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조동일 교수의 《문학 속의 자득 철학》은 철학과 문학의 경계를 허물고 두 분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통찰을 제시한다. 철학 알기, 철학 읽기, 철학하기라는 세 가지 접근 방식을 통해 독자에게 철학의 본질을 탐구하도록 유도하며, 문학이 철학적 사유를 어떻게 풍부하게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저자는 철학 알기를 단순한 지식의 축적에 그치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만의 철학을 창조하는 과정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문학은 단순한 예술적 표현이 아니라, 인생의 이치를 따지고 가치를 추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역설하며, 문학 속에서 철학적 질문을 탐구할 것을 권장한다. 특히, 동아시아의 철학적 전통을 강조하며, 기존의 서구 중심적 철학 관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차등론을 부정하고 대등론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문학이 대등생극론을 구현하는 사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문학을 통해 철학을 새롭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철학을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유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문학을 통해 철학을 읽고, 나아가 자신의 철학을 창조하는 여정을 시작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력히 추천하는 필독서이다.
출판사 리뷰
철학과 문학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창조하는 길을 모색하다
이 책은 철학과 문학의 관계를 탐구하며, 철학을 이해하고 창조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철학 읽기, 철학 논란, 철학하기 세 권으로 구성하여 독자에게 철학의 본질을 탐구하도록 유도한다.
제1권 《문학에서 철학 읽기》는 문학 작품 속에 담긴 철학적 요소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문학 작품을 통해 철학적 통찰을 얻고, 이를 통해 새로운 통찰을 발견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문학에서 철학을 읽는 것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자신의 사고를 자극하고 창조적인 사고로 나아가는 길임을 강조한다.
제2권 《문학끼리 철학 논란》은 문학 작품 간의 논란을 통해 철학적 쟁점을 깊이 탐구한다.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논란을 분석하며, 철학과 문학의 상호작용을 조명한다. 문학이 철학을 어떻게 형성하고, 철학적 논의가 문학에 어떻게 스며드는지를 통해 두 분야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철학적 통찰을 창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3권 《문학으로 철학하기》는 문학으로 철학하기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며, 한국의 역대 서정시를 중심으로 문학적 창작이 어떻게 철학적 사유를 구현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문학 창작을 통해 자득 철학을 실현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한다.
이 책은 철학을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고의 과정으로 바라보며, 문학을 통해 철학을 읽고, 나아가 자신의 철학을 창조하는 길을 모색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근은 철학과 문학의 경계를 허물고, 두 분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조동일
1939년 경북 영양 출신1958년부터 서울대학 불문․국문과 학사, 국문과 석․박사1968년부터 계명대학․영남대학․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 교수2004년부터 서울대학 명예교수, 2007년부터 대한민국학술원회원《한국문학통사》, 《문학사는 어디로》, 《대등의 길》 등 저서 다수
목차
계절 노래
봄 노래
가을 노래
더위와 추위 노래
씨앗 노래
꽃 노래
물 노래
바람과 구름 노래
해․달․별 노래
시간 노래
넓이 노래
고향 노래
죽음 노래
종소리 노래
역사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