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박해천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연구자로서 『인터페이스 연대기』 (2009), 『콘크리트 유토피아』(2011), 『아파트 게임』(2013),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를 저술했고, 『확장도시 인천』(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1 :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2: 세기의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98~2007』(2020) 등을 기획했다. 2014년에는 공동기획자로 일민미술관의 인문학박물관 아카이브 전시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에 참 여했다.
지은이 : 임태병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몇 곳의 설계 사무소와 SAAI건축의 공동 대표를 거쳐 2016년 독립했다. 현재 문도호제(文圖戶製, mundoe-hoje) 대표로 건축가이자 기획자이며 운영자다. 문도호제는 짓기와 만들기를 넘어 조율하 기(기획, 운영, 관리)까지를 건축가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싶어 하는 사무소로 이를 위해 일반적인 건축설계사무소의 시스템이 아닌 인테리어, 시공, 그래픽, F&B, 부동산 운영 등을 담당하는 각각의 팀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B-hind나 D'avant을 비롯한 홍대 지역의 몇몇 카페를 직접 디자인, 운영했고, 이천 SKMS 연구소, 메종 키티버니포니(maison kittybunnypony), A.P.C. 홍대, KWANI 플래그십 스토어, 라이브러리 티티섬, 리브랩 등의 건축 작업이 있다.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지금은 PaTI (파주타이포그 라피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 Korea House Vision의 기획위원이기도 했다. 해방촌 해방구, 풍년빌라, 여인숙, 신촌 문화관, 현관을 확장하는 집, 이미집 등 몇 개의 작업을 통해 '중간주거'라는 가볍고 유연한 새로운 주거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은이 : 조현정
카이스트 디지털 인문사회과학부에서 건축사와 미술사를 가르치고 있다.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USC)에서 일본 현대건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세기 일본과 한국 건축, 건축과 미술의 협업, 디지털 시대의 건축 등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전후일본건축』이 있고, 공저로 『김중업 다이얼로그』,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TheUrbanism of Metabolism: Visions, Scenarios and Models for the Mutant City of Tomorrow』,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 Fluidity and Fragmentation』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현섭
영국 셰필드대학교에서 박사 및 박사후과정으로 유럽 근대건축을 연구했고, 2008년부터 고 려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다. 건축역사가이자 비평가로서 한국 현대건축에 관한 비판적 역사 서술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고려대학교의 건축』, 『건축수업: 서양 근대건축사』, 『건축을 사유하다: 건축이론 입문』(역서),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편저) 등 다수의 단행본과 논문을 국내외에 출판했다. 그간 일본 건설성 건축연구소와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및 알바 알토 아카데미에서 연구했고, 하버드-옌칭연구소 방문학자를 두 차례 역임했으며, 대한건축학회 및 한국건축역사학회 이사, 「Space Academia」 및 『건축평단』 편집위원, 『와이드 AR』 비평위원, 심원건축 학술상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해왔다.
지은이 : 이연경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다. 19세기 말 이후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동아시아 도시와 건축의 근대화 및 식민화 과정에 관심이 있다. 도시민의 일상생활과 도시환경 그리고 산업도시 유산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本町』, 『인천, 100년의 시간을 걷다』(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민성휘
홍익대학교 건축학부를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왔다. 이후 실무에 필요한 언어를 습득하고 자 시작한 번역 활동을 계기로 출판에 흥미를 가졌다. 『건축하지 않는 건축가』를 기획 및 번역했다. 리노베이션 및 지역재생을 중심으로 건축 실무를 하며 그 외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건축계의 중간층을 두텁게 만드는 일에 관심이 있다.
지은이 : 고재협
연세대학교를 건축학전공으로 졸업하고 영국 왕립예술학교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건축학 석 사학위를 받았다. 도쿄와 런던, 서울에서 실무를 하였으며, 현재 건축과 도시에 관한 다양한 연구 및 전시, 출판을 이어나가고 있다. 대한민국 건축사이자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다.
지은이 : 김기원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받았 다. 미국 리어스 와인저펠 어소시에이츠를 거쳐 일본의 후미히코 마키 사무실에서 일했다. 2016년 독립해 KKKL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했다. 하대원행복주택, 반곡주택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이 : 박창현
공동주택에서의 공용공간의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하며 이웃에 대한 고민과 건축에서 의 사회적 역할을 이야기하고 있다. 경기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17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국내외 건축가 70여 명의 인터뷰를 진행하며 다양한 작업을 펼쳐 나가고 있다.
지은이 : 이강민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건축과 학과장으로 재직하며, 부설 한국예술연구소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2009년 서울대학교에서 동아시아 고대 목구조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건축공간연구원 국가한옥센터 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아시아 건축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 건축의 위상을 정립하는 건축사 연구이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 건축과 아시아 건축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청과 서울시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정책 자문을 맡고 있다.
지은이 : 이양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과 세계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녔다. 엘리펀츠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한 후, 시공과 설계의 경험을 살려, 단독 주택 저변 확대 및 건축 산업의 선진화를 추구 중이다. 상품으로는 분강리 주택, 연희동 주택, 반곡동 주택, 완도 주택, 운서동 주택, 광덕리 주택, 예양리 근생, 갈담리 사옥 등이 있다.
지은이 : 이해든
단국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사무소효자동에서 실무를 익힌 후 도쿄예술대학 미술연구과 건축전공 연구생 과정 수료 및 석사과정을 마쳤다. 2016년 도쿄 예술대학 재학 중 오헤제 건축을 설립해 2017년부터 서울에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은이 : 최재필
단국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사무소효자동에서 실무를 익힌 후 도쿄예술대학 미술연구과 건축전공 연구생 과정 수료 및 석사과정을 마쳤다. 2016년 도쿄 예술대학 재학 중 오헤제 건축을 설립해 2017년부터 서울에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은이 : 임태희
교토대학교에서 건축학 연구생 과정을 거치고 귀국해 6년간 실무 경험을 쌓았다. 그 뒤 교토 공예섬유대학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임태희디자인스튜디오를 운영하며 건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이 : 전태규
한양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뉴브루탈리즘과 이미지 전시, 「삶과 예술 의 평행」(Parallel of Life and Art)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건축에서 실무를 경험한 후 모교로 돌아와 석사 후 참여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건축 역사와 이론을 아우르는 『아키라우터』(archirouter) 4권을 기획하고 있다.
지은이 : 브루노 타우트
1880년 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베를린 제국공과대학(현 베를린공대) 에서 공부했다. 독일공작연맹의 무테지우스의 제안으로 영국에서 “정원도시 운동”을 조사했다. 1914년 독일공작연맹 전시에서 유리 파빌리온을 제안하는 등 유토피아적 비전과 표현주의적 작업을 선보였다. 1919년 결성 된 예술노동자평의회의 주요 인물이었고, “유리 사슬”(Die Glserne Kette) 모임을 주도했으며, 잡지 『여명』(Frhlicht)을 펴내는 등 1920년대 독일 건축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히틀러의 집권으로 1933년 스위스, 터키를 거쳐 일본에서 자리를 잡는다. 1936년 터키의 국립예술학교 교수로 초빙되었다. 1938년 터키 이스탄불에서 사망했다.
『미로 2: 일본』을 엮으며
조현정 · 도쿄대 출신의 두 건축가, 김수근 vs 박춘명
이연경 · 울산 도시계획과 마쓰이 다쓰오
박해천 · 한국 산업디자인, 일본을 경유해 동시대와 조우하다: 1980년대 중후반 두 개의 장면
브루노 타우트/ 박정현(번역) · 일본 건축의 근본들
전태규 · 뉴 브루탈리즘과 일본 건축의 이미지
김기원 · 발견된 전통
이강민 · 건축과 일본이라는 번역자
김현섭 · 고유섭, 박동진, 홍윤식, 그리고 박길룡: 일제강점기 서양 근대 건축의 번역과 수용
고재협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박창현 · 매우 개인적인 업역의 변화: 일본이라는 거울
이해든, 최재필 · 두 개의 세계를 겹쳐놓고 보면
임태병 · 현재 일본 건축의 흐름
이양재 · 산업으로서의 일본 건축
민성휘 · 불확실한 시대에서 건축을 묻다: 마츠무라 준의 『건축하지 않는 건축가』 서평
임태희 · 일본 건축가들의 글쓰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