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이선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에서 한국화엄을 전공하고 박사학위 취득, 미술학과에서 불교미술을 전공으로 박사과정 수료. 월정사성보박물관 학예실장, 조계종 포교의례실무위원 등을 역임하였 으며, 세종시무형문화재위원,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 등을 역임. 현재 조계종 의제실무위원, 교육원 교육아사리 등을 역임하고 있음.저술로는 『초기화엄사상사』(불교시대사, 2006), 『조상경-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운주사, 2007), 『불복장(佛腹藏)에 새겨진 의미』(양사재, 2008), 『알기쉬운 불교용어산책』(양사재, 2011),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양사재, 2020, 2020년도 세종학술 우수도서 선정),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공저, 경인문화사, 2021) 등이 있다.주요 논문으로는 「석문가례초 다비작법절차에 나타난 무상계에 대한 소고」(한국선학회, 선학 Vol.30, 2011), 「한국 전통색의 범위와 정간색 구조에 관한 연구」(한국색채학회, 한국색채학회지 Vol.25, 2012), 「『오삼란야신학비용』이 다비법 『석문가례초』성립에 미친 영향」(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Vol.59, 2015), 「‘사위성 신변’과 대승불교미술의 기원」(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뷰 Vol.20, 2016), 「한국 불교전통색의 시원 연구」(연세대학교, 동방학지 Vol.181, 2017), 「『석문의범』간행의 의의와 한계」(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Vol.72, 2018),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영색 시(詠色詩)에 나타난 색채관과 특징」(온지논총 Vol.61, 2019), 「조선 후기 수륙재문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2021), 「조선 명종(明宗, 재위 1545~1567)대 왕실 비구니승가의 불교수행관 연구」(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Vol.94, 2022), 「한국 불교문헌에 보이는 만두(饅頭)와 국수(洗麵)에 대한 의식변화 연구」(불교문예연구 Vol.20, 2022) 등이 있음.
지은이 : 강향숙
인도철학 중·후기밀교전공자이며, 「「헤와즈라 딴뜨라」만다라의 관상(觀想)수행 연구-「금강정경」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동국대 인도철학과, 2011)로 박사학위 취득. 공저로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경인문화사, 2021) 등이 있음. 주요 논문은 「『염불작법』의 의식구성과 염불수행 연구-용천사본을 중심으로」(정토학연구 36, 2021) 등이 있음.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인도의 밀교의례와 한국의 불교의례 사이에 보이는 상관 관계를 연구하고 있음.
지은이 : 정왕근
서지학 전공자이며, 「조선시대 묘법연화경의 판본 연구」(중앙대 문헌정보학과, 2013)로 박사학위를 취득. 논문은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 2015) 등이 있음. 현재 동국대학교에서 재직 중. 불교 경전의 판본 연구에 많은 관심이 있음.
지은이 : 이준환
국어학 전공자이며, 「근대국어 한자음의 체계와 변화-성모의 대응양상을 중심으로」(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2008)으로 박사학위 취득. 東京大學 외국인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 등 강사 및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를 역임. 논문은 「아학편(兒學編)(1908)의 성모(聲母) 표기와 화음(華音)에 대하여」(언어와 정보사회 37, 2019) 등이 있음.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국어 음운사를 중심으로 국어사 연구를 주로 하고 있음.
지은이 : 오대혁
국문학 전공이며, 「『金鰲新話』의 연구-禪思想的 사유체계를 중심으로」(동국대 국어국문학과, 2006)로 박사학위 취득. 저술은 『연등 문화의 역사』(담앤북스, 2024) 등이 있음. 논문은 「王郞返魂傳의 傳承 硏究」(불교어문논집 7, 2002), 「안락국태자경과 이공본풀이의 전승 관계」(불교어문논집 6, 2001) 등이 있음. 현재 『문학리더스』(2024년 창간) 주간. 불교 설화를 발굴하고 재구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