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어떤 설명이나 수식이 필요없는 씨네아스트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다큐멘터리 《타르콥스키, 기도하는 영혼》(2022) 시나리오집 출간에 이어, 199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로제타〉), 2005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더 차일드〉), 2008년 칸 영화제 각본상(〈로나의 침묵〉), 2011년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자전거 탄 소년〉)등 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거장의 반열에 오른 다르덴 형제의 시나리오가 알마에서 출간된다.
벨기에에서 나고 자란 두 형제 감독은 사회에서 불안정하게 살아가는 사람이나 눈에 띄지 않는 어두운 존재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사회적인 주제를 다룬다. 대부분 영화의 스토리는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가져오기에 현실적인 면이 강하게 부각된다. 영화를 제작하는 현장을 직접 보지 못하는 게 아쉬울 만큼 영화의 장면은 현실감이 생생하다.
출판사 리뷰
세계적인 거장의 영화를
시나리오로 보고 읽다
어떤 설명이나 수식이 필요없는 씨네아스트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다큐멘터리 《타르콥스키, 기도하는 영혼》(2022) 시나리오집 출간에 이어, 199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로제타〉), 2005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더 차일드〉), 2008년 칸 영화제 각본상(〈로나의 침묵〉), 2011년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자전거 탄 소년〉)등 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거장의 반열에 오른 다르덴 형제의 시나리오가 알마에서 출간된다.
벨기에에서 나고 자란 두 형제 감독은 사회에서 불안정하게 살아가는 사람이나 눈에 띄지 않는 어두운 존재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사회적인 주제를 다룬다. 대부분 영화의 스토리는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가져오기에 현실적인 면이 강하게 부각된다. 영화를 제작하는 현장을 직접 보지 못하는 게 아쉬울 만큼 영화의 장면은 현실감이 생생하다.
그러나 벨기에는 이곳에서 멀고, 그들의 영화 현장은 다가가기 힘들다. 그 대신 시나리오를 통해 그들의 영화가 어떻게 탄생하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영화를 직접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나리오집을 읽는 것은 영화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특히 영화 장면과 시나리오가 다른 부분을 찾아가며, 왜 이 부분은 다르게 표현했는지 상상하고 곱씹어보면 다르덴 형제가 영화를 통해 말하고 싶어 했던 주제 의식이 좀 더 선명해진다. 무엇이 중요했고, 달리 표현하면서 어떤 효과를 획득했는지 찾아내는 작업은 시나리오를 읽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다르덴 형제의 다큐적 화법은 시나리오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렇기에 다르덴 형제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시나리오집을 읽는 것은 그들의 창작의 뿌리를 보는 것과 다름없다.
사회문제와 인간 내면에 대한 짧지만 묵직하고 날카로운 시선
다큐보다 더 사실적인 두 형제의 영화 읽기
다르덴 형제는 다큐적 화법의 긴장감과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대부분 롱테이크나 핸드헬드로 촬영한다. 흔들리는 화면을 고스란히 담지만, 내키는 대로 움직이는 배우와 그 동선을 따라가는 카메라는 충돌하지 않는다. 갑작스레 손을 내밀면 그 자리에 사건을 이어가는 소도구가 놓여 있거나, 주인공이 얼굴을 찡그리면 상대 배우는 기다리기라도 한 듯 그에 반응한다. 물 흘러가듯 자연스레 화면이 흘러간다. 도대체 어떻게 영화를 만들어내는지 그 현장이 궁금할 정도다. 이런 자연스러움이 다르덴 형제의 주제 의식을 더욱 부각한다.
한편, 다르덴 형제의 영화에서는 늘 빈곤이 등장한다. 〈로제타〉에서는 돈을 벌기 위해 일자리와 사랑을 바꾸고, 〈더 차일드〉에서는 친권을 포기하며, 〈로나의 침묵〉에서는 결혼과 시민권을 맞바꾸며 돈이 오간다. 자본주의라는 냉혹한 사회의 룰을 따라 살아가고 사랑하고 혹은 연민하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다. 이런 식으로 빈곤이라는 문제는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인 차원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다르덴 형제는 빈곤은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이 아니며, 이는 언제나 구체적인 현실이라고 강조한다. 그렇기에 빈곤은 몸에 고통을 주고 상처를 남길 뿐 아니라, 영혼과 마음까지 고사시킨다. 다르덴 형제는 그 과정을 담담히 담아내는데, 그렇다고 해서 관찰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관객들이 그들의 영화를 보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기를, 왜, 어떻게를 고민하길 바란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많은 사람이 우리 영화를 보고 오해합니다. 관찰은 우리의 목표가 아닙니다. 우리는 영화를 보고 나면 당신이 질문하기를 바랍니다.”
_ 다르덴 형제
… 그리하여 베토벤이 두 번 흐른다
다르덴 형제의 시나리오집에는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해설이 실려 있는데, 영화 장면과 시나리오를 오가며 영화를 설명한다.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해설을 읽다보면 a4용지 수십 장을 들고 언제나 열정적으로 강연하는 그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재생되는 것만 같다. 특히 그가 강조한 지점은 두 영화에서 흐르는 베토벤의 음악이다. 음악가로서 겪어야 했던 좌절이 베토벤의 음악을 더 완벽하게 만들어주었듯 두 영화에서 흐르는 베토벤의 음악은 관객들로 하여금 주인공 내면에 더 깊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정성일의 해설은 음악이 영화에 어떤 효과를 더해주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짚어주기 때문에, 영화를 다시 보면 그 음악이 다시 들리고 달리 보일 것이다.
〈로나의 침묵〉의 마지막 장면에서 숲속 오두막에 조용히 누운 로나의 모습은 ‘백설공주’의 새로운 버전 같기도 하고, 늑대를 피해 몸을 숨긴 ‘빨간 망토’ 같기도 하다. 이때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마지막 번의 마지막 악장이 눈물겨울 만큼 아름답게 흐른다. 익숙했던 오래된 음악이 새로운 스토리를 입고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자전거 탄 소년〉에서 흐르는 베토벤은 〈피아노 협주곡 5번〉의 2악장 아다지오다. 우리에게는 ‘황제’라는 부제로 더 유명하지만, 어쨌든 그 제목과 이 영화는 관련이 없다. 그 제목조차 베토벤이 붙인 것이 아니니 그저 선율의 아름다움이 영화의 장면과 어떻게 어우러지는지만 느끼면 된다.
〈자전거 탄 소년〉에서 음악은 네 번 흐른다. 시릴이 보육원을 도망치려다 잡힌 날 밤 ‘지친 짐승처럼’ 잠들었을 때, 시릴의 아버지를 찾아갔으나 다시는 연락하지 말라는 말을 듣고 돌아오던 길에서 자해할 때, 강도짓한 돈을 들고 아버지를 찾아갔으나 거부당한 시릴이 사만다에게 돌아가는 길, 강도짓의 피해자를 마주쳤을 때 아들이 시릴에게 돌을 던져 쓰러졌다가 다시 일어나 사만다에게로 돌아가는 길에서다. 친아버지에게 거부당하고 위탁가정의 어머니에게 돌아가면서 흐르는 음악은 길을 잃지 말라고 불러주는 어머니의 노래다.
베토벤의 음악은 딱딱하지도 넘치게 감상적이지도 않으면서 적절하게 장면과 어우러져 영화의 주제를 드러낸다. 다르덴 형제의 영화가 사실적이지만 차갑고 날카롭게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이런 연민의 시선을 놓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알마의 영화 시나리오집
알마에서는 세계적인 거장의 영화 시나리오를 계속해서 선보일 예정입니다.
출간작
《타르콥스키, 기도하는 영혼》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지음, 이다혜 옮김
출간예정
《로제타, 더 차일드》 장 피에르 & 뤽 다르덴
* 알마의 영화 시나리오집은 계속 이어집니다.
#119. 실외-숲, 사냥 오두막 근처(저녁)
로나가 고개를 숙이고 천천히 걷다가 때때로 나무를 줍기 위해 몸을 숙인다. 멀리서 새 우는 소리가 들린다. 로나는 몸을 일으켜 세운다.
로나 들리니?
침묵. 새 우는 소리가 다시 들리는데 가까이 있는 것 같다. 로나는 다시 나무를 줍고, 한 번 더 새 우는 소리가 멀리서 들린다. 로나는 계속 나무를 줍는다. 머리는 바닥을 향한다. 로나가 운다. 눈물을 흘리며 중얼거린다.
로나 넌 살 거야. 널 죽게 놔두지 않아. 절대로. 내가 네 아빠의 죽음을 막지는 못했지만 너는 살아야 해.
로나는 잔가지 몇 개를 계속 줍다가 울음을 터뜨리며 무너진다. 시간이 지나고 그녀 혼자 일어난다. 놀란 듯하다. 로나는 그녀가 주저앉았을 때 손에서 놓쳤던 나뭇가지를 다시 줍기 위해 몸을 숙인다.
로나 넌 행복할 거야. 내가 널 위해 뭐든 다 할 거야.
그녀는 계속 나뭇가지를 줍는다.
#39. 실외-길, 식당 입구(낮)
(중략)
기 잠깐 이야기 좀 할 수 있을까요?
(시릴에게) 여기서 기다려. 금방이면 되니까.
기는 사만다를 들어오게 하고 문을 잠근다. 시릴은 밖에 있다.
기 약속 장소에 못 나간 건…… 너무 부담이 됐어요. 쟤를 돌볼 처지가 아니라서……. 말씀드렸듯이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저랑 쟤만 남았는데…… 저는 못 키워요. 이해하시나요, 저는 키울 수 없어요.
사만다 주말에 한 시간만이라도 보실 수 있지 않을까요. 제가 데려올게요.
기 아니요……. 아이를 본다는 생각만으로도 스트레스예요. 아이가 당신을 좋아해요. 잘 돌봐주세요. 그게 유일한 방법이에요.
사만다 당신을 보고 싶어 하는 거예요. 내가 아니라.
기 잊을 거예요……. 저는…… 새로운 삶을 살고 있어요. 다시 일자리도 얻고, 그런데 시릴이 있으면 그렇게 할 수가 없어요. 이해하시나요?
사만다 한 달에 한 번은 볼 수 있잖아요. 그것만으로도 애한테는 이미…….
기 아니요. 부탁드려요. 아이를 돌봐주세요. 아이를 다시 보고 싶지 않아요. 제가 볼 수 없다고 한다고 아이에게 말해주세요…….
사만다 직접 말씀하셔야죠.
기 하려고 했는데…… 못하겠어요…….
“배우들은 장소를 익히고, 촬영감독은 배우들의 동선을 따라가면서 배우마다 다른 타이밍의 성격을 익히는 시간이에요. 그렇게 촬영한 녹화본을 1차로 편집하고 나면, 이제부터 만들 영화의 리듬을 우리가 아는 시간이죠. 그러고 나면 이제 그 시간을 하나의 앙상블로 만드는 시간이 우리를 기다립니다.”
다르덴 형제에게 현장은 앙상블을 찾는 장소다. 다르덴 형제에게 시나리오는 악보이고, 현장에서 연주를 시작한다. 우리는 앙상블의 화음을 찾아야 한다.
_해설
작가 소개
지은이 : 장 피에르 다르덴
1951년에 출생한 장 피에르 다르덴 감독과 1954년 출생인 뤽 다르덴 감독은 1970년대 초 아르망 가티의 문하에서 연극과 연기를 배우고, 비디오 매체의 유용성을 배웠다. 고향으로 돌아온 다르덴 형제는 파업현장과 주택단지 등을 돌며 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1975년 제작사 ‘DERIVES’를 설립하여 60여 개의 다큐멘터리 작품을 발표했으며 1994년에는‘les Films Du Fleuve’를 설립해 다큐멘터리와 극영화의 제작자, 감독자로서 활동해왔다.1987년 첫번째 극영화 <거짓> 이후, 1996년 <약속>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더 차일드>의 제레미 레니에가 아역으로 주연을 맡았던 <약속>은 현재 그들의 제작방식, 즉 불필요한 요소를 모두 제거한 개성적인 영화작법으로 평론가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불법 이민자들을 착취하는 아버지와 이민 가정과의 우정 사이에 선택의 기로에 놓인 소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첫번째 황금종려상을 안겨 준 <로제타>(1999)는 절망적으로 일자리를 찾아 헤매는 한 소녀의 목숨을 건 고군분투를, <아들>(2002)은 자신의 아들을 살해한 소년이 본인의 학생으로 들어옴에 따라 복수와 용서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다루었다. 6번째 극영화인 <더 차일드>로 다르덴 형제는 현재 빌리 오거스트,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에밀 쿠스트리차와 함께, 칸 황금종려상을 2회 수상한 감독들 중 하나가 되었다.
지은이 : 뤽 다르덴
장 피에르 다르덴(Jean-Pierre Dardenne, 1951- )과 함께 만든 작품으로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두 번이나 수상한 영화감독이다. 뤽은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형 장 피에르는 리에주 예술학교에서 조연출, 실험 연출 등을 전공했다. 다르덴 형제는 1970년대부터 그들이 나고 자란 벨기에의 작은 산업도시 세랭(Seraing)을 배경으로 노동자, 이민자, 빈민들의 삶과 투쟁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만들었다. 1987년 〈잘못된(Falsch)〉으로 극영화에 데뷔한 이후 〈로제타(Rosetta)〉(1999), 〈더 차일드(L’Enfant)〉(2005), 〈로나의 침묵(Le Silence de Lorna)〉(2008), 〈자전거 탄 소년(Le Gamin au velo)〉(2011), 〈소년 아메드(Le Jeune Ahmed)〉(2019), 〈토리와 로키타(Tori et Lokita)〉(2022) 등으로 칸영화제에서 여러 번 수상했다. 다르덴 형제는 현재 유럽의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대표적 영화감독으로 알려져 있다.사진 크래딧: ⓒ Luc Dardenne / Seuil ≪ La Librairie du XXIe siècle ≫
목차
로나의 침묵 .. 7
자전거 탄 소년 .. 125
해설..정성일 / 영화평론가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