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행복한 노년을 영위하려면 보통 건강, 경제력, 일, 인간관계가 필요하다고 한다. 인문학 전공자인 저자가 이 책에서 다룰 것은 노년기의 일과 인간관계이다. 노년기의 일이 왜 중요하고, 정년 퇴직제도가 왜 문제인지 말할 것이다. 인간관계도 중요하다. 특히 노년기의 이성과의 사랑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가족과 친구의 중요성은 다들 인정하지만, 노인의 사랑에 대해서는 생각을 달리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노인의 사랑과 성에 대해 너무 보수적이고 억압적이지 않은지 생각해 보자.
출판사 리뷰
“인종차별주의가 19세기 이슈이고 성차별주의가 20세기 이슈라면, 연령차별주의는 최근의 가장 뜨거운 이슈이다… 연령차별주의야말로 가장 궁극적이고 지속적인 차별이면서 가장 잔혹한 거부이다.” -에드먼 팔모어
인문학자의 시각으로 본 노년의 일과 사랑 그리고 죽음
행복한 노년을 영위하려면 보통 건강, 경제력, 일, 인간관계가 필요하다고 한다. 인문학 전공자인 저자가 이 책에서 다룰 것은 노년기의 일과 인간관계이다. 노년기의 일이 왜 중요하고, 정년 퇴직제도가 왜 문제인지 말할 것이다. 인간관계도 중요하다. 특히 노년기의 이성과의 사랑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가족과 친구의 중요성은 다들 인정하지만, 노인의 사랑에 대해서는 생각을 달리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노인의 사랑과 성에 대해 너무 보수적이고 억압적이지 않은지 생각해 본다.
웰 에이징의 가장 큰 장벽은 연령차별주의(ageism)다. 노인들은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일자리에서 배제된다. 일자리에서 배제된 사람들은 빈곤에 허덕이고, 저축과 연금이 탄탄한 사람은 먹고는 살지만, 의미 있는 일을 하지 못해 자존감을 상실한다. 나이 많은 사람은 이성과의 사랑에서도 주변의 곱지 못한 시선에 마주친다. “노인네가 주책”이라고 수군거리는 것이다. 성과 사랑이 아름다운 것이라면 그것은 노인에게도 마찬가지다. 과거에는 인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가 문제였지만, 이제는 연령차별주의가 문제다. 동물의 고통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는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이 주목받는 세상에서 우리는 노인의 인권을 무시하고 있는 셈이다.
고령화에 대한 논의는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해 보인다. 여기에서 중요한 담론이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이다. 액티브 에이징은 말 그대로 노인이 활기 있고 적극적인 노년을 보내는 것이다. 액티브 에이징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노인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노인 친화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이상 노인이 골방에 머무르거나 손자 손녀나 돌보는 보조적인 삶을 살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노인을 더 이상 사회가 보호해야 할 사회적 부담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활용해야 할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보고, 이들이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관심을 둔다.
이른바 제3 연령기(the third age), 즉 인생 3기는 사회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50대 중후반에서 80세에 이르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평균 수명이 짧은 사회에서는 50대 초반에 시작될 수도 있겠고, 반면 평균 수명이 긴 사회에서는 60대에 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요즘 이 시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었던 노인들과는 다르다. 그 전 노인들은 골방에 머무르거나, 기껏해야 아이나 돌보는 보조적인 일을 수행했다. 경제력도 없어 빈곤과 노쇠에 시달렸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영양상태의 개선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수명도 늘어났지만, 노인들의 신체 활력 또한 젊은 사람 못지않게 되었다. 또한 연금제도의 발달로 이들의 경제 능력도 많이 달라졌다. 그들은 더 이상 과거의 노쇠하고 가난한 노인이 아니다. 이들은 적극적으로 여가생활을 즐기고, 사회봉사 활동이나 개인적인 클럽활동도 하는 건강한 노인인 것이다.
웰 에이징, 즉 행복한 노년이란 무엇인가? 이를 쉽게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전문가 대부분은 행복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1) 건강 2) 경제력 3) 일 4) 인간관계를 핵심 요건으로 지적한다. 노년을 행복하게 보내려면 건강해야 하고, 경제력도 있어야 한다. 몸이 아프고 최소한의 생계비도 확보하지 않은 사람을 행복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도 할 수 있고, 원하는 직장에서 일자리를 갖고 있으면 좋을 것이다. 주위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도 유지해야 행복할 것이다. 웰 에이징을 가로막는 장벽이 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연령차별주의이다. 연령차별주의(ageism)라는 개념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 초대 소장이었던 버틀러(Robert Butler)가 1969년에 처음 도입했다. 그는 사람들을 “단지 늙었다는 이유”만으로 차별하는 것을 연령차별주의라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연령차별주의는 성차별주의(sexism)나 인종차별주의(racism)와 마찬가지로 정당화될 수 없다. 생물학적 성을 근거로, 가령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또 피부 색깔을 근거로, 가령 흑인이라는 이유로 사람들을 차별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생물학적 나이, 즉 연령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정당화될 수 없다. 단지 여성이거나 흑인이라는 이유에서 직장에서 배제하는 것이 잘못된 것처럼,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직장에서 배제하는 것은 잘못되었다. 버틀러가 보기에는 연령차별주의는 “단지 몇 년 더 살았다는 이유로 노인을 열등하고 별난 사람으로 보는 신념”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명식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저널 Environmental Ethics 편집위원, 계간 『과학사상』 편집주간, 한국환경철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는 진주교대 도덕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환경, 생명, 심의민주주의』, 『숙의민주주의와 환경』, 『연구윤리와 학습윤리』(편저), 『처음 읽는 윤리학』(공저), 『생태문화와 철학』(공저), 『음식윤리』(공저), 『기후변화 시대의 시민교육』(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환경윤리』(공역)가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웰 에이징과 인생 3기
1. 고령화사회와 웰 에이징
2. 늙음은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
3. 인생 3기와 액티브 에이징
4. 맺는말: 앞으로의 논의
2장 연령차별주의와 장유유서 전통
1. 연령차별주의
2. 연령차별주의의 발생 원인
3. 한국 사회와 연령차별주의
4. 한국 사회와 노인 일자리
5. 장유유서-나이에 의한 위계
6. 맺는말
3장 노인운전과 연령차별주의
1. 배경 및 쟁점
2. 운전 제한은 평등권 침해인가?
3. 노인운전과 집합적 성취
4.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체계
5. 맺는말
4장 노년의 일: 정년제 논쟁
1. 들어가는 말
2. 정년제 현황
3. 정년제 찬반 논거
4. 인구구조의 변화와 웰 에이징
5. 정년연장의 선행조건과 고려 사항들
6. 맺는말
5장 연금과 세대 간 윤리
1. 배경
2. 연금과 일자리
3. 제도적·법적 접근
4. 규범적 접근
5. 맺는말
6장 관계재와 행복
1. 이스털린의 역설
2. 이스털린의 역설에 대한 세 가지 설명
3. 관계재의 정책적 함의
4. 관계재에 대한 경제학적 논의
5. 관계재에 대한 철학적 논의
6. 맺는말: 노년의 삶과 인간관계
7장 노년의 성과 사랑
1. 들어가는 말
2. 성과 사랑: 섹슈얼리티
3. 노년의 성과 사랑
4. 연령차별과 성차별을 넘어서
5. 맺는말
8장 황혼 이혼과 졸혼
1. 황혼 이혼
2. 졸혼
3. 낭만적 사랑과 근대적 가족
4. 낭만적 사랑을 넘어서
5. 한국인의 우애적 사랑
6. 맺는말
9장 웰 다잉
1. 죽음관의 변화
2. 현대인의 죽음
3. 죽음의 철학
4. 바람직한 죽음
수록된 글의 출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