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스무 살 어른이 되기 전 읽어야 할 청소년 필독서.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어른으로 성장할 것인가?” 한때 방황의 시기를 보낸 스무살 저자가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모여, 현실에 대해 고뇌하고 앞으로 어떻게 살 지에 대해 토론하며 어른이 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엮은 성장 인문소설이다.
출판사 리뷰
나의 열아홉 살은 어땠을까?
당신의 열아홉은? 대학 1학년 스무살 청년이 찾아와 자신의 일기와 경험을 소설로 엮었다면서 내민 원고를...차마 거절하지 못했다.
고등학교 시절, 대입에 전념해도 모자랄 시기에 한때 방황의 시기를 같이 보낸 친구들을 모아
‘여명’이란 조직을 만들어 삶에 대해, 사회에 대해 그리고 어른이 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책을 읽고 토론하고 고민을 했단다. 그것이 기특했다.
이 책은 스무 살 어른이 되기까지의 여정을 담은 성장 인문소설이다.
작가는 이미 어른이 되기 전에 알고 있었다.
삶이란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불타올라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스스로 헤쳐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튼실하게 뿌리를 내리고 이제 세상을 향해 가지를 뻗기 시작한 작가가 어떤 꽃을 피우게 될지 몹시 기대된다.
내 안에는 나무가 있다.
오늘도 꽃 한 송이를 피웠다가 지기를 반복한다.
후회라는 감정에 어제의 나를 담아
씨앗을 심어 본다.
나는 영양분을 준 적도 없는데
봄이 왔음을 알리는 거리의 꽃들처럼
이곳저곳에서 형형색색의 모습으로 새싹을 돋는구나.
복잡한 감정에 오늘의 나를 담아
줄기를 뻗어본다.
나는 한 송이만 피우려고 했는데
여러 줄기를 뻗은 것을 보니
벌써 가지치기를 해야겠구나.
두려움과 희망에 내일을 담아
꽃 한 송이를 피어 본다.
나는 하나의 꽃이라도
아름다운 모습으로 개화하기를 바랐는데,
여러 군데, 많은 모습으로 피었음에도
내가 바라던, 빨갛고 노란 너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구나.
연하게 핀 너를 어찌 받아들이고.
내가 원하던 색이 아닌 모습으로 나타난 너를
나는 어찌 받아들여야 할까.
무엇이 너의 모습을 그렇게 만들었느냐?
내 안에는 나무가 있다.
그대로
헨젤과 그레텔 이야기. 우리가 어렸을 적 부모님이 읽어주던 동화책 주인공들이지.
그들은 길을 잃지 않기 위해 하얀 조약돌과 빵을 이용해
자신이 오던 길목에 하나 둘 놓으며 나중에 그 길을 다시 왔을 때
길을 잃지 않도록 미연의 방지를 하잖아?
내가 어른이 되는 길에서, 내가 어른이 되고 나서 난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해.
내가 정말 아무리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내 일들을 해쳐 나아간다고 하여도
나는 분명히 언젠가 또 길을 잃고 방황하게 될 거야.
그때가 되어 내가 어디쯤까지 와서 길을 잃었는지 살피기 위해서는, 난 내가 얼마
나 왔는지 나의 흔적을 남기며 걸어가야 하지.
-본문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하소영
저는 2025년 1월 3일 태어난 스무 살 청년입니다. 이 책은, 내일을 떠올렸을 때 두려움보다는 오늘의 나보다 더 성장해 있을 내일의 어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나이가 드는 것은 위기를 직면하는 방법을 배우고 지혜를 쌓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책을 어른이 되는 것이 두려웠던 저 자신과 내 또래 그리고 후배들에게 전합니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나는 누구인가? • 014
제2장 중용 23장 • 026
제3장 오만했던 나는, 내가 스스로 찾을 수 없다 • 036
제4장 7죄종 • 061
제5장 너의 반복되는 삶 속에서 • 069
제6장 어른이란 무엇인가? • 075
제7장 나는 불행하기를 희망한다 • 091
제8장 생육되면 이유를 잊고, 생육되지 못하면 목적을 잃는다 • 099
제9장 프로메테우스의 불이 약하게 타올랐다면, 인간에게 불은 전해지지 않았다 • 109
제10장 새가 활강하는 모습이 자유로워 보이는 것은 네가 날아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 116
제11장 새벽을 걷어내는 • 126
제12장 죽음은 무엇인가? • 139
제13장 이카루스는 날아가던 중 자신이 밀랍으로 만든 날개가 녹아, 떨어졌다 • 147
제14장 신이 되는 법 • 154
제15장 거울로도 보이지 않았던 • 161
제16장 태양이 구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때 • 177
제17장 명암 • 185
제18장 증명이라는 언어로 • 191
제19장 어른이 되어버린, 어른이 된 • 201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