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세상은 온통 시의 소재와 제재이지만 그것이 그냥 시가 될 수는 없다. 작가가 그들에게 생명을 불어넣어야 비로소 시가 된다. 시가 생명을 얻기 위해서는 소재와 제재가 요구하는 말을 사려 깊게 건네야 한다. 하고 싶은 말만 풀어 놓아서는 시가 될 수 없다. 꼭 해야 할 말만 질서정연하게 배치해야 한다. 그래서 시를 짓는 것이 힘들다. 그래도 고통을 참고 견디는 것은 새로운 시가 세상에 나왔을 때의 희열 때문이다. 그것은 엄청난 성취감일 수도 있다. 시를 짓는 것이 어느 모로 보나 열예인 이유이다. 그러한 고통과 기쁨의 산물이 바로 <그래도, 꽃>에 담겼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근석
2020년 계간 『문예창작』에서 시로 등단했다. 문정문학회, 옥천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