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당쟁이 조선을 쇠락하게 만들고 결국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물론 당쟁의 긍정적 영향을 찾는 논의도 있지만, 당쟁이 어떻게 시작되어 사회를 혼란과 퇴행으로 몰아넣었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은 학계에서도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21세기북스)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조선 당쟁을 ‘왕권을 가볍게 여긴 주희 신봉자들의 권력 투쟁’이라 규정한다. 저자는 『조선왕조실록』과 유학 고전을 연구하며 유학적 정치사상의 핵심이 ‘강명(剛明)한 군주론’에 있음을 간파했다. 태종 등 조선 임금들도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지만, 주자학을 받아들인 조선 후기 사대부들은 경전의 자구에 매몰되어 신권(臣權)을 중시하며 왕권에 대항했다. 그리고 그들 안에서 분열하고 극한 분쟁을 일으키며 기득권을 공고히 하는 데 혈안이 되었다. 이 과정이 조선 당쟁의 역사다.
주자학에서 비롯된 당쟁은 선조 대에 본격화되어 영·정조 시대를 거치며 지속되었다. 그러나 순조 대에 이르러 당쟁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외척이 주도하는 세도 정치로 변질되었다. 이는 당쟁을 극복한 결과가 아니라 권력 구조의 변화였으며, 결국 조선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비극을 초래했다. 이 책은 당쟁의 발화부터 세도 정치로 넘어가기 이전까지의 당쟁사 주요 장면을 조목조목 짚어가며 그 본질에 접근한다. 당쟁의 근본 원인과 그것이 조선의 몰락을 어떻게 초래했는지에 대한 성찰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훈을 준다. 저자는 이 시대를 향해 질문을 던진다. “깊이 있고 유연한 사고가 결핍된 사회에서는 교조가 판을 치게 마련이며 철저하고 독립적인 사고가 결핍된 사회에서는 얄팍한 교리에서 비롯된 선동이 쉽게 힘을 발휘한다. 과연 우리는 이 점에서 조선 사대부들과 다르다고 자신할 수 있을까?”
출판사 리뷰
주희 신봉자들,
조선을 암흑으로 밀어 넣다!
조선을 야만과 퇴행으로 몰고 간
당쟁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주자학의 전파와 함께 선조 때 시작된 당쟁의 역사
“유암한 군주 아래, 그들만의 나라를 꿈꾸다!”
당쟁의 기원에 대해 대표적인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는 중종반정 이후 공신으로 자리 잡은 훈구파와 새롭게 정치에 진출한 신진 사림파의 대립을 당쟁의 출발점으로 보는 시각이다. 그러나 실제로 당쟁은 훈구파와 사림파의 단순한 대결이 아니었다. 사림 내부의 투쟁, 즉 온건 사림과 급진 사림 간의 충돌과 이합집산이 핵심이었다. 둘째는 선조 때 이조전랑(吏曹銓郎) 추천 문제를 둘러싼 동인과 서인의 대립을 당쟁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다. 하지만 동인과 서인의 분열 자체가 중요한 것이었지, 이 충돌은 당쟁의 일부에 불과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견해만으로는 당쟁의 본질을 설명하기 어렵다.
조선 당쟁은 주자학의 전래와 함께 시작되었다. 선조 대에 이르러 주자학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면서 당쟁의 불씨가 지펴졌다. 공자의 정치철학을 담은 『논어』와 『주역』의 핵심인 ‘강명한 군주론’ 아래에서는 군주를 배제한 신하들 간의 당파 싸움은 원천적으로 부정된다. 즉, 강명한 군주가 존재하는 한 당쟁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공자의 철학을 다르게 해석한 주자학이 전파되고 조선 사대부들의 의식을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당쟁은 있을 수 있는 일이자 당연한 일로 변했고, 왕이 중용한 신하에 대해 ‘소인’이라는 낙인을 찍으며 불경(不敬)조차 서슴지 않았다. 주자학의 시대가 곧 당쟁의 시대가 된 것이다.
이 책은 이렇듯 조선의 당쟁을 단순한 권력 다툼이 아니라, 사상적 변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필연적 결과로 바라본다. 당쟁의 본질과 그 파급력을 깊이 파고들며, 역사적 사건을 통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전한다.
권력을 잡은 당파는 결국 분화하고,
탕평이 무너진 자리에 척신 의존 정치만이 남다!
조선의 정치에는 선조 이전부터 주자학적 관념이 깊숙이 자리하고 있었다. ‘국시(國是)’ 와 ‘공론(公論)’ 을 바탕으로 임금과 사대부가 함께 나라를 다스린다는 원칙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적통(嫡統)이 아닌 선조가 즉위하고, 주자학자들이 정치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서 당쟁이 본격화되었다. 선조가 기묘사화로 희생된 조광조에게 시호를 추증한 것은 사림 세력의 복권이자 당쟁의 서막이었다.
당쟁의 핵심은 권력 장악 여부였다. 선조 대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한 이후,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북인은 다시 소북과 대북으로 나뉘며 권력을 놓고 끊임없이 충돌했다. 반정과 왕권 변화에 따라 서인은 정권을 잡았지만, 내부에서 소론, 노론, 시파, 벽파 등으로 분화되며 당쟁은 더욱 복잡해졌다.
당쟁이 지속된 이유는 정치적 형세와 인적 자원 때문이었다. 서인-노론-벽파 계열에 인재가 몰리면서 지속적으로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고, 왕 역시 이들에게 의존하면서도 자신의 세력을 만들려 했다. 이 과정에서 서인 내부에서는 소론, 노론 내부에서는 시파가 분리되는 등 당쟁은 끊임없이 재편되었다.
조선 임금들도 당쟁을 극복하려 했다. 영·정조는 ‘탕평’을 내세웠지만 방식이 달랐다. 영조는 당파 간 균형을 맞추려 했고, 정조는 왕권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그러나 두 임금 모두 집권 후반부로 갈수록 척신 정치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며 당쟁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조선 당쟁사의 흐름을 날카롭게 파헤친 저자의 연구와 통찰을 통해 우리는 당쟁의 본질을 이해하고, 오늘날의 정치적 갈등과 권력 구조를 성찰할 수 있다. 당쟁이 조선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또 무너뜨렸는지 돌아볼 때, 현재의 우리는 이렇게 물을 수 있다. 당쟁의 역사는 과거의 일이기만 한가? 혹은, 우리는 같은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반복하고 있지는 않은가?
☞ 함께 읽으면 좋은 21세기북스의 책들
▶ 이한우의 노자 강의: 도덕경 5천 자에 담긴 무위자연의 제왕학|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4년 10월 21일 출간|58,000원
▶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상, 하): 태종풍 탐구|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2년 2월 16일 출간|각 38,000원
▶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 새로운 해석, 예리한 통찰|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1년 12월 29일 완간|각 29,800원~
☞ 21세기북스 채널에서 도서 정보와 다양한 영상자료, 이벤트를 만나세요!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이렇게 되면 임금과 재상의 관계도 바뀐다. 국시 이전에는 사안별로 임금이 옳고 그름을 판단했다면 국시 이후에는 임금이 한쪽 당을 고르는 권한만 있고 옳고 그름을 판정하는 권한은 그 당에 속하게 된다. 당연히 누가 군자이고 누가 소인인지도 임금이 아니라 당이 결정한다. 임금의 권한은 그저 자기가 선택한 당을 군자당, 선택을 받지 못한 당을 소인당으로 삼는 것뿐이다.
【제2장 | 송나라 도학자(道學者)들의 정치 도구 ‘국시(國是)’를 들여오다】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사헌부·사간원에 포진해 있던 동인 세력들의 일대 반격이 시작됐다. 이이의 불교 관련설, 이이의 형이 연루된 불미스러운 소문 등이 모두 까발려졌다. 또 박순·이이·성혼은 모두 심의겸의 문객이라고 몰아세웠고 박순과 이이는 성혼을 ‘산림고사(山林高士)’라고 치켜세우고 반대로 성혼은 박순과 이이를 일러 ‘일대현신(一代賢臣)’이라고 찬사를 보내는 등 서로 노는 꼴이 볼 만하다고 인신공격성 공세를 강화했다. 선조는 단호했다.
【제5장 | 동인과 서인이 부침(浮沈)하는 선조 전반기】
당초 동서 붕당이라고 할 때 동인 쪽에는 이황과 조식의 문인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었고 서인 쪽에는 이이·정철·성혼의 문인들이 포진해 있었다. 이후 세자 건저의 사건을 계기로 서인에 대한 일대 숙청이 이뤄져 서인들은 인조반정을 일으킬 때까지는 권력 중심에서 철저하게 소외되었다. 대신 정여립 사건과 겹쳐서 서인에 대한 치죄(治罪)의 정도를 놓고 동인 내부에서 온건파와 강경파가 분열하게 되었다. 이황 계통의 사람들은 온건파인 남인을 형성했고 조식 계통의 사람들은 강경파인 북인을 형성했다. 임진왜란 때도 류성룡이 이끄는 남인은 화친을 주장했고 이산해가 이끄는 북인은 주전론을 내세웠다.
【제9장 | 임진왜란과 당쟁】
작가 소개
지은이 : 이한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 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전 6권)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의 설원』(전 2권),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전 2권), 『이한우의 주역』(전 3권), 『완역 한서』(전 10권), 『이한우의 사서삼경』(전 4권), 『대학연의』(상·하)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조선 당쟁과 주자학의 역학관계
들어가는 말: 조선(朝鮮)의 탄생과 성리학의 역할
제1부 당쟁의 근원
제1장 당쟁의 뿌리, 주희
제2장 송나라 도학자(道學者)들의 정치 도구 ‘국시(國是)’를 들여오다
제3장 주자학자들의 도통(道統) 타령에 숨은 뜻
제2부 선조, 조선 당쟁의 본격화
제4장 왜 하필 선조 때 당쟁의 불꽃이 피어올랐나?
제5장 동인과 서인이 부침(浮沈)하는 선조 전반기
제6장 서인의 행동대장 조헌이 소를 올려 조정을 뒤흔들다
제7장 정여립의 난에 숨어 있는 비밀
제8장 동인의 소멸, 집권 서인의 몰락
제9장 임진왜란과 당쟁
제3부 당쟁의 시대, 신하의 나라
제10장 당쟁 최대 수혜자이자 피해자인 북인 영수 정인홍
제11장 문묘 종사(文廟從祀)의 정치학
제12장 교하 천도론과 궁궐 조성, 장릉 천장에 숨겨진 치열한 당쟁
제13장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몰락하고 서인이 득세하다
제14장 인조반정으로 ‘신하 나라’ 조선이 탄생하다
제15장 당인(黨人) 이귀의 정치적 이력
제16장 인조 시대 서인의 분열
제4부 탕평의 실패
제17장 효종 때 본격 산림 정치 시대가 열리다
제18장 현종 때 생사를 건 두 차례 예송(禮訟) 논쟁이 일어나다
제19장 서인 영수 송시열을 제압하는 어린 임금 숙종의 강명(剛明)
제20장 당인(黨人) 송시열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네 장면
제21장 숙종 때 이합집산하는 신하들
제22장 말년의 숙종, 소론에서 노론으로 기울다
제23장 영조 탕평책의 허와 실
제24장 정조 탕평책의 허와 실
나가는 말: 비변사와 당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