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는 지구마을에 삽니다: 중등편_사람·지구환경》은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5개의 영역 가운데 사람과 지구 영역에 초점을 맞춘 교과융합수업 워크북이다. 학교 현장에서 세계시민 교육을 펼쳐온 교사들이 직접 기획하고 썼으며, 주어진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단계별 구성과 함께 교과융합 주제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22 개정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교과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무엇보다 QR코드를 통한 동영상 및 플랫폼 활용을 비롯해 패들렛, 카드 게임 등 청소년들이 흥미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했다.
청소년들은 이 책의 생태 균형 피라미드 실험을 통해 멸종 위기를, 가치 카드 게임을 통해 기아를, 지도에는 없는 플라스틱 섬을 그리며 환경 문제와 마주할 수 있다. 이 책에 담긴 사람과 환경, 지구를 잇는 53개의 주제 활동은 청소년들이 지구를 읽는 눈을 키우며 우리가 지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리하는 사람, 즉 공감하고 행동하는 세계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데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왜 동물들이 지구에서 사라지는 걸까?
24시간 플라스틱과 함께하는 우리, 플라스틱 없는 삶은 가능할까?
빈곤과 기아가 세계에서 사라지는 날이 올까?
다양한 사례와 질문을 통해 지구를 읽는 눈을 키우고
다채로운 활동을 통해 감수성을 키우는 교과융합 세계시민 수업
현직 교사들이 직접 기획하고 쓴 지구와 우리의 지속가능한 공존 안내서경제발전, 공업화 등의 이유로 수십 종의 동물이 지구에서 사라지고 있고, 기술의 발전으로 탄생한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으며, 식량은 풍족한데, 빈곤과 기아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분명 세상은 전보다 기술이 발전하고 나아졌는데 왜 지구는 위기에 몰린 것일까? 위기의 지구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우리는 지구마을에 삽니다: 중등편_사람·지구환경》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안내서 역할을 해주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들이 세계시민 감수성을 기르고 성장하는 데 발판이 되어줄 수 있는 세계시민 교과융합수업 워크북이다. 현직 교사들이 직접 기획하고 쓴 이 책은 워크북답게 습득 위주가 아닌 문제해결 과정과 실천 중심의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5개의 영역, 사람,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 가운데 사람과 지구에 초점을 맞췄으며, 이에 따른 53개의 주제 활동은 생각 열기-> 탐구하기->함께하기로 이어지는 3단계로 구성했다. 도입부인 ‘생각 열기’에서는 문제의 원인을 진단해보고, ‘탐구하기’에서는 문제의 현상을 들여다보며, 마지막 ‘함께하기’에서는 문제 해결 방안을 비롯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활동들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 QR코드를 통한 동영상 및 앱 활용을 비롯해, 패들렛, 카드 게임 등 청소년들이 흥미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했다.
청소년들이 함께 읽는 세계시민 현장
우리는 지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위기의 지구에서 희망의 지구로 가는 길목, 세계시민생태 균형 피라미드 실험을 통해 멸종 위기를, 가치 카드 게임을 통해 기아를, 지도에는 없는 플라스틱 섬을 그리며 환경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축구공 모형을 만들며 아동 노동 문제를, 빈곤 인포그래픽을 그리며 빈곤 문제를 마주하게 되면, 그전까지 먼 나라의 이야기로 느끼고, 그저 캠페인이라 생각했던 일들이, 우리 눈앞에 닥친 현실이자 나와 무관하지 않은 일임을 알게 있다. 그리고 우리를 위해, 지구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궁리하게 될 것이다. 이는 곧 지금 지구의 모습을 읽으며, 공감하는 세계시민 현장으로 들어가는 순간이기도 하다.
나라와 나라, 사람과 사람이 촘촘히 연결된 세계, 지구마을에 살고 있는 우리는 반드시 위기의 지구에서 희망의 지구로 건너가야 할 의무가 있다. 세계시민은 그 의무를 이행하는 시작이자, 길목이다. 이 한 권의 책이 청소년들에게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물꼬가 되어줄 것이다.
★지은이
세계시민교육 연구개발공동체 ‘느루’강혜미_옥정고등학교
김민호_상갈중학교
박민수_양성중학교
양철진_송우중학교
한진택_안성여자고등학교
이예지_회룡초등학교
이유경_회룡초등학교
정현미_서룡초등학교
홍연진_태전초등학교
작가 소개
지은이 : 세계시민교육 연구 개발 공동체 ‘느루’
2017년 경기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을 중심으로 설립한 세계시민교육 연구 모임. 연수 기획, 워크북 개발, 연구 활동 등을 통해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세계시민 교육을 고민하며 실천하고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사람]
우리가 몰랐던 축구공 이야기
체육 축구공의 역사 | 수학 축구공 속 수학 원리 | 과학 축구공 속 과학 원리
사회 축구공 산업 | 도덕 축구공 속 인권 | 기술·가정 축구공 제작 | 미술 그림책 제작
코로나19로 잃어버린 것들
사회 코로나19로 잃어버린 것들 I | 국어 혐오 표현과 허위 정보
기술·가정 코로나19로 잃어버린 것들 II | 보건 감염병 이야기
역사 팬데믹의 역사 | 도덕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자세
정보 코로나19 대응 알고리즘 만들기 | 영어 팬데믹 대응 영자 포스터 제작하기
세상의 10명 중 1명이 굶주린다고?
기술·가정 영양의 중요성 | 사회 기아 지도 분석하기 | 수학 기아 관련 인포그래픽
역사 빈곤의 역사 | 도덕 기아를 해결할 수 있는 태도
국어 해외 원조에 대한 생각 나누기 | 과학 식량을 나눌 수 있는 방안은?
영어 기아 관련 영자 신문 제작
[지구환경]
그 많던 동물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 멸종과 생물 다양성 | 수학 통계와 그래프 | 정보 멸종 위기종 데이터화하기
사회 자원의 저주란? | 도덕 멸종 위기! 해결 방안은? | 음악 생물 다양성 공익
광고 음악 제작하기 | 미술 생물 다양성 공익 광고 영상 제작하기
탄소도 발자국을 남긴다?
과학 탄소로 인한 기후 변화 문제 | 도덕 탄소 발자국은 무엇일까?
사회 열대 우림의 감소와 산업 구조 | 수학 탄소 발자국 계산하기
역사 탄소 중립과 기후 협약 | 기술·가정 신재생 에너지 | 영어 탄소 발자국 줄이기 위한
방법 소개하기 | 미술 탄소 발자국 캠페인 광고 포스터 제작하기
플라스틱은 인류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역사 플라스틱과 역사 | 기술·가정 플라스틱의 활용성 | 영어 플라스틱 섬은 왜 만들어질까? | 정보 플라스틱 정보 스캔앱 만들기 | 사회 플라스틱의 경제학
도덕 생활 속 플라스틱 소비 방안 | 과학 플라스틱 분해가 어려운 이유는?
지구를 지키는 습관, 윤리적 소비
도덕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의 필요성 | 기술·가정 리사이클링 vs 업사이클링
과학 환경친화적 대체품의 과학적 원리 | 사회 지속 가능한 소비 정책 제안하기
영어 What is the zero waste? | 체육 제로 웨이스트와 함께하는 건강 실천, 플로깅
미술 업사이클링 제품 구상하기 | 음악 업사이클링 활성화를 위한 숏폼 구상하기
참고자료 및 사진 출처
활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