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남중
대학 졸업 후 《국민일보》에 입사해 25년 넘게 일하고 있다. 경제, 사회, 정치, 편집, 탐사, 국제 등 여러 부서를 거쳤다. 국제부장, 문화부 선임기자를 거쳐 현재는 국제부 선임기자로 일한다.
지은이 : 홍기삼
대학 졸업 후 1997년부터 기자생활을 시작했다. 《머니투데이》를 거쳐 2011년부터 뉴스1에서 일하고 있다. 청와대팀장, 법조팀장, 사건팀장, 사회부장, 사회정책부장, 바이오부장, 마케팅총괄 등을 역임했다.
지은이 : 김승훈
경북 김천 출생으로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서울신문에서 사회부, 산업부, 문화부, 사회2부, 경제부, 정치부 등을 거쳤다. 저서로 『김 기자 어떻게 됐어?』, 번역서로 『비욘드 코로나 뉴비즈니스 생존전략』 등이 있다.
지은이 : 최지숙
2011년 《서울신문》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2017년부터 연합뉴스TV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치부 정당팀, 사회부 법조팀, 경제부 등을 거쳐 현재 정치부 대통령실에 출입하고 있다. 사회 현안을 ‘정확하게,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자 애써 왔다.
지은이 : 김경미
2008년 《머니투데이》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2011년 《중앙일보》에 입사했다. 경제부, 사회부, 정치부, IT산업부 등을 거쳐 현재 산업부에서 취재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의 보도 방식을 경험한 것이 큰 자산이다.
지은이 : 전혼잎
정치부와 정책사회부, 어젠다기획부 마이너리티팀을 거쳐 지금은 문화부에서 문학에 관한 기사를 쓴다. 비정규직 노동 등을 취재한 기획기사로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한국여성기자상, 국제앰네스티 언론상을 받았다.
지은이 : 이현주
2012년 《아시아경제신문》에 입사해 현재 정치부 국회 출입을 하고 있다. 산업부, 금융부, 사회부 등을 거쳤다. 여성가족부를 출입하면서 만났던 기자들과 『페미니즘 리포트』를 함께 펴냈다.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다.
지은이 : 이제형
대학 시절, 공사판 일용직을 해서 번 쌈짓돈으로 창간에 참여했던 신문사에서 지금도 일하고 있다. 경찰과 국회를 거쳐 서울시를 취재한다. 자치와 분권 없인 대한민국의 다음 단계는 열리지 않는다고 믿는다.
지은이 : 박호근
2000년 8월 《세계일보》에 입사, 2009년 5월 MBN으로 옮겨 정치부, 경제부, 산업부에서 경험을 쌓았다. 서울시 출입을 끝으로 현장 기자생활을 마감하고 보도제작부장과 전국부장을 거쳐 현재는 편성기획부장을 맡고 있다.
지은이 : 김정욱
어릴 때부터 역사와 과학,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아 신문으로 관련 지식을 많이 접했다. 기자가 된 후에는 정치부와 사회부에서 주로 활동했고, 특히 사회적 이슈가 되는 것들을 집중 취재하며 기사를 쓰고 있다.
지은이 : 오주현
연합뉴스 사회부와 경제부, 연합뉴스TV 스포츠문화부를 거쳐 지금은 경제부에서 유통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사회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발굴해 전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고 일한다.
지은이 : 양소리
2016년 민영통신사 뉴시스에 입사해 사회부 사건팀, 국제부 유럽팀, 정치부 정당팀과 대통령실팀에서 일했다. 지금은 교육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최전선에서 가장 빠르고 정밀하게 기록하고자 한다.
들어가며
ISSUE 1 거부권과 특검법 - 여소야대 정국의 그림자, 거부권·특검법 ‘치킨게임’
ISSUE 2 AI 규제 - 만능 인공지능 개발의 빛과 그림자, ‘AI 규제’
ISSUE 3 중동전쟁 - 끝이 보이지 않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ISSUE 4 의료대란 -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 무엇이 문제인가?
ISSUE 5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 사상 첫 최저임금 1만 원 돌파
ISSUE 6 탄핵 - 헌정사상 최다 탄핵안 봇물과 헌법 84조 논란
ISSUE 7 방송4법 - 끝나지 않는 공영방송 입법 전쟁
ISSUE 8 노벨문학상 수상 - 소설가 한강, 한국인 첫 노벨문학상 수상 영예
ISSUE 9 RE100 -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선택 아닌 필수, ‘RE100’
ISSUE 10 초고령사회 돌입 - 65세 이상 고령자, 1천만 명 시대
ISSUE 11 이커머스 대란 - 격변하는 이커머스 시장
ISSUE 12 부자 감세 - 세제 개편 논란 ‘중산층 부담 경감’ vs ‘부자 감세’ 그리고 세수 펑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