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염불원통장 보왕삼매참  이미지

염불원통장 보왕삼매참
쉽고 빨리 윤회를 벗어나 성불하는 묘법
비움과소통 | 부모님 | 2025.05.09
  • 정가
  • 12,800원
  • 판매가
  • 11,520원 (10% 할인)
  • S포인트
  • 640P (5% 적립)
  • 상세정보
  • 14.8x21 | 0.291Kg | 224p
  • ISBN
  • 979116016172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정토법문은 일승의 요의이고, 세 가지 근기를 두루 가피하며, 가로로 삼계를 초월하고, 사토(범성동거토, 방편유여토, 실보장엄토, 상적광토)에 직접 오르게 하며, 극히 원만하고 극히 단번에 이루는 불가사의 법문으로, 인광대사께서는 「구경에 부처님께서 본래 회포를 털어 놓으신 법으로, 일체 선·교·율을 훨씬 초월하고, 일체 선·교·율을 모두 거둔다」라고 이르셨다.그래서 정토법문은 ‘나무아미타불 염불수행으로 당생에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성불하는’ 여래의 특별법문이고 제일법문이라고 설해진다. 행하기는 쉬우나 믿기는 어렵기 때문에, 불설아미타경에서는 ‘일체세간이 믿기 어려운 법이다’라고 하셨다. 또 관무량수경에서는 ‘염불 일성이 80억겁의 생사중죄를 소멸시킨다’라고 하였다.이러한 정토법문을 믿고 발원하여 수행하는 정업행자들이 경전을 근거로 실제 염불수행으로 이끄는 지침서가 바로 이 책 『염불원통장 보왐삼매참』이다.

  출판사 리뷰

가장 쉽고 빠르게 육도윤회를 벗어나 극락에서 성불하는
정토수행의 핵심 법문을 경전에 입각해 안내한 책


정토법문은 일승의 요의(一乘了義)이고, 세 가지 근기를 두루 가피하며, 가로로 삼계를 초월하고, 사토(범성동거토, 방편유여토, 실보장엄토, 상적광토)에 직접 오르게 하며, 극히 원만하고 극히 단번에 이루는 불가사의 법문으로, 인광대사께서는 「구경(究竟)에 부처님께서 본래 회포를 털어 놓으신 법으로, 일체 선·교·율을 훨씬 초월하고, 일체 선·교·율을 모두 거둔다」라고 이르셨다.
그래서 정토법문은 ‘나무아미타불 염불수행으로 당생에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성불하는’ 여래의 특별법문이고 제일법문이라고 설해진다. 행하기는 쉬우나 믿기는 어렵기(易行難信) 때문에, 불설아미타경에서는 ‘일체세간이 믿기 어려운 법(一切世間 難信之法)이다’라고 하셨다. 또 관무량수경에서는 ‘염불 일성이 80억겁의 생사중죄를 소멸시킨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정토법문을 믿고 발원하여 수행하는 정업행자들이 경전을 근거로 실제 염불수행으로 이끄는 지침서가 바로 이 책 『염불원통장 보왐삼매참』이다.
능엄경 대세지보살 염불원통장念佛圓通章은 매우 짧아서 244자에 불과하지만, 의리는 무궁무진하여 능엄경의 정화이고, 실제로 정토심경淨土心經이라 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처님 일대장교의 심경이라 말할 수 있다. 인광대사님은 이 염불원통장을 ‘정토종 최상의 가르침이고, 가장 미묘한 염불법문이다.’라고 하셨다.
보왕삼매참寶王三昧懺은 보현보살의 화신으로 일컬어지는 하련거 거사님이 정토행자를 위해 지은 예참문禮懺文이다. 예참은 예배禮拜와 참회懺悔의 줄임말로서, 예를 갖추어 참회하는 것이다. 즉 여러 불佛·보살에게 예배하거나 경전을 독송하거나 게송 또는 다라니를 외는 등의 의식을 갖추어, 지금까지 지은 모든 악업을 참회하는 것을 말한다.
옮긴이 박영범 거사는 이미 수년 전에 이 귀중한 법문을 발견하고 우리말로 옮기기 시작하였는데, 금일에 이르러 자항(慈航) 김성우 법사와 비움과소통 출판사의 도움을 받아 이를 세상에 소개하게 되었다. 이 문답이 우리나라 정업행자들의 염불수행에 보배가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독자들은 이 책의 높고 깊고 넓은 가르침을 접하고 아미타부처님과 극락성불학교에 대한 믿음과 간절한 왕생극락 발원, 쉼없는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통해 기필로 이생에 윤회계를 벗어나 극락세계에서 보살수행을 완성한 후 성불하시기를 간절히 발원한다.

능엄경 염불원통장에는 25분의 성자가 각자 원통을 이룬 방법을 설명하는데, 그 중 24번째가 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장이다. 인광대사님께서 중화민국 초기에 능엄경 대세지보살 염불원통장을 발췌하여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 화엄경 보현행원품의 4종에 함께 수록하여 정토오경을 만들었다. 이 장은 매우 짧아서 244자에 불과하지만, 의리는 무궁무진하여 능엄경의 정화이고, 실제로 정토심경(淨土心經)이라 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처님 일대장교의 심경이라 말할 수 있다. 인광대사님은 이 염불원통장을 ‘정토종 최상의 가르침이고, 가장 미묘한 염불법문이다.’라고 하셨다.

아미타부처님께서 제18원(十念必生願)에서 이르길 : 시방중생이 나의 명호를 듣고, 곧 십념(十念)에 이르렀는데, 만약 왕생하지 못한다면 정각(正覺)을 성취하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십념으로 오히려 왕생할 수 있는데, 하물며 일심으로 그리워하고 생각(一心憶念)한다면 어떻겠는가. 염불법문은 옛날에 지름길 중 지름길이라 칭하였다. 단지 깨끗한 염불이 계속 이어질 수 있다면(淨念相繼) 곧 왕생을 얻을 수 있는데, 천리마가 달리는 것이 비록 군마(群馬)를 뛰어넘을 수 있으나 용이 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 학이 솟구치는 것이 보통의 날짐승을 이미 넘지만, 어찌 붕(鵬)의 거동에 미치겠는가. 천리마가 달리고 학이 솟구치는 것은 나머지 염불을 비유하는 것이고, 여러 무리의 말과 보통의 날짐승은 기타 법문을 비유함이며, 용이 비상하고 붕이 거동하는 것은 지명염불을 비유한다. 오로지 이 지명염불법문은 단지 〔나무아미타불〕 여섯 자 만덕홍명을 지니는 것으로, 곧 정토왕생을 얻고 원만하게 삼불퇴를 증득한다. 그 공부(功)는 간단하나 그 효과는 빠르다.

하련거 거사님께서는 대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지시는 분으로, 무량수경의 여러 판본을 근거로 삼아 《불설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을 회집하시고, 다시 비심(悲心)이 깊어 말법시대의 정업(淨業)에 대해 배움이 얕은 중생을 가엾게 여기시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수첩요〉를 편찬하시었고, 정수첩요와 합간으로 예참문인 〈보왕삼매참〉을 펴내셨다.
번역에 사용한 원문은 불타교육기금회 인증본(佛陀敎育基金會 印贈本)이다. 보왕삼매참에 따라 정성과 공경을 다해 참회하여, 무량한 중죄를 소멸하고 무량한 복덕을 얻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하련거
정토종을 전수(專修)한 중국 근현대의 선지식이다. 매광희 거사와 함께 남매북하(南梅北夏)로 존칭된다. 정종학회를 설립하였다. 저서로는 『대승무량수장엄청정평등각경』(회집본), 『아미타경』(회집본), 『정수첩요』, 『보왕삼매참(寶王三昧懺)』, 『정어(淨語)』 등이 있다.

  목차

제1부 염불원통장 강의 6
옮기는 글 8
염불원통장 경문 11
염불원통장 강술 15

제2부 보왕삼매참 94
머리말 96
하련거 거사 찬 98
보왕삼매참 경문 103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