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전용준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되던 2008년부터 대학입시 관련 전형분석 및 설명회를 시작하였다. 이후매년 공교육 및 사교육기관에서 학생, 학 부모 그리고 현직교사 및 학원장 대상의 학생부종합전형분석 및 합불 사례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DBK연구진들과 함께 <Tomorize-S 학교생활기록부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현재 강남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으로 왕성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입학사정관 멘토를 만나다』, 『tbs 상담받고 대학가자』 시리즈 외에 최근 『학생부종합전형 마스터플랜』 포함해서 학교생활기록부종합 전형 관련 도서 8권을 출간하였으며, Answer잡지에서 매월 2편의 합격자 분석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저자 : 임정현
고려대학교 경영학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국내 대기업에 취업하여 근무하였다. 이후 외국계 글로벌 컨설팅 회사로 이직하여 국내외에서 다양한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실무경험을 쌓았다. 한편 대학교 재학시절부터 각종 공모전(논문·아이디어·창업 공모전 등)에 참여하여 현재 70여 회의 수상경력을 갖춰 국내외 공모전 최다 수상자로 자리매김 했다.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에게는 공모전 준비과정 지도를 통해 국내외 주요 대학 입학의 성공사례를 다수 창출하였다. 특히, 주요 대학의 경영대·의과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의면접과 상황면접을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
저자 : 송민호
서울대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대학원 시절부터 주요 학원에서 약 10여 년 동안 해마다 서울대 서류 합격생들을 대상으로 면접 지도를 하면서 ‘학생선발’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후 해군사관학교에서 교수요원으로 논술문제를 출제하고 채점하는 업무를 담당했고, 국비유학생 선발고사 출제위원, 대학 입학사정관 활동을 하면서 교육전문가로서 역량을 키워 나갔다. 특히 의대면접과 교대면접을 특화된 영역으로 삼아 연구하면서 의대 관련 책을 저술하게 되었다. 주요 경력으로는 EBS멘토링 사업, TMD교육그룹 고교진학특강, 경기도청월요G식인 특강, 경기방송 라디오프로그램에서 진학특강을 진행했다. 현재는 대치·분당·대전 비전21입시센터와 이화여대 평생교육원에서 연구 및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달라진 의대면접, 나만의 차별화로 승부하라』, 『따라하면 합격하는 교대면접』등 10여 권이 있다.e-mail : zeit2@hanmail.net
머리말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준비_ 004
Chapter 1 입학사정관제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관리
01. 2017년 대입간소화 방안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 _ 017
02.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_ 022
.인적사항 _ 025
.학적사항 _ 026
.출결사항 _ 029
.수상경력 _ 031
.자격증 및 인증 취득 상황 _ 033
.진로희망사항 _ 038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_ 041
.교과학습발달상황 _ 047
.독서활동상황 _ 055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_ 057
03. 입학사정관 전형 평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_ 061
.서울대학교가 밝히는 입학사정관제 평가의 오해와 진실 _ 063
Chapter 2 입학사정관제를 위한 비교과 활동 준비
[독서활동 / 특기적성 / 봉사활동]
01. 독서활동, 제대로 알기 _ 073
.학생의 능력을 돋보이게 한다 _ 073
.연구활동이나 특기적성 등과 활발하게 결합된다 _ 076
.전공 관련 관심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_ 078
.책은 공모전 등 특기적성활동의 탁월성을 드러내는 바탕이 된다 _ 080
.세련된 독서활동은 면접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데 도움을 준다 _ 082
02. 독서활동은 이렇게! _ 084
.깊이 있는 책을 읽는다 _ 084
.고전을 중심으로 독서할 것 _ 085
.전공 관련 서적의 중요성 _ 086
.문과 : 독서와 전공의 관련성이 매우 높다 _ 086
.이과 : 기본 소양과 전공 관련을 골고루 읽을 것 _ 087
03. 특기적성활동, 제대로 알기 _ 095
.학생의 교과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_ 095
.학문적 호기심과 다양한 관심은 대학생활을 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_ 096
.전공 관련 관심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_ 098
04. 특기적성활동, 체크체크! _ 100
.교내 동아리의 중요성 _ 100
.개인 활동 시 고려사항 _ 106
.학예전·공모전·수상·대회 참가 등 실력을 표현하는 방법 _ 107
05. 나만의 봉사활동으로 차별화하라 _ 109
.비교과활동 가운데 가장 중요한 영역이다 _ 109
.학생의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부여한다 _ 110
.리더십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_ 111
.특기적성활동과 결합해 학생의 우월성을 드러낸다 _ 111
.시간 단위로 수치화할 수 있어 수시 전형의 필수품이다 _ 112
06. 봉사활동, 체크체크! _ 114
.사회봉사와 사회복지학은 다른 개념이다 _ 114
.봉사활동은 시간보다 질이다 _ 115
.해외봉사활동보다 지역공동체 내부의 기여가 중요하다 _ 116
[공모전활동]
01. 공모전에 대한 이해 _ 122
.공모전이란 무엇인가? _ 122
.입사제의 종합선물세트, 공모전 _ 124
02. 공모전으로 원하는 대학가기 _ 127
.단국대(특기자 전형) _ 127
.대학별 공모전 개최현황 _ 128
03. 공모전에 도전하기 _ 130
.공모전 정보 찾기 _ 130
.자기에게 맞는 공모전 찾기 _ 131
.공모전 수상, 쏙쏙 노하우 _ 134
04. 입학사정관제에서 공모전 활용하기 _ 137
.입학사정관제에서 공모전 활용 Tip _ 137
05. 입학사정관제 필수 공모전 _ 140
Chapter 3 입학사정관제를 위한 자기소개서 작성 & 면접 대비
[자기소개서]
01. 자기소개서에 대한 이해 _ 153
0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자기소개서 양식에 대한 이해 _ 155
.2013학년도 양식과 2014학년도 양식의 비교 _ 155
.대교협 자기소개서 항목별 분석 _ 156
03. 서울대학교 자기소개서 양식의 이해 _ 159
.2013학년도 양식과 2014학년도 양식의 비교 _ 159
.서울대학교 자기소개서 항목별 분석 _ 161
[면접 대비 (서울대학교 인적성 면접문제)]
01. 서울대 경영대 수시 전공적성 문제 _ 163
.경영학과 영문제시문 문제 _ 163
.경영학과 수리문제 _ 166
02. 서울대 인문대·사회대 수시 전공적성문제 _ 168
03. 서울대 공과대 수시 전공적성문제 _ 173
.건설환경공학부 _ 173
.기계항공공학부 _ 175
.재료공학부 _ 180
.전기·정보공학부 _ 183
.컴퓨터공학부 _ 186
.화학생물공학부 _ 187
.건축학과 _ 190
.산업공학과 _ 193
.에너지자원공학부 _ 194
.원자핵공학과 _ 196
.조선해양공학과 _ 198
04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수시 및 정시 전공적성문제 _ 201
.식물생산과학부 _ 201
.산림과학부 _ 208
.식품동물생명공학부 _ 212
.응용생물화학부 _ 215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_ 219
.바이오시스템 소재학부 _ 222
Chapter 4 입학사정관제 전형 합격수기
.김빛솔 서울대 일반전형 국어교육과 합격수기 _ 227
.김수연 서울대 특기자전형 사회과학대 합격수기 _ 234
.박강주 경북대 KNU인재전형 정치외교학과 합격수기 _ 240
.박찬호 서울교대 학교장추천전형 합격수기 _ 243
.백수현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 경영학과 합격수기 _ 250
.서혜린 경북대 KNU인재전형 사회복지학과 합격수기 _ 256
.이하영 성균관대 글로벌리더전형 경인교대 합격수기 _ 261
.정종호 경인교대 교직적성잠재능력우수자전형 합격수기 _ 267
.제은정 서울대 지역균형 사회과학대 합격수기 _ 282
.최하영 서울대 지역균형 간호대 합격수기 _ 287
부록
[학교생활기록부]
2017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 _ 295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요소 및 평가기준 모형(예시) _ 298
입학사정관 전형 요소 및 평가기준 예시 _ 299
[공모전]
연간 공모전 리스트(계열별 구분) _ 300
[자기소개서]
전형별 주요대학 자기소개서 양식 _ 305
참고문헌 _ 320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