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헝가리의 영화 감독 '벨라 타르'는 1978년 단편 <호텔 마녜지트>를 시작으로 30여년 간 총 9 편의 장편 영화를 연출했다. 그리고 그는 2011년 <토리노의 말>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이름은 오랜 시간 시네필들 사이에서 회자 되었다. 2008년 제 9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그의 회고전을 진행하며 벨라 타르가 직접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리고 벨라 타르에 관한 담화의 중심에는 언제나 그의 매그넘 오퍼스(Magnum Opus), <사탄탱고>가 있었다.
하지만 그 명성에 비해 벨라 타르는 한국의 관객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감독이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이 20세기에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7시간 30분에 달하는 영화 <사탄탱고>는 그 자체로 오르기 어려운 나무와 같았기 때문이다.
2025년 3월 '시네마토그래프' 주관으로 예술영화관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사탄탱고> 상영이 예정되어 있다. 이를 기념하며, 그리고 이 영화적 사건에 참여할 많은 관객들을 위하여 <사탄탱고: 벨라 타르에 들어가기 앞서>가 발간된다. 이 책은 벨라 타르의 생애와 커리어를 망라한다. 국내외 영화 연구가들이 기술한 벨라 타르의 초기작, 그리고 <사탄탱고> 분석을 포함하며, 벨라 타르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필모그래피와 오늘날 영화계를 바라보는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벨라 타르 영화학교 출신의 일본 다큐멘터리스트, '오다 카오리' 감독의 회상은 거장에 대한 경외와 친근감을 동시에 전달한다.
출판사 리뷰
헝가리의 거장 영화 감독 벨라 타르의 작품 세계를 심도 있게 탐구한 책, <사탄탱고: 벨라 타르에 들어가기 앞서>가 2025년 3월 출간된다. 이 책은 벨라 타르의 영화 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관객과 영화 애호가들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벨라 타르는 1978년 단편 영화 <호텔 마녜지트>를 시작으로 30여 년 간 총 9편의 장편 영화를 연출하며 독창적인 영화 미학을 구축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사탄탱고>는 7시간 30분이라는 긴 상영 시간에도 불구하고 세계 영화사에 길이 남을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 수전 손택은 <사탄탱고>를 90년대 최고의 영화 중 한 편으로 꼽으며 “매순간 강력하고 매혹적인 7시간, <사탄탱고>를 해마다 기꺼이 감상해도 좋을 것이다”라는 찬사를 남겼다. 2011년 <토리노의 말>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벨라 타르는 그 후 영화학교를 설립해 후학을 양성하고, 미술관과 협업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책은 <사탄탱고> 상영을 기념하여, 벨라 타르의 생애와 작품을 다각도로 조망한다. 특히 벨라 타르의 초기 작품과 <사탄탱고> 분석을 비롯해, 벨라 타르의 인터뷰를 통해 그의 영화적 철학과 현대 영화계에 대한 통찰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벨라 타르 영화학교 출신의 일본 다큐멘터리 감독 오다 카오리의 회상은 벨라 타르와의 특별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깊은 존경과 친근감을 동시에 전달한다.
2025년 3월에 독립영화관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상영될 예정인 <사탄탱고>는 벨라 타르의 영화를 처음 접하는 관객들에게도 큰 의미를 지닌 상영이 될 것이다. 이번 상영과 책 출간을 통해 벨라 타르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머리말
시네마토그래프 이윤영
글을 쓰는 목적부터 명확히 밝히고 들어가겠다. 나는 <사탄탱고>를 본격적으로 비평할 생각이 없다. 부족한 역량에 따른 다소 비겁한 후퇴로 읽힐 여지가 다분하나, 내가 적극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부분은 따로 있기에 비평은 다른 글의 몫으로 조심스레 넘기겠다. 일개 기획자의 부족한 식견보단 다른 이들의 관점에 관심을 가지리라 판단된다. 이 글에서 명확히 짚고 싶은 지점은 따로 있다. 바로 국내 영화광들 사이에서 <사탄탱고>란 영화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사탄탱고>의 상영은 총 몇 번 이루어졌을까?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는 극장 상영 기록은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 (2000년),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2008년), 서울아트시네마 친구들 영화제(2013년), 광주극장(2020년) 정도다. 물론 여기에는 비공식적인 상영이 제외되었고, 필름 혹은 디지털 상영 여부도 혼재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국내에서의 공식적인 상영 횟수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평균적으로 6~7년에 한 번씩 상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탄탱고>는 많은 영화광에게 일종의 ‘신화적 존재’로 남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단순히 긴 러닝타임 때문만이 아니라, 영화의 희소성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기대감에서 비롯된 현상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사탄탱고>는 ‘밈’이 되었을까? 영화광들 사이에서 이 작품을 언급하면 대부분 입가에 미소를 머금곤 한다. 하지만 이 미소는 단순히 영화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 것이라기보다, <사탄탱고>가 만들어낸 일종의 ‘문화적 코드’를 공유하는 데서 오는 반응이다. 심지어 이런 미소를 머금은 사람 중 실제로 영화를 본 이들이 없을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영화광이라면 앉은 자리에서 <사탄탱고> 정도는 다 볼 수 있어야지’라는 다소 엉뚱한 명제를 통해 이 작품을 소화하는 것이 일종의 통과의례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탄탱고>는 단순한 영화 이상의 사회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도전’의 상징처럼 여겨지기 시작한다.
몇 가지 사례를 훑어보자. 당장 영화 리뷰 플랫폼에서 <사탄탱고>를 감상한 후기를 찾아보면, 영화의 예술적 가치나 내러티브에 대한 분석보다는 ‘러닝타임을 견뎌냈다’는 관객 개인의 성취에 대한 언급이 많은 편이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장시간 러닝타임을 가진 영화들?왕빙의 <철서구>, 피터 왓킨스의 <코뮌>, 라브 디아즈의 <필리핀 가족의 진화>, 마리아노 지나스의 <라 플로르>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진다. 즉, <사탄탱고>가 단순히 긴 영화이기에 이와 같은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사탄탱고>는 그 특유의 연출 방법론과 스토리텔링 방식이 대중적 소비보다는 특정한 문화적 태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하나의 ‘밈’이 되어버린 것이다.
물론 이런 현상에 대해 나는 다소 부정적이다. ‘러닝타임을 버텨낸 것’ 자체가 영화 감상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순간, 영화의 가치는 오히려 축소될 위험이 있다. 몇몇 감상자들은 ‘영화적 체험’이라는 막연한 표현을 통해 작품의 특성을 뭉뚱그려버리곤 한다. 이런 태도는 영화를 러닝타임 때문에 단순히 ‘견뎌야 하는 것’으로 치부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영화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의 발간은 더욱 의미가 있다. 이 책은 단순한 ‘견뎌내기’의 대상으로 <사탄탱고>를 비추는 게 아닌, <사탄탱고>가 지닌 가치를 조명한다. 우리는 이 작품을 단순한 ‘밈’으로 소비하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 이 책이 그러한 논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추천사
벨라 타르의 영화는 관객들에게 줄거리를 운반하는 장치들을 섬세하게 배치하는 데 신경 쓰기보다, 영화의 시청각적 이미지를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한 감각들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시공간적 연속체를 구성하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그로 인해 우리는 보다 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할 수 있다. (본문 중에서)
벨라 타르는 자신의 영화를 구별되는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없다고 주장하며, 뚜렷한 전환점보다는 꾸준한 진화를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는 "모든 영화를 한 번에 본다면, 이 작품들이 동일한 사람의 작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하지만, 그의 필모그래피에는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분명한 전환이 존재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태수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화학과를 졸어하고, 러시아 국립영화대학(VGIK) 영화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쳤으며(예술학 박사), 현재 한양대학교 영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이 : 유창연
영화학 박사. 한국영상대학교, 강서대학교 강사. 2024년 2월 한양대학교에서 「영화를 통해 본 한국 대중문화 형성 과정 연구: 해방기, 한국전쟁기를 중심으로 (1945~1953)」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미례 감독론: 1980년대 충무로 여성 영화감독의 장르성과 대중성」(2021), 「벨라 타르 초기작 연구 (1978~1985)」(2023) 등의 학술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영화사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 역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이 : 시네마토그래프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영화에 관한다양한 담론을 제시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2024년 11월 [오다 카오리 감독전]을 주최하여 감독의 내한을 성사시켰다.2025년 1월 왕빙의 <사령혼>을 상영했다.2025년 2월 [마티아스 피녜이로 감독전]을 주최하여감독의 내한 및 그의 장편 전작 상영을 진행했다.
지은이 : 전준혁
서경대학교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미국 위스콘신주립대학에서 영화영상 석사를 졸업했다. 실험적인 영상작품으로 전주영화제, 서울국제실험영화제, 칸영화제 숏필름코너 등 국내외의 다양한 영화제에 참여해왔다. 대림미술관/디뮤지엄에서 영상감독으로 재직했으며, 여러 아티스트들과 협업을 통해 예술과 상업 영상을 넘나드는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는 서경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이 : 오다 카오리
일본의 영화감독.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사라예보에서 벨라 타르의 필름 아카데미인 필름팩토리(FILM FACTORY)과정을 3년 이수했다.대표작: <아라가네 (2015)>, <세노테 (2019)>
목차
BEFORE
머리말 4
타르, 벨라 8
ENTERING
헝가리 개혁 공산주의 사회 현실과 인간을 향한 영화적 응시
(유창연, 정태수) 28
<사탄탱고>를 통해 본 영화의 움직임과 시간, 서사 구조
(전준혁) 69
BLA TARR
인터뷰 I 104
인터뷰 II 112
인터뷰 III 121
인생에, 생명에, 귀를 기울이라고 벨라 타르는 말한다.
(오다 카오리)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