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정선조선어문법 (精選朝鮮語文法) 이미지

정선조선어문법 (精選朝鮮語文法)
한국학자료원 | 부모님 | 2025.03.31
  • 정가
  • 180,000원
  • 판매가
  • 162,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x21 | 0.196Kg | 140p
  • ISBN
  • 979116887982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30년 조선어연구회에서 조선어문법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여 펴낸 학술서. 집필자에 대한 다른 정보는 없이 표지와 판권에 ‘조선어연구회 편’으로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1925년에 간행된 강매, 김진호 공편의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과 거의 대동소이하다.

즉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과 비교해 보면, 조선어문법을 설명한 본론에 해당하는 내용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이 책에서 ‘조선말글법의 법’이 권두에 추가되었고,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에 수록된 문장론에 해당하는 ‘열한재 장 글’ 부분과 부록에 해당하는 ‘붙어적음’이 이 책에서는 제외되었다.

  출판사 리뷰

1930년 조선어연구회에서 조선어문법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여 펴낸 학술서.

1책, 국판, 총 154쪽, 비매품, 1930년 박문서관(博文書館) 발행.

집필자에 대한 다른 정보는 없이 표지와 판권에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편’으로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1925년에 간행된 강매(康邁), 김진호(金鎭浩) 공편의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과 거의 대동소이하다. 즉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과 비교해 보면, 조선어문법을 설명한 본론에 해당하는 내용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이 책에서 ‘조선말글법의 법[朝鮮語文法之法]’이 권두에 추가되었고,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에 수록된 문장론에 해당하는 ‘열한재 장 글’ 부분과 부록에 해당하는 ‘붙어적음’이 이 책에서는 제외되었다. 이와 함께 1932년 박문서관에서 강매의 『정선조선어문법(精選朝鮮語文法)』이 다시 간행된 것으로 보아 이 책 또한 강매의 저술일 가능성이 크다. 1932년의 『정선조선어문법』에서는 이 책의 권두에 있는 ‘조선말글법의 법’이 ‘둘재쟝 본의 벼리’라는 제목으로 본론에 흡수되었고 이 책의 ‘둘재쟝 소리의 갈래’와 ‘셋재장 소리의 바꾸임’이 삭제되어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권두에 ‘조선말글법의 법[朝鮮語文法之法]’을 시작으로 ‘소리[音], 소리의 갈래[音의 分類], 소리의 바꾸임[音의 轉換], 말(이름말)[詞 - 名詞], 꼴말[形詞], 움즉임말[動詞], 겻말[副詞], 도음말[助詞], 잇음말[接詞], ㅤㄴㅡㄲ임말[感詞]’ 등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수록되어 있는 ‘조선말글법의 법’은 ‘법의 벼리’와 ‘법의 갈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 경성말을 표준으로 하였다는 것과 소리에 따른 표기와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을 기술해 놓았다.

제1장 ‘소리’에서는 『훈민정음(訓民正音)』 예의편의 원문과 그 풀이를 수록하고 각 음의 소리내는 법을 다루었다. 제2장~제3장인 ‘소리의 갈래, 소리의 바꾸임’은 음운론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2장 ‘소리의 갈래’에서는 소리를 그 성질에 따라 ‘맑은소리[淸音], 흘린소리[濁音], 홀소리[單音], 섞임소리[混音], 겹소리[複音], 쌍소리[雙音]’로 분류하고 음의 장단을 다루었다. 또 제3장 ‘소리의 바꾸임[音의 轉換]’에서는 비음화, 유음화, ㅎ 탈락 등의 음운현상을 설명하였다.

제4장 ‘말(이름말)’부터 마지막 제10장 ‘ㅤㄴㅡㄲ임말’까지는 문법론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기본적으로 품사에 대한 논의부터 각 품사와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다루었다. 제4장 ‘말(이름말)’에서는 명사, 제5장 ‘꼴말’에서는 형용사, 제6장 ‘움즉임말’에서는 동사, 제7장 ‘겻말’에서는 부사, 제8장 ‘도음말’에서는 조사와 어미, 제9장 ‘잇음말’에서는 접속조사 ‘와/과’, 연결어미, ‘그러나’ 등의 접속조사, 제10장 ‘ㅤㄴㅡㄲ임말’에서는 감탄사에 대해 다루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작가 소개

지은이 : 조선어연구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