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는 철학자, 알랭 드 보통과 함께하는 인생학교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인 청소년들을 위한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출간했다. 앞서 꿈과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은 청소년을 위한 『뭐가 되고 싶냐는 어른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법』, 마음이 힘들고 지친 청소년을 위한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에 이어, 이번에는 살면서 마주하는 크고 작은 어려움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제시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때로는 막막함과 좌절감을 느끼곤 한다. 하지만 역사 속 위대한 철학자들 역시 우리와 똑같은 고민을 했고, 자신만의 해답을 찾아냈다.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철학자들의 깊이 있는 통찰을 통해 우리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알랭 드 보통과 함께하는 인생학교의 철학적 가르침을 따라가다 보면, 어떤 어려움도 당당히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조언을 넘어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현명하게 대처하고 마음의 힘을 키우는 특별한 여정으로 안내한다.
출판사 리뷰
일상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과 함께하는 인생학교와 함께
인생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지혜를 배우다!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는 철학자, 알랭 드 보통과 함께하는 인생학교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인 청소년들을 위한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출간했습니다. 앞서 꿈과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은 청소년을 위한 『뭐가 되고 싶냐는 어른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법』, 마음이 힘들고 지친 청소년을 위한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에 이어, 이번에는 살면서 마주하는 크고 작은 어려움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제시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때로는 막막함과 좌절감을 느끼곤 합니다. 하지만 역사 속 위대한 철학자들 역시 우리와 똑같은 고민을 했고 자신만의 해답을 찾아냈습니다.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철학자들의 깊이 있는 통찰을 통해 우리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합니다.
알랭 드 보통과 함께하는 인생학교의 철학적 가르침을 따라가다 보면 어떤 어려움도 당당히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조언을 넘어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현명하게 대처하고 마음의 힘을 키우는 특별한 여정으로 안내합니다.
어른들도 대답해 주기 어려운 인생 고민,
25명의 철학자가 속 시원히 대답하다!
“내가 정상이 아니래요.”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해야 할 일을 자꾸 미루게 돼요.”
일상적인 고민은 물론, 어른들조차 명쾌한 답을 찾기 힘들었던 심오한 문제까지 25명의 철학자들이 그 해답을 명쾌하게 풀어줍니다.
'너는 좀 이상해'라는 말을 들어 속상할 때 카뮈는 다른 사람 눈치 보지 말고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하라고 말합니다. 내가 뭘 좋아하는지, 뭘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다면 루소는 본성에 맞는 일을 찾아보고 어렸을 때 좋아했던 놀이를 떠올려 보라고 조언합니다. 또 자꾸 해야 할 일을 미루게 되는 이유에 대해 히파티아는 우리가 게을러서가 아니라 일을 시작할 때 느끼는 막연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처럼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에서는 우리가 살면서 흔히 마주하는 어려움에 대해 철학자들이 오랫동안 생각하고 찾아낸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세상은 정말 공정한지, 왜 어떤 사람들은 부유한지, 뉴스는 왜 모든 진실을 담고 있지 않은지, 예술과 광고는 어떤 공통점을 지니는지 등 우리가 한 번쯤은 품게 되는 세상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어냅니다.
이 책은 철학이 개인의 고민뿐만 아니라 정치, 예술 등 사회 전반과 깊숙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삶인지, 삶의 궁극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합니다. 현실적인 고민과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철학자들이 어떻게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는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어려움을 현명하게 극복하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철학자처럼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나만의 해답을 찾는다!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은 독서 토론이나 독후 활동에 유용한 구체적인 활동들을 담고 있습니다. 실제로 겪을 법한 고민과 문제를 다루며, 활동을 통해 생각을 직접 써 보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성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갑자기 슬퍼지는 이유를 되짚어보는 피로도 체크리스트, 나를 괴롭히는 사람의 행동 뒤에 숨겨진 불행의 원인을 추론하거나,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적어 보며 답을 찾아가는 활동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철학자들처럼 스스로 사고하고, 친구나 가족,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며 인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자신만의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크고 작은 문제를 겪어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지만, 문제에 대처하는 태도와 방식은 바꿀 수 있어요. 철학은 우리가 화를 덜 내고, 소리를 덜 지르고, 덜 불안해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도와준답니다.
날 이해해 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건 기분 좋은 일이에요. 때로는 솔직하게 이야기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누군가 화를 내거나 짜증을 부린다면 그건 여러분 때문이 아니라 다른 이유 때문일 수 있어요. 마치 성난 사자처럼 마음 어딘가에 가시가 박혀 있을지 모르죠.
작가 소개
지은이 : 알랭 드 보통
1969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나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철학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과정 중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1993년 첫 소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발표하며 곧바로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연이어 『우리는 사랑일까』 『키스 앤 텔』을 출간해 소위 ‘사랑과 인간관계 3부작’을 완성한다. 소설적 재미와 철학적 사유가 어우러졌다는 평단의 호평과 함께 20여 개 언어로 번역 출간된 그의 작품은 지금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독특한 연애 소설 덕분에 그는 ‘현대판 스탕달’ 또는 ‘닥터 러브’라고 불린다.2003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으로부터 문화예술공로훈장 슈발리에를 받았으며, 같은 해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샤를르 베이옹 유럽 에세이 상’을 수상했다. 2008년 영국 런던에 ‘인생학교’를 설립하고, 학생을 가르치며 책을 펴내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홈페이지 www.alaindebotton.com
지은이 : 인생학교
알랭 드 보통이 주축이 되어 만든 프로젝트 학교. ‘배움을 다시 삶의 한가운데로’라는 모토 아래 2008년 런던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암스테르담, 베를린, 파리, 상파울루 등에 분교가 있다.‘어떤 사람을 만나는 게 좋을까?’ ‘관계는 어떻게 맺고 유지할까?’ ‘돈은 어떤 의미일까?’ 등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이 직면하는 문제의 본질과 맞닿은 질문을 묻고 토론한다.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자세한 교육 과정과 활동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목차
철학은 뭘까? 9
너 자신을 알라 14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생각했어 18
내 마음을 말해 봐 20
비트겐슈타인은 이렇게 생각했어 24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뭔지 물어봐 26
시몬 드 보부아르는 이렇게 생각했어 30
내 탓이 아니야 32
이븐시나는 이렇게 생각했어 34
남을 괴롭히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야 36
제라 야콥은 이렇게 생각했어 40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 42
세네카는 이렇게 생각했어 44
단지 지쳤을 뿐이야 46
마쓰오 바쇼는 이렇게 생각했어 50
조금 이상한 게 정상이야 52
알베르 카뮈는 이렇게 생각했어 54
아무도 몰라 56
르네 데카르트는 이렇게 생각했어 60
예의는 중요해 62
공자는 이렇게 생각했어 64
우리는 왜 미룰까? 66
히파티아는 이렇게 생각했어 68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기는 어려워 70
장 자크 루소는 이렇게 생각했어 74
생각보다 만만치 않아 76
프리드리히 니체는 이렇게 생각했어 80
완벽한 사람은 없어 82
랠프 월도 에머슨은 이렇게 생각했어 86
부서진 걸 아름답게 고칠 수 있어 88
석가모니는 이렇게 생각했어 92
잔소리하기보다는 가르쳐 주어야 해 94
이마누엘 칸트는 이렇게 생각했어 98
겉모습만 보고 알 수 없어 100
장 폴 사르트르는 이렇게 생각했어 104
왜 외로울까? 106
미셸 드 몽테뉴는 이렇게 생각했어 110
인생의 의미는 뭘까? 112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게 생각했어 116
저렴하면 왜 흥미가 떨어질까? 118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이렇게 생각했어 120
뉴스가 모든 걸 이야기하진 않아 122
자크 데리다는 이렇게 생각했어 124
예술이 광고를 한다고? 126
헤겔은 이렇게 생각했어 120
왜 어떤 사람은 돈을 더 많이 벌까? 132
애덤 스미스는 이렇게 생각했어 134
공정한 게 뭐지? 136
존 롤스는 이렇게 생각했어 140
부끄러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142
마이모니데스는 이렇게 생각했어 144
왜 어른은 고달프게 살까? 146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알려 주는 철학 148
어려움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법을 알려 주는 철학자들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