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옻칠화 처음 보기  이미지

옻칠화 처음 보기
개정판
헥사곤 | 부모님 | 2025.04.11
  • 정가
  • 30,000원
  • 판매가
  • 27,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8x24.5 | 0.426Kg | 224p
  • ISBN
  • 979119275667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전통과 현대를 잇는 미술 분야의 독보적인 입문서로, 우리 고유의 예술인 옻칠화를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체계적 안내서다. 이 책은 옻칠화의 기원과 역사, 재료의 특성, 다양한 제작 기법뿐 아니라 창작을 위한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작업 방법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아우른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비롯된 옻칠화의 기원과 그 미학적 가치, 그리고 현대 작가들이 이를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켜왔는지를 상세히 서술하며, 미술사적 흐름 속에서 옻칠화가 갖는 위치를 재조명한다.

  출판사 리뷰

『옻칠화 처음 보기』는 전통과 현대를 잇는 미술 분야의 독보적인 입문서로, 우리 고유의 예술인 옻칠화를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체계적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옻칠화의 기원과 역사, 재료의 특성, 다양한 제작 기법뿐 아니라 창작을 위한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작업 방법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아우릅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비롯된 옻칠화의 기원과 그 미학적 가치, 그리고 현대 작가들이 이를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켜왔는지를 상세히 서술하며, 미술사적 흐름 속에서 옻칠화가 갖는 위치를 재조명합니다.

저자 이종헌과 조해리는 오랜 시간 옻칠화 현장에서 쌓아온 경험과 학문적 성찰을 바탕으로, 초심자들이 옻칠화라는 낯선 장르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잡한 제작 과정, 까다로운 재료 특성, 그리고 자연과의 교감 속에서 완성되는 옻칠화의 독특한 창작 방식은 동양 예술의 정수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자들은 단순한 기법 습득을 넘어 옻칠화가 품고 있는 철학과 미학을 체험하게 됩니다. 회화 전공자, 공예 예술가, 미술 교육자뿐만 아니라 전통예술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도 폭넓게 권할 수 있는 이 책은, 옻칠화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여는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서평>
『옻칠화 처음 보기』는 오랜 시간 잊혀져 있던 옻칠화의 맥을 되살리고, 이를 현대 회화의 한 장르로 정립하고자 하는 진심 어린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단순히 옻칠 기법을 소개하는 책이 아니라, 한국 미술의 뿌리를 찾고 이어가는 데 필요한 역사적, 미학적, 실천적 토대를 모두 담아낸 이론서이자 실용서입니다. 이종헌·조해리 두 작가는 각자의 창작과 교육 현장에서 체득한 지식을 집대성하여,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전문 창작자에게도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탄탄한 내용을 구성했습니다.

옻칠은 강하고도 은은한 광택, 깊이 있는 색감, 그리고 시간이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발색을 통해 일반 회화에서 찾아볼 수 없는 미감을 선사합니다. 이 책은 그 미감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과 철학을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예술 매체로서의 옻칠의 가치를 되새기게 합니다. 현대 회화가 지나치게 소비적이고 빠르게 소모되는 시대에, 자연을 기반으로 한 이 느린 예술은 오히려 깊은 울림을 제공합니다. 『옻칠화 처음 보기』는 오늘날의 미술 창작과 감상에 새로운 시선과 대안을 제시하는 귀중한 참고서가 될 것입니다.

옻칠화에 대한 입문서가 발간된다니, 정말 반가운 일입니다. 책을 펼쳐보니 옻칠은 다양하게 쓰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으로 목공예품의 품위를 높여주는 기능에만 머물지 않음을 먼저 발견하게 됩니다. 옻칠은 항균이나 방습 효과, 그리고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목공예뿐만 아니라 금속공예나 도자기에도 사용했습니다. 또 창이나 화살촉, 화살대, 방패 등에 칠해서 단단함을 돋우는 데 사용해 왔답니다.

옻칠 그림이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 '통구오회분'과 '통구사신총',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나도 생각지 못한 기법입니다. 이들 고분벽화의 사신도나 화려한 장식무늬들은 화강암 석벽에 직접 채색한 벽화입니다. 나는 2006년 강서대묘와 중묘의 벽화실태조사에 참여해 자세히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그 화려한 채색과 웅혼한 형상미가 지금도 눈앞에 아른거릴 정도로 선연합니다. 단순히 접착제의 사용만 살폈지, 옻칠은 잘 몰랐습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회화 중 유일무이한 옻칠 벽화라니 기가 막힙니다. 이런 옻칠화의 전통을 20년 전 중국에서 옻칠화를 공부한 이종헌 같은 작가들이 귀국하면서 발견한 것입니다. 낯설기만 했던 옻칠화가 벌써 이들 작가에 의해 우리 회화의 한 장르로 당당히 뿌리를 내렸다고 봅니다.
옻칠화는 우리 민족 고유의 예술이었지만, 그 명맥은 어느 사이에 끊겼습니다. 현대로 올수록 옻칠이 지닌 고유의 아름다움보다는 자개나 금박 은박 등의 배경이 되어버렸습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시연된 옻칠화의 아름다움과 그 전통이 처연할 뿐입니다.

『옻칠화 처음 보기』는 우리 민족 예술의 한 장르였지만, 그 맥이 완전히 끊어졌던 것을 회복하는 첫 이론서 격입니다. 또 이 책은 실전 경험과 이론을 겸비한, 사제 간인 이종헌 작가와 조해리 작가의 20년 경륜을 쏟은 결과물입니다. 옻칠화 전통을 되살림, 그것만으로도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진심으로 큰 박수를 보냅니다. 이를 공부한 우리 시대의 옻칠화가들이 대거 배출되기를 기대합니다. ● 이태호 / 미술사가, 명지대학교 초빙교수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종헌
동국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중국 북경 중앙미술학원 벽화과 석사과정을 졸업하였으며, 중국 남경사범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총 9회의 개인전과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더불어 2004년부터 15회의 이상의 전시기획과 동국대, 대불대, 군산대, 숙명여대, 동덕여대, 울산대 회화과 강사 및 동방대학원대학교 옻칠조형전공 겸임교수 역임 등의 교육경력이 있다. 이종헌은 귀국 후 한국 옻칠화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2004년 '한국옻칠화회'를 설립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옻칠 관련 벽화 제작과 심사 및 자문위원도 맡았으며, 2010~2014년까지 북촌의 옻칠공방 '칠원漆苑'을 운영하였다. 2007년 『고구려발해학회』에 발표한 「고구려벽화와 휴식기법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 옻칠과 관련한 논문과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사) 민족미술인협회 회장, 사) 한국옻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옻칠화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현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에서 작품활동과 예술인마을을 만들기 위해 지역 활동을 하고 있다.중국 유학시절 당시 직접 보았던 고구려 고분벽화 오회분은 지금까지 이종헌이 옻칠화를 하는 큰 원동력이 되었다. 고분 안에 들어가서 벽화를 직접 접했을 때의 그 희열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한다. 사진으로만 봤을 때 막연히 옻칠화 아닐까 하고 생각했던 그 짐작이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직접 그 공간에 들어가니 느껴지는 옻칠 특유의 향과 눈으로 보이는 옻칠만의 은은한 광택이 그 증거였다. 그리고 중국에서 휴식록이라는 명대 옻칠공예 전문서적의 원본을 구해 밤새도록 어루만지면서 읽었던 기억도 그가 옻칠화를 하는 당위성을 만들어 주었다. 전통성과 당위성을 바탕으로 하는 저자의 옻칠화 연구가 현대 한국미술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확신한다.

지은이 : 조해리
200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U.K.)에서 MA Fine Art 석사를 2010년에 졸업하였으며, 201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동양화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6년부터 2025년 현재까지 총 16회의 개인전과 한국, 영국, 중국, 일본, 프랑스 등에서 85회 이상의 단체전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에 출강하여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옻칠협회 이사, 한국화회 회원, 이원전 회원, 오픈갤러리 소속 작가 등으로 활발하게 작가 생활을 하고 있다.조해리는 2006년 서울대학교 '표현기법 1' 수업을 통해 옻칠화를 처음 배우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옻칠화에 강한 흥미를 느끼고, 담당 강사였던 송완근 선생님과의 지속적인 왕래와 청강을 통해 옻칠 작업을 이어 나갔다. 2008년에는 자발적으로 동료 작가들과 함께 ≪옻놀이≫라는 제목의 옻칠회화 단체전을 서울대 문화관 전시실에서 개최하기도 하였다. 2012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한국옻칠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현재까지 매년 전시를 해오고 있다. 옻칠연구소 '칠원' 운영 보조를 하기도 하고, 2013년에는 ≪한ㆍ중 현대옻칠회화 교류전≫을 위해 중국 소주와 서울을 오가기도 하였다.오랫동안 먹과 한지만을 다뤄온 조해리에게 옻칠은 매우 놀라운 재료였다. 우수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지이지만, 습기와 먼지 및 강한 햇빛에는 취약하다는 보관상의 약점이 있다. 그리고 강렬한 발색과 거침없는 발상의 서양회화 작품 사이에 은은한 동양화는 상대적으로 눈길을 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우수한 예술성을 가졌지만, 재료의 약함으로 저평가되는 고서화들이 안타깝다고 느낄 때, 옻칠화는 저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옻칠은 공예에서 시작해서 회화로 확대되어 왔다. 동양화만큼 유구한 전통성을 지닌 옻칠은 현대미술에서도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보나, 재료적 우수성과 활용도로 보나, 심미적으로 보나 무엇 하나 빠지는 점이 없다. 저자의 옻칠회화 연구가 현대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히고, 창의적인 조형 감각을 일깨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저자소개 _ 6

고구려의 옻칠화를 되찾다 _ 8

책머리에 _ 10



1. 옻칠화漆畵란 무엇인가 _ 14
1) 옻칠화의 정의 _ 16
2) 옻칠화와 칠공예의 관계 _ 18
3) 옻칠 주요용어 _ 20



2. 옻칠화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_ 22
1) 한반도의 고대 옻칠화 _ 24
2) 한국의 현대 옻칠화 _ 38
3) 중국의 칠화 _ 42
4) 베트남의 칠화 _ 48



3. 옻漆이란 무엇인가 _ 54
1) 옻의 정의 _ 56
2) 옻나무 재배 및 채취 _ 60
3) 옻칠의 경화 및 정제 _ 64
4) 옻칠의 품질감별 _ 70
5) 옻 오름 _ 74



4. 옻칠화 창작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_ 76
1) 작업공간 준비 _ 78
2) 작업도구 준비 _ 82
3) 작품재료 준비 _ 90
4) 마음가짐 _ 110



5. 옻칠화는 어떻게 창작하는가 _ 114
1) 바탕이 되는 태판 제작: 질법質法 _ 116
2) 바르는 기법: 단색휴도單色塗 _ 128
- 연마휴도 / 후료휴도 / 박료휴도 / 조색휴도 / 목문조명
3) 긋는 기법: 묘회描繪 _ 136
- 칠식 / 채회 / 묘금 / 조금 / 금은채회
4) 붙이는 기법: 양감嵌 _ 148
- 나전양감 / 금속양감 / 난각양감 / 한지양감
5) 파내는 기법: 각전刻塡 _ 162
- 창획 / 조전 / 각칠
6) 뿌리는 기법: 마회磨繪 _ 168
- 채칠마회 / 시회 / 연박분마회
7) 무늬를 만드는 기법: 변도變塗 _ 174
- 도구 / 자연물 / 입자 / 칠 / 희석제
8) 쌓는 기법: 퇴칠堆漆 _ 184
- 선퇴 / 면퇴 / 박퇴 / 고퇴 / 퇴금 / 조칠
9) 마무리하기(광내기) _ 190
10) 전시 및 보관하기 _ 192



6. 현대 옻칠화 작품은 얼마나 다양한가 _ 194
한국 현대 옻칠화 _ 196



참고자료 _ 218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