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론 뮤익》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도록이다. 《론 뮤익》은 국립현대미술관과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이 공동주최로 개최하는 호주 출신 작가 론 뮤익(Ron Mueck)의 아시아 첫 회고전이다. 이 전시는 30여 년간 꾸준히 창작 활동을 지속하며 현대 조각의 경계를 새롭게 정의해 온 뮤익의 예술적 여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백 개의 대형 두개골 형상을 쌓아 올린 기념비적 설치작품 〈매스〉(2016-2017)를 중심으로, 10대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낸 초기 작품 〈유령〉(1998 / 2014), 대형 마스크 조각 시리즈 중 하나인 〈마스크 ll〉(2002),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뮤익의 대표작 중 하나인 〈침대에서〉(2005), 비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다룬 〈치킨 / 맨〉(2019) 등 뮤익의 작품 세계를 온전히 경험할 수 있을 작품들을 선보인다.
《론 뮤익》에서는 프랑스 사진작가이자 영화감독 고티에 드블롱드(Gautier Deblonde)가 뮤익의 스튜디오와 작업 환경을 담은 영화 두 편과 사진 연작도 소개한다. 드블롱드는 조각이 스스로 드러나게 두고 본인은 배경으로 머물기를 선호하는 예술가 뮤익의 작업 과정을 25년 이상 기록해 왔다.
도록은 홍이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의 기획의 글과 안소연 미술비평가의 에세이, 고티에 드블롱드 작가의 인터뷰를 수록한다. 아울러 전시 출품 작품 도판 및 작품 설명, 목록, 작가 약력 등도 포함한다.
출판사 리뷰
본 도록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론 뮤익》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다.
《론 뮤익》은 국립현대미술관과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이 공동주최로 개최하는 호주 출신 작가 론 뮤익(Ron Mueck)의 아시아 첫 회고전이다. 이 전시는 30여 년간 꾸준히 창작 활동을 지속하며 현대 조각의 경계를 새롭게 정의해 온 뮤익의 예술적 여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백 개의 대형 두개골 형상을 쌓아 올린 기념비적 설치작품 〈매스〉(2016-2017)를 중심으로, 10대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낸 초기 작품 〈유령〉(1998 / 2014), 대형 마스크 조각 시리즈 중 하나인 〈마스크 ll〉(2002),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뮤익의 대표작 중 하나인 〈침대에서〉(2005), 비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다룬 〈치킨 / 맨〉(2019) 등 뮤익의 작품 세계를 온전히 경험할 수 있을 작품들을 선보인다.
《론 뮤익》에서는 프랑스 사진작가이자 영화감독 고티에 드블롱드(Gautier Deblonde)가 뮤익의 스튜디오와 작업 환경을 담은 영화 두 편과 사진 연작도 소개한다. 드블롱드는 조각이 스스로 드러나게 두고 본인은 배경으로 머물기를 선호하는 예술가 뮤익의 작업 과정을 25년 이상 기록해 왔다.
도록은 홍이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의 기획의 글과 안소연 미술비평가의 에세이, 고티에 드블롱드 작가의 인터뷰를 수록한다. 아울러 전시 출품 작품 도판 및 작품 설명, 목록, 작가 약력 등도 포함한다.
저자소개
홍이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안소연 미술비평가
고티에 드블롱드 사진작가, 영화감독
론 뮤익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그의 정교하고 사실적인 조각 기술과 표현에 감탄하는 것을 넘어 예술적 철학과 현대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 그리고 시대적 맥락을 폭넓게 살피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인간의 실존에 대한 근원적 성찰부터 현대 사회의 불안과 고독, 관계의 의미까지 끊임없이 탐구해 나가고 있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외형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람객에게 자기 내면을 돌아보게 하며 시대의 자화상을 마주하게 만든다.
홍이지, 「진짜를 향한 갈망의 조각」
삼차원의 조각이 아우르는 상상력과 기억력을 떠올려 본다면 뮤익의 최근 작업은 과거로부터 전통적인 조각이 시도해 온 차원의 이동을 상기시킨다. 어떤 실체가 지닌 두려움의 정도를 조각적 조형의 요소들로 전환하여 가시화함으로써, 수량과 크기와 무게와 형체 같은 재현할 수 없는 것의 현시를 돕는다. […] 뮤익은 재현할 수 없는 인간 형상의 이미지를 좇아, 그것이 삼차원에 자리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단서를 제공한다.
안소연, 「상상력과 기억력」
론의 작업실은 대체로 매우 조용하다. 그는 점토 모델을 몇 달씩 작업하는데, 이때는 거의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가끔 바깥에서 들려오는 새소리나 개 짖는 소리가 있을 뿐이다. 나는 그런 분위기까지도 포착하고 싶었다. 소리나 조명을 인위적으로 추가하면 쉽게 허구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내게는 그런 방식이 맞지 않는다. 작업실의 분위기를 실제와 다르게 연출하지 않는 것을 중시한다. 나는 관객의 행복감이나 흥미를 원치 않는다. 예술가의 창작 과정을 그려내고, 작업실 안의 삶을 보여 주고 싶다. 그래서 오직 그곳에 이미 존재하는 것만 사용한다.
고티에 드블롱드, 「인터뷰: 렌즈를 통해 보기」
작가 소개
지은이 : 국립현대미술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목차
5 발간사─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크리스 더컨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총괄 디렉터
13 진짜를 향한 갈망의 조각─홍이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23 상상력과 기억력─안소연 미술비평가
39 전시 작품
131 인터뷰: 렌즈를 통해 보기─고티에 드블롱드 사진작가, 영화감독
139 작품 설명
145 작품 목록
149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