 가장 기본적인 효용은 중국어 어음(語音), 즉 발음의 통시적(通時的) 변화와 공시적(共時的) 차이를 고찰하는 데 있다. 통시(通時, Diachrony)라는 개념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석 방식인데, 중국 언어학에서는 ‘역사’의 ‘역(歷)’과 ‘시간’의 ‘시(時)’자를 조합한 ‘歷時(lishi)’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과정을 일컫는 것이다. 동일한 개념을 국내 언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시’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風(바람 풍)’자는 한(漢)나라 이전인 은(殷)·주(周)·진(秦)나라 시기에는 어떤 모양으로 썼을까? 은나라 때나 주나라 시기의 유물을 보면 ‘風’자가 ‘鳳(봉황새 봉)’자처럼 새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봉황새 모양으로 그려졌던 글자가 진나라·한나라를 거치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風’자의 모양으로 변화해 온 것이다. 자형(字形)상의 통시적인 변화 과정이다. 발음 측면에서 보면, 어떤 글자가 한나라 때에는 어떻게 읽혔고 공자(孔子)나 이백(李白)·두보(杜甫) 시대에는 어떻게 읽혔는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반면, 공시(共時, Synchrony)는 공통된 시간대이다. 예를 들면, 이백과 두보는 당(唐)나라 시대에 해당한다. 8-9세기라고 한다면 100년 단위가 되겠고, 당나라 시대라고 한다면 몇 백 년 단위가 될 것이며, 문명사 이후라고 한다면 몇 천 년 단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시라는 틀로 어느 시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할 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역적인 차이’가 될 것이다. 지역 차이 이외에도, 요즘 사용하는 인터넷 용어라든지 이모티콘을 통한 언어 전달 방식 등 공시라는 공통의 시간에서 사용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차이는 예외적인 상황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연령대에 따라 이해도가 달라질 수 있는 ‘세대 간의 차이’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군이나 사회 계층의 차이에 따라서도 표현 양식이나 언어 형태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시’라는 개념과 ‘공시’라는 개념은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가 제시한 분석 기준이다. 이 개념은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언어학 이외에도 문학이나 역사 또는 문화사적인 면에서 각 요소의 변천 과정이나 지역·세대·계층 간의 차이 등을 논할 때 공시와 통시로 구분해서 접근할 수 있다. 학문 분석의 기본적인 틀이 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신아사
중국 베이징대학교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의 HK+사업단에서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언어, 문화, 지역, 교육,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학적 요소와 학술 경향을 고증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석하며, 동아시아와 서양 사이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계한자학회 IJCCS의 Managing Editor와 『중국언어연구』의 편집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이 : 배은한
현 단국대 중문과 교수.한국중국언어학회 부회장, 중국문화연구학회 부회장 등 역임.《현대표준중국어 어음발전사 (共譯)》, 《한중일 공통 한자어 어휘집 (共編)》, 《中日韓共用漢字詞典 (共編)》, 《현대 중국어 어법 강의 (共譯)》, 《中語學槪說 (敎材)》 等.

  목차

제1장 입문(入門)
1.1. 성운학(聲韻學)과 한자(漢字)
1.2. 성운학(聲韻學)의 효용
1.2.1. 통시적(通時的) 변화와 공시적(共時的) 차이 고찰
1.2.2. 어음(語音)의 변화 과정 및 방향 분석
1.3. 한자(漢字)의 변천
1.3.1. 자음(字音)의 변천
1.3.2. 자형(字形)의 변천
1.3.3. 자의(字義)의 변천
1.4. 중국어의 음절(音節) 구조
1.4.1. 중국어 음절(音節) 구성의 3요소
1.4.2. 원음(元音)·보음(輔音)
1.4.3. 성모(聲母)·운모(韻母)·성조(聲調)
1.5. 음향(音響)·음성(音聲)·음운(音韻)
1.6. 중국어 발음 표기법의 역사
1.6.1. 비황(譬況)·독약(讀若)·직음(直音)
1.6.2. 반절(反切)

제2장 성모(聲母)
2.1. 성모(聲母)의 개념
2.2. 성모(聲母)의 분류
2.2.1. 발음기관
2.2.2. 성모(聲母)의 종류-1
2.2.3. 성모(聲母)의 종류-2
2.2.4. 성모(聲母)의 종류-3
2.3. 성모(聲母)의 변천
2.3.1. 고대중국어의 성모(聲母)
2.3.2. 36자모(字母)·조매시(早梅詩)
2.3.3. 탁음청화(濁音淸化)
2.3.4. 성모(聲母)의 통시적(通時的) 변화

제3장 운모(韻母)
3.1. 운모(韻母)의 개념
3.1.1. 운모(韻母)의 정의
3.1.2. 한중 음절(音節) 구조 비교
3.1.3. 모음(母音)의 분류
3.1.4. 운모(韻母) 구성의 3요소
3.2. 운모(韻母)의 분류
3.2.1. 단운모(單韻母)
3.2.2. 복운모(複韻母)
3.2.3. 부성운모(附聲韻母)
3.2.4. 사호(四呼)
3.3. 운모(韻母)의 변천
3.3.1. 음성운(陰聲韻)
3.3.2. 양성운(陽聲韻)
3.3.3. 입성운(入聲韻)
3.3.4. 한어병음자모(漢語拼音字母) 운모(韻母) 철자법의 주요 사항

제4장 성조(聲調)
4.1. 성조(聲調)의 개념
4.1.1. 초분절음소(超分節音素)
4.1.2. 사성팔조(四聲八調)
4.2.3. 조류(調類)·조치(調値)
4.2. 성조(聲調)의 분류
4.2.1. 성조(聲調) 표기법
4.2.2. 상성(上聲)의 변조(變調)
4.2.3. 성조(聲調)의 발견과 활용
4.2.4. 평성(平聲)·측성(仄聲)
4.3. 성조(聲調)의 변천
4.3.1. 성조(聲調)와 운서(韻書)
4.3.2. 성조(聲調)에 대한 인식의 변화
4.3.3. 평분음양(平分陰陽)
4.3.4. 탁상변거(濁上變去)
4.3.5. 입파삼성(入派三聲)

제5장 마무리
5.1. 기본 개념 총정리
5.2. 성모(聲母) 총정리
5.3. 운모(韻母) 총정리
5.4. 성조(聲調) 총정리
5.5. 성운학(聲韻學) 총정리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