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채상미
경기과학고등학교에 근무하면서 학생들과 데이터 과학, 딥러닝을 연구하며 틈틈이 책을 쓰고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도 스스로의 발전을 위한 노력으로 아주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인공지능 기초 과목시안 개발 연구진, 경기도중등정보교육연구회 간사를 거쳐 현재는 <인공지능 기초> 교과서(2015, 2022) 집필자, 경기도중등정보교육연구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은이 : 김세희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졸업 후 인공지능 교육 분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인공지능과 미래 교육에 관심을 가지며,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용인 서천고등학교 정보 교사로, SW·AI 교육 중심학교를 운영하며 AIEDAP 마스터 교사로 활약 중입니다.
지은이 : 박솔애
성균관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과 수학교육을 전공했으며,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분석 등의 컴퓨터 기술이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될 때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현재 경기 서천고등학교 정보 교사로서 정보 및 프로그래밍 과목을 가르치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지도교사를 지냈으며, 현재 수원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 지도교사이면서 2024 AI·정보교육 중심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은이 : 우범윤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한국교원대 인공지능융합교육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부천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창의융합상상소)에서 영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정보 수업을 했습니다. AI선도학교인 경기 성주중학교에서 인공지능 대표교사로 지냈으며, 서울 북부교육지원청에서 AI선도교사로서 교사연수를 진행했습니다. 현재는 서울 중평중학교에서 정보 교사로서 파이썬, 인공지능을 가르치며 SW·AI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지은이 : 이준용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정보 교사로서 학생들과 함께 게임과 인공지능을 융합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기도중등정보교육연구회 연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경기 하길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 수업을 연구하였으며, SW 및 AI 연수강사로 활동했습니다. 2021 인공지능 교육 역량 강화원격연수콘텐츠 개발을 하였으며, 꾸준히 데이터 과학과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을 나누기 위해 인공지능 관련 책을 쓰고 있습니다.
지은이 : 정지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데이터 전처리 교수학습 개발로 컴퓨터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경기도중등정보교육연구회 주관 공모연수 기계학습 강사로 활동했으며, 경기도 SW·AI 직무연수 강사로 활동하며 많은 선생님과 함께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 관련 수업을 나누고 있습니다. 현재는 경기매원고등학교에서 정보 과목을 가르치며 데이터 시각화, 기계학습 프로젝트 수업 등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수원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 창의융합상상소 정보영재 강사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은이 : 조광진
성균관대학교에서 인공지능융합교육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경기 고양국제고등학교 정보 교사로서 인공지능과 다양한 교과의 융합을 위한 수업에 대해 고민하며 다양한 수업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경기 디지털 창의역량교육 100선 공모전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머리말
이 책을 미리 따라 해본 베타테스터들의 한마디
베타테스터의 한 줄 평
CHAPTER 1 : 준비마당 : 오렌지3의 기초 상식
-오렌지3란 무엇일까?
-오렌지3 설치하기
-오렌지3 시작하기
-오렌지3 준비운동
CHAPTER 2 : 창의융합 : 오렌지3와 데이터 분석
-북미에서는 Wii, 일본에서는 GB가 왜 인기일까? | 데이터로 보는 비디오게임 - 데이터 시각화 |
-연비가 좋은 자동차를 고르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 | 탐색적 데이터 분석, 데이터 핵심 속성 추출, 로지스틱 회귀 |
-언제쯤 첫눈이 내릴까? | 회귀 |
-조건에 따른 주택의 가격을 예측해볼까? | 지도 학습, 알고리즘 비교 |
-축구 선수들을 능력별로 군집화해볼까? | 비지도 학습, K-평균 군집화와 계층적 군집화 |
-《개구리 왕자》 동화책 내용은 긍정적일까, 부정적일까? | 텍스트 마이닝 |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는 어떻게 분포되어 있을까? | 지리 정보 시각화 |
CHAPTER 3 : 교과융합 : 오렌지3로 교과과목 응용하기
-미세먼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푸른 하늘을 예측해보자 | 군집(K-means) |
-백제, 신라, 고구려의 유물을 구분할 수 있을까? | 로지스틱 회귀 |
-구름의 종류를 인공지능으로 잘 분류할 수 있을까? | 트리 기반 분류 모델 |
-우리가 사는 지구의 환경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 예측 분석, 시계열 |
-영화를 본 사람들은 어떤 리뷰를 남겼을까? | 텍스트 마이닝 |
-혈당과 혈압 측정을 통해 당뇨병인지 알 수 있을까? | 지도 학습, 나이브 베이즈 분류 |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