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기출문제집의 생명력은 문제의 배열방식과 자료의 정확성이라고 본다. 본서에 수록된 기출문제는 약 1,000제 정도이다. 기출문제의 수록범위는 최근 기출문제 뿐만 아니라 행시, 사시, 국회사무처 시험 등 고전적 문제 중에서 학습할 가치가 높다고 여겨지는 문제들까지 총 망라하였다. 또한 국가직, 지방직, 군무원, 행정사의 최근 기출문제 중 중요한 문제만 선별하여 단원별로 배열하였다.
출판사 리뷰
수험과목으로서 행정학은 난해하기보다 이상한 과목으로 여겨지는 것 같다. 착실히 공부한 결과 이론적으로는 어느 정도 알 듯한데 점수는 잘 나오지 않는가 하면, 실전에서 문제를 풀 때는 정답을 찾기가 어려웠는데, 나중에 정답과 해설을 보면 별로 어려운 문제도 아닌 듯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열심히 공부하여 고득점을 하기보다는 일정한 선에서 타협하려는 방어적 전략을 구축하기도 한다. 때로는 시험에 임박할 때까지 방치되기도 한다. 행정학을 어차피 점수도 잘 나오지 않는 과목으로 여겨 나중으로 미루고, 비교적 득점이 용이한 과목에 치중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게다가 수험서는 방대하고 강의는 어렵기 그지없다.
행정학도 사회과학의 한 형태라면 타 학문처럼 일정한 원리나 흐름이 존재하는 것은 자명하다. 그 원리를 기출문제를 통하여 발견하기를 권고한다. 문제를 풀어볼 때는 가능하면 정답과 해설을 멀리하고 자신의 힘으로 시도해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지문을 암기하는 것도 중요하나 답의 추론과정이 논리력을 키우기 때문이다.
기출문제집의 생명력은 문제의 배열방식과 자료의 정확성이라고 본다. 본서에 수록된 기출문제는 약 1,000제 정도이다. 기출문제의 수록범위는 최근 기출문제 뿐만 아니라 행시, 사시, 국회사무처 시험 등 고전적 문제 중에서 학습할 가치가 높다고 여겨지는 문제들까지 총 망라하였다. 또한 국가직, 지방직, 군무원, 행정사의 최근 기출문제 중 중요한 문제만 선별하여 단원별로 배열하였다.
중요성과 가치가 높은 문제를 엄선하여 핵심정리집의 목차와 동일하게 80개의 테마로 재배열하였다. 따라서 핵심정리집 = 기출문제집 = 기본서의 삼각학습을 통해 단원별로 선별학습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본다.
행정학은 관련법령의 개정이 많아 추후에 지속적인 정정(update)이 필요하다. 관련법령 등 제도적 변화와 논점의 변화로 문제의 적실성과 정답의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할 것이다.
학습의 과정에서 문의사항이 발생하면 저자의 메일(you-bj@hanmail.net)로 연락주기바라며, 수험생 여러분의 건투를 빌어본다.
유병준 씀
작가 소개
지은이 : 유병준
•(현)합격의 법학원 행정학 전임•(현)한국공무원학원 행정학 전임•(현)해커스공무원 보건행정 전임•(전)K대학교 경찰행정과 조교수(2013~2019)•(전)시대고시기획(주) 행정학 전임•(전)에듀윌 보건행정 전임•(전)에듀피디 행정학 전임•(전)박문각고시학원 행정학 전임•(전)국토해양부 인재개발원 직무교육(행정학) 담당 강사•(전)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공무원 교육 전담교수•(전)경기대학교 사회과학원 강사•(전)동양대학교 공무원사관학교 특강•(전)영남대, 계명대 등 특강강의•(전)전국모의고사 출제위원•(전)종로한교고시학원 행정학 전임•(전)강남행정고시학원 행정학 전임•(전)노량진정상행정고시학원 행정학 전임•(전)두로경찰간부학원 행정학 전임•(전)수원중앙고시학원, 부산한교고시학원, 대전행정고시학원, 마산명문고시학원, 울산남부행정고시학원 등 다수 편저서 •행정사 행정학개론(법학사, 2025)•행정사 핵심정리 행정학개론(법학사, 2025)•행정사 객관식 행정학개론(법학사, 2022)•최근 11년간 행정사 행정학개론 기출문제해설집(법학사, 2024)•보건행정 기본서(참다움, 2023)•보건행정 고득점 기출문제집(참다움, 2023)•퍼펙트 행정학 핵심정리집(참다움, 2024)•퍼펙트 행정학(참다움, 2022)•퍼펙트 행정학 단원별 기출 2000제(참다움, 2022)•최종정리 행정학(새롬북스, 2010)•돋을볕 행정학(교육개발연구원, 2010)•유병준 행정학 핵심개념정리집(법학사, 2010)•유병준 행정학 핵심요약정리집(법학사, 2013)•테마 행정학(법학사, 2014)•공무원 행정학개론 기본서(에듀라인, 2017)•공무원 행정학개론 문제집(에듀라인, 2017)•공무원 행정학개론 핵심요약집(에듀라인, 2017)•9급 공무원 압축기본서 쌈 유병준 행정학개론(시대고시기획, 2017)•9급 공무원 단원별 문제집 쌈 유병준 행정학개론(시대고시기획, 2017)•N 유병준 행정학개론(시대고시기획, 2018)
목차
Part 1 행정의 기초이론
【테마 01】 국가의 변천과 정부관
【테마 02】 행정의 의의
【테마 03】 정치·행정·경영의 관계
【테마 04】 행정변수와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테마 05】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정부개입과 축소의 근거)
【테마 06】 공공재
【테마 07】 민영화(공공서비스 공급방식)
【테마 08】 정부규제론
【테마 09】 행정환경의 변화 : 정보사회, NGO 등
【테마 10】 행정이념
【테마 11】 행정이론 전개
【테마 12】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테마 13】 행태론과 신행정론
【테마 14】 체제론과 제3세계이론
【테마 15】 신공공관리와 뉴거버넌스
【테마 16】 신공공서비스, 사회적 자본, PNPM
【테마 17】 신제도주의
Part 2 정책론
【테마 18】 정책의 본질과 유형【
【테마 19】 정책권력모형
【테마 20】 정책의제설정
【테마 21】 정책결정
【테마 22】 비용편익분석
【테마 23】 불확실성과 미래예측기법
【테마 24】 정책결정이론
【테마 25】 공공선택이론
【테마 26】 정책집행
【테마 27】 정책평가
【테마 28】 정부업무평가와 정책변동
【테마 29】 기획
Part 3 행정조직론
【테마 30】 조직이론, 목표의 변동
【테마 31】 조직구조 : 조직원리
【테마 32】 동기부여이론
【테마 33】 조직과 환경 : 거시조직이론
【테마 34】 조직의 구조변수
【테마 35】 조직의 유형 : Mintzberg, Daft 모형 등
【테마 36】 관료제와 탈관료제
【테마 37】 계선과 막료, 위원회 등
【테마 38】 우리나라 정부조직
【테마 39】 책임운영기관
【테마 40】 공공기관
【테마 41】 관리계층, 권한위임, 권위 등
【테마 42】 갈등관리
【테마 43】 리더십
【테마 44】 정보공개와 민원
【테마 45】 조직혁신 : MBO, OD
【테마 46】 조직혁신 : TQM, BSC
【테마 47】 지식사회와 지식관리
【테마 48】 전자정부
Part 4 인사행정
【테마 49】 인사행정의 변천
【테마 50】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테마 51】 대표관료제
【테마 52】 직업공무원제도
【테마 53】 중앙인사행정기관
【테마 54】 공직의 분류 : 개방형/경력직
【테마 55】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테마 56】 한국의 인사행정제도 : 고위공무원단 등
【테마 57】 공무원 임용(채용, 충원)
【테마 58】 교육훈련, 근무성적평정
【테마 59】 사기, 보수와 연금
【테마 60】 정치적 중립과 신분보장
【테마 61】 공직부패와 공직윤리
Part 5 재무행정
【테마 62】 예산의 의의, 원칙
【테마 63】 예산의 분류와 법규
【테마 64】 정부회계제도
【테마 65】 예산의 종류
【테마 66】 예산과정의 개요
【테마 67】 예산결정이론과 예산제도 개혁
【테마 68】 품목별 예산, 성과주의 예산, 계획예산
【테마 69】 영기준예산(ZBB)과 일몰법
【테마 70】 신성과주의 예산과 재정개혁
Part 6 환류
【테마 71】 행정책임과 통제
【테마 72】 행정개혁
Part 7 지방행정론
【테마 73】 지방자치의 의의와 자치권
【테마 74】 사무배분과 일선기관
【테마 75】 광역행정
【테마 76】 정부간 관계와 중앙통제
【테마 77】 자치단체의 계층과 구역
【테마 78】 자치단체의 기관(長과 의회)
【테마 79】 지방재정
【테마 80】 주민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