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조선무속의 연구 (朝鮮巫俗の硏究) 세트 (전2권)  이미지

조선무속의 연구 (朝鮮巫俗の硏究) 세트 (전2권)
일본어판 원본
한국학자료원 | 부모님 | 2025.03.31
  • 정가
  • 400,000원
  • 판매가
  • 360,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0,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5x22.5 | 1.691Kg | 1208p
  • ISBN
  • 979116887978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37년에 발간된 아키바 다카시와 아카마쓰 지조의 공저로 상·하권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주로 경성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제주도의 무가를 일본어로 번역하고 간단한 해제와 주석을 붙여 정리한 것이다. 하권은 전국 90여 지역에서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발표한 논문들과 새롭게 작성한 글을 모은 것이다.

  출판사 리뷰

「조선무속의 연구(朝鮮巫俗の硏究)」는 1937년에 발간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의 공저로 상·하권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주로 경성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제주도의 무가를 일본어로 번역하고 간단한 해제와 주석을 붙여 정리한 것이다. 하권은 전국 90여 지역에서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발표한 논문들과 새롭게 작성한 글을 모은 것이다.

책의 저자인 아키바 다카시는 동경제국대학에서 사회학을, 아카마쓰 지조는 경도제국대학에서 종교학을 전공하였다. 아카마쓰보다 후배인 아키바는 대학 재학 중에 가족제도에 관심이 있었으며 대학 재학 중이던 1920년 7월부터 대학 졸업 후 1924년 10월까지 동양문고에 근무했다. 그가 조선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 자격으로 유럽에 갔다 온 뒤 1926년 경성제국대학 조교수로 부임하면서이다. 유럽에 유학하는 동안에는 웨스터마크(E. A. Westermarck), 말리노프스키(B. K. Malinowski), 래드클리프 브라운(A. R. Radcliffe-Brown) 등으로부터 인류학적 영향을 받았다. 1945년까지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아카마쓰 지조는 경도제국대학을 졸업한 이후 진언종 연합 경도대학의 불교전문학 교수, 불교대학과 류코쿠(龍谷)대학 교수를 지냈고 1920년 10월부터 1923년 6월까지 유럽에 유학후 류코쿠대학의 종교학과 종교사 주임교수가 되었다. 아카마쓰가 조선에 온 것은 1927년 경도제국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해였다. 1941년 3월까지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종교학과 종교사를 담당하였다.

이 책의 공편자들은 이 연구가 조선의 민간신앙과 사회상(社會相)을 밝히는 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무속을 조사 연구하는 데 일본 국내의 제국학사원(帝國學士院)과 핫토리보공회(服部報公會)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다. 1932년도 제국학사원으로부터는 아카마쓰 지조, 아키바 다카시의 연구 프로젝트 「조선 및 만주에서의 무속의 연구(朝鮮及び満州における巫俗の研究)」가 선정되었다. 1935년부터 1936년에는 핫토리보공회로부터 연구보고서의 편찬 및 출판비에 대한 원조금을 받았다.

조사 과정에서 생산된 사진들은 공편자들이 직접 촬영한 것 외에 경성제국대학의 사진부가 찍은 것이다. 이 책이 발간되는 데 참여한 조선인은 유홍렬(柳洪烈), 장지태(張之兌), 손진태(孫晉泰), 권직주(權稷周), 일본인은 이즈미 세이이치(泉靖一), 쓰쿠다(筑田隆藏), 곤도도키오(近藤時雄)였고 무가는 이왕직아악부의 이종태(李鍾泰)가 채보한 것이다.

이 책은 두 사람이 분담하여 집필하였는데 상권은 무가집으로 무조전설, 12제차(祭次), 고사축원(告祀祝願), 성조신가(成造神歌), 지두서(指頭書), 죽음 이야기, 제주도 신가(神歌), 잡편(내당도사, 창가6편, 맹인덕담경, 맹인타령, 증고사, 삼신축원, 조왕동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하권 중에서 아키바가 집필한 부분은 무조전설(제1장), 무의 호칭과 종류(제2장), 입무 과정(제3장), 가제의 행사(제6장), 촌제의 행사(제7장), 무장과 무구(제8장), 무의 가족생활(제10장), 무의 사회생활(제11장)이다. 아카마쓰가 집필한 것은 무속의 신통과 성소(제4장), 천신새신의 행사(제5장), 무가와 무경(제9장), 무속과 도교·불교와의 관계(제12장)이다. 아키바가 전체 12장 가운데 8장을 집필하였고 이는 양적으로 본문 전체 321쪽 가운데 70%에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사람은 아키바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작가 소개

지은이 : 아키바 다카시
<춤추는 무당 춤추지 않는 무당 - 양장본>

지은이 : 아카마쓰 지조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