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조선상식문답 이미지

조선상식문답
한국학자료원 | 부모님 | 2025.03.31
  • 정가
  • 250,000원
  • 판매가
  • 225,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2,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x21 | 0.255Kg | 182p
  • ISBN
  • 979116887977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46년 최남선이 조선에 관한 상식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저술한 문답서. 이에 앞서 1937년 1월 30일부터 9월 22일까지 160회에 걸쳐 『매일신보(每日新報)』에 강토편(疆土篇) · 세시편(歲時篇) · 풍속편(風俗篇) 등 16편 456항목의 ‘조선상식’을 연재한 바 있는데, 광복 후 『조선상식문답』을 만들었다. 이 책은 국호 · 지리 · 물산 · 풍속 · 명일(名日) · 역사 · 신앙 · 유학 · 제교(諸敎) · 어문 등 10편에 175항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출판사 리뷰

1946년 최남선이 조선에 관한 상식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저술한 문답서.

이에 앞서 1937년 1월 30일부터 9월 22일까지 160회에 걸쳐 『매일신보(每日新報)』에 강토편(疆土篇) · 세시편(歲時篇) · 풍속편(風俗篇) 등 16편 456항목의 ‘조선상식’을 연재한 바 있는데, 광복 후 『조선상식문답』을 만들었다.

이 책은 국호 · 지리 · 물산 · 풍속 · 명일(名日) · 역사 · 신앙 · 유학 · 제교(諸敎) · 어문 등 10편에 175항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편 국호편에는 조선 명칭과 관련해 그 기원 · 의의 및 사용횟수, 대한의 유래, 서양제국 및 근린(近隣)제국의 조선 칭호의 종류와 유래, 제2편 지리편에는 조선의 위치 · 사극(四極) · 면적 · 해안선 · 도서 및 삼천리의 유래, 행정상의 구획과 지리, 제3편 물산편에는 조선의 자원, 동식물의 수, 광산, 쌀 · 인삼 · 과실 · 목축 · 목재 · 광물질 등의 산물 등이 문답체로 풀이되어 있다.

제4편 풍속편에는 흰옷의 유래와 폐단, 두루마기 · 망건 등 의복의 유래와 신선로 · 약식 등의 음식, 백날 · 돌 · 관례 · 장가듦 · 동성혼인 · 삼년상 · 윷 · 편쌈 · 널뛰기 등의 풍속, 제5편 명일편에는 설 · 대보름 · 제웅 · 부럼 · 답교(踏橋)주1 등 각 민속명절의 유래와 놀이 · 행사, 제6편 역사편에는 조선역사의 개의(槪義)와 대강, 조선의 민족문화, 조선역사의 특징들, 전통의 연면성, 일본과의 비교, 영광과 치욕의 시기, 조선의 민족성, 당파성과 사대성의 변, 고쳐야 할 병통, 비탄처(悲嘆處), 이민족 압제 하의 최대고통점, 조선연대표, 이씨조선 열조표 등이 문답체로 풀이되어 있다.

제7편 신앙편에는 조선의 고유신앙과 단군신앙의 연혁과 유적 및 의의, 『정감록』, 남조선, 동학(천도교), 유사종교, 제8편 유학편에는 유교의 전래, 정주(程朱) 이외의 학파, 유현(儒賢)과 서원, 유교교육기관, 석전(釋奠) · 거재(居齋)주2, 유교가 조선에 미친 영향 등이 문답체로 풀이되어 있다.

제9편 제교편에는 불교의 전래, 이차돈(異次頓)의 순교, 불교의 영향, 대표적인 승려, 조선의 억불정책, 불교의 본산과 종파, 도교의 전파, 기독교의 전래, 천주교의 의의, 기독교 순교미담, 각 기독교파의 전래 및 영향, 회회교, 제10편 어문편에는 조선어의 언어학상 지위와 연원 · 구성내용, 우랄알타이어족, 외래어, 조선국문의 성립, 훈민정음의 연원과 특색, 국문의 보급과정 등이 문답체로 풀이되어 있다.

이 책은 광복 당시 조선 민중의 상식의 증진을 위해 저술된 것인만큼 저자의 다른 글과는 달리 평이한 문체로 민족의 풍속과 전통을 재인식시켜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나아가서 민중 중심의 한국문화사를 기획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작가 소개

지은이 : 최남선
시인, 출판가, 문화운동가 등으로 활약하며 근대 초기 우리 문학 및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대대로 잡과 합격자를 배출한 중인 집안의 영향 속에서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신문명과 관련된 서적들을 접할 수 있었다. 독학으로 한글을 깨치고 7∼8세 무렵에는 한문을 배워 중국어로 번역된 신문명 서적을 읽었다. 13세가 되던 해인 1902년에는 경성학당에서 일본어를 배워 일본어로 된 신문과 잡지를 통해 서구의 근대 풍경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했다.15세가 되던 해인 1904년 대한제국 황실유학생에 선발되었다. 일본 도쿄에 있는 동경부립제일중학교에서 유학했고 이듬해 집안 사정으로 인해 유학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06년에 재차 일본 유학길에 올라 와세다 대학 지리역사과에서 공부했지만 1907년 3월 학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바로 돌아오지 않고 이듬해인 1908년 8월에 귀국했다. 약 2년 3개월간 일본에 체류하면서 일본의 신문물, 특히 출판에 큰 자극을 받았다. 1908년 일본에서 인쇄 기구를 들여와 경성에 신문관(新文館)을 설립했다. 이 신문관에서 발간한 잡지가 한국 최초의 근대 잡지인 ≪소년≫이다. ≪소년≫이 한일강제합병 이후 일제의 압력으로 폐간된 뒤에도 ≪붉은 저고리≫, ≪아이들 보이≫, ≪새별≫, ≪청춘≫ 등의 잡지 출판을 이어 갔다.잡지 출판 외에 조선의 고서적을 발굴 출판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는 일본이 조선의 고서를 출판한 데 따른 충격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는 1911년 조선광문회를 설립하며 조선의 고서를 자주적으로 발굴하고 출판해 널리 보급하고자 했다. 일본 유학 시절부터 관심을 가졌던 ‘조선적인 것’에 대한 탐구는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후에 단군에 대한 연구 등으로 확장되었다.계몽운동에 대한 탐구와 조선적인 것에 대한 열망은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행동에 옮겨지기도 했다. 그는 당시 민족대표 33인 또는 민족대표 49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으며 <기미독립선언서>를 기초했다. 이에 최남선은 3.1 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일제에 의해 투옥되었다. 2년 8개월의 수감 기간 동안 최남선은 1920년대 자신이 추구할 작업의 기초를 다졌는데, 그것을 출감 후 <단군론>(1926), <불함문화론>(1927) 등으로 구현해 냈다. 이 작업들은 역사학과 민속학과 관련된 작업들이었는데 <심춘순례>, <백두산 근참기> 등의 현장 답사 기행문 등과 병행했다. 이는 조선적인 것의 기원을 찾으려는 일련의 작업들이었다. 물론 이 시기에도 주간 잡지 ≪동명(東明)≫(1922)을 발행하고 ≪시대일보(時代日報)≫를 창간하는 등 지속적인 출판운동을 펼쳤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민족 운동가로서의 면모는 1927년 변화의 양상을 맞이했다.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조선사편수위원회’에 참여하게 되면서부터 최남선은 친일 성향으로 변모했다. 일제의 기관지인 ≪매일신문≫에 적극 참여하고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1939년에는 만주국의 건국대학 교수로 재직하게 되었다.해방을 맞이하고 반민족행위자처벌법이 발효되면서 최남선은 반민특위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러나 서대문형무소에서 지낸 수감생활은 짧았다. 그는 곧 보석으로 풀려났고 반민특위가 이승만 정부에 의해 무력화되면서 그의 친일행위에 대한 사법적 판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방기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에도 우리 역사에 대해 연구했으며 1951년 해군전시편실 고문을 지내고 1952년 육군대학에서 역사를 강의했다. 1955년 뇌일혈로 쓰러진 후 투병하다가 1957년 10월 10일, 향년 68세에 세상을 떠났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