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학습참고서 > 고등참고서
2026 대학입시 핵심정보 & 합격등급 컷 이미지

2026 대학입시 핵심정보 & 합격등급 컷
리더스입시교육원 | 3-4학년 | 2025.05.20
  • 정가
  • 45,000원
  • 판매가
  • 40,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25.7 | 1.277Kg | 672p
  • ISBN
  • 979119799895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26학년도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정보는 무엇일까요? 큰 틀에서 보면 수시모집의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 그리고 정시모집의 수능전형에 대한 정보일 것입니다. 이 중 어느 전형에 지원해야 조금이라도 더 상위 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려주는 자료를 얻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입니다.
∙ 학생부종합전형은 대학별로 평가방법을 공개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깜깜이전형’이라고 불릴 정도로 평가의 실체가 베일에 싸여 있습니다. 그런 만큼 전문가의 도움 없이는 지원 자체가 불가능한 전형으로 이해되어 커다란 고민의 대상이 됩니다. 그러므로 각 대학의 실제 서류평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하는 건 인지상정일 것입니다. 『바로 그 정보를 상세히 분석한 자료가 유일하게 이 책에 담겨 있습니다.』
∙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는 대학별로 입시 결과가 발표되므로 어느 정도 합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지원전략을 세우기가 수월한 전형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대학에서 발표하는 자료가 대부분 평균등급 또는 70% 컷으로 다소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학생들에겐 100%까지는 아니더라도 90% 이상의 합격권 등급 컷 분석 자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 책에는 각 대학의 전형별/모집단위별 90% 교과등급 컷이 분석되어 실려 있습니다.』
∙ 정시모집의 수능전형은 자신의 각 영역별 수능 점수로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합격할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있는 정확하고 실질적인 합격권 성적 정보 자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 책에는 2026학년도 정시모집 배치표라고 할 수 있는 각 대학의 모집단위별 합격권 백분위를 빅데이터로 분석한 예측 점수가 자세하게 실려 있습니다.』
《2026 대학입시 핵심정보 & 합격등급 컷》 은 이러한 입시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엮은 자료집입니다. 대학입시 전문가로서 30여 년의 실전 경험과 전국 대학별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저자의 역작입니다. 이 책에 실린 정보들은 대학이 발표하지 않는 자료를 직접 대학을 방문하여 입수하거나 조사에 조사를 거듭하여 분석해낸 결과물입니다. 그야말로 수험생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정보를 가장 실질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수험생들에게 자신의 성적 대비 좀 더 상위 대학 진학을 가능하게 해주는 유일한 자료집이라 확신하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이 책을 활용하면 분명 자신의 꿈에 걸맞는 우수한 입시전략을 충분히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출판사 리뷰

2026학년도 대학입시를 앞둔 수험생과 학부모님이 수시 및 정시모집의 지원전략을 세우면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수험생의 학교생활기록부(교과/비교과)를 바탕으로 수시 종합전형 또는 교과전형의 대학별/모집단위별 합격권 수준을 파악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수능 모의고사를 보고 수험생의 각 영역별 수능 점수를 예측한 후, 정시에서 어느 대학, 어느 모집단위에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이에 더해 수시에는 그보다 상위 대학을 목표로 삼아 지원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만 수시에서든, 정시에서든 좀 더 상위 대학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수시모집에 합격하면 정시모집에 응시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정시모집 합격 가능 대학을 예측해본 후 수시모집에 지원해야 합니다. 수험생의 수능 성적으로 수시에 합격한 대학보다 정시에서 상위 대학 합격이 가능한데도 수시 합격에 발목 잡혀 정시에 아예 지원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다소 복잡하고 어렵더라도 정확하고 충분한 수시 및 정시 전략을 세워 지원을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책에 바로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게 해줄 모든 자료가 실려 있으므로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 맞춰 저자는 오래전부터 학부모가 사교육의 도움 없이 자녀의 대학 진학 입시컨설팅을 직접 할 수 있도록 수많은 입시정보자료집을 집필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번에 발간하는 《2026 대학입시 핵심정보 & 합격등급 컷》은 2026학년도 입시에 매우 심대한 영향을 미칠, 그간 변화해온 몇 년간의 전형방법을 분석하여 학부모가 직접 입시컨설팅을 해낼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집필했습니다.
2026학년도 대학입시도 결단코 작지 않은 변화를 보여주는 만큼, 적어도 최근 3, 4년 간의 대학별 입시 결과를 잘 분석해야 합니다. 특히 문·이과의 구분이 없어지고, 국어/수학에 ‘선택과목제’가 도입되는 등 입시 구조가 ‘공통 + 선택형’으로 변경된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수시모집의 변화를 꼽자면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줄어든 대신 학생부교과전형 선발 인원이 늘어났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상위권 대학들의 정시모집 선발 비율이 40% 이상으로 증가한 것도 변화된 최근 입시의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까지 고려하면 정시 선발 비율은 훨씬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시모집은 대부분의 대학이 수능 100%를 반영하는데, 문·이과 구분이 없는 수능시험체계로 개편되었다는 점을 특히 유의하여 입시를 준비해야 합니다. 2023학년도 이전에는 탐구영역에서만 과목 선택의 권리를 주었지만, 지금은 대학에 따라 국어/수학/탐구영역 등에서 선택과목을 다르게 지정하기도 합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수시와 정시 중 어느 쪽에 집중해야 할지 고민하는 수험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때 수시는 어떤 전형 위주로 준비할지, 그에 따라 정시는 어떻게 챙겨나가는 게 좋을지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야 할 것입니다.
수시 지원 시에는 자신의 강점 분석 및 철저한 동일 전형 대학 확인이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상위권 대학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순수 종합전형인지, 교과전형에 가까운 종합전형인지를 구분하여 준비할 필요도 있습니다. 명확한 구분이 어려울 수 있지만, 교과 영역을 정성적으로 반영하는지, 정량적으로 반영하는지, 대학별로 전형요소의 경중을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즉, 수시는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탐색해보고, 그것을 토대로 지원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한편, 정시는 영역별 취약점을 최대한 보완하면서, 지원하려는 대학의 모집군별 특성뿐만 아니라 경쟁 대학의 지원율이나 합격권 수능 점수 등도 함께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 저자는 전국 주요 대학들의 입학처장, 입학사정관 또는 평가에 참여하는 교수 등 입학 관계자를 직접 찾아가 인터뷰하거나, 대학이 공개하지 않은 자료들을 입수 조사하고 철저히 분석했습니다. 그런 후 각각의 대학 수시 및 정시의 모집단위별 합격권 점수(등급)가 2026학년도 입시의 근삿값에 이르도록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마치 입시 전문가와의 1:1 상담을 통해 맞춤형 입시전략을 짜듯, 이 책이 수험생 여러분의 대학 진학에 기본적이면서도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면, 이 책은 자기 값어치를 다한 것이 될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기영
대학입시 자료를 분석하고 전략을 세우는 입시전문가로 30여 년을 일해온 저자는 신문기자로 사회에 첫발을 내딛으며, 정경부를 거쳐 사회분야 교육전문 기자로 교육부를 출입하게 된다. 그때 대학입시와 관련한 많은 기사를 쓰면서 대학입시 전문인의 길을 가고자 결심한다. 그 후 대학입시 교육기관인 중앙교육진흥연구소로 자리를 옮겨 월간 《수험생활》의 대입정보 팀장으로 대학 취재 및 입시정보자료 분석 업무를 담당했다. 또한, KBS FM 교육방송 협력 프로듀서로 고교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입시교육 및 입시정보와 관련한 많은 일을 배우고 경험했다. 그러고 나서 연합교육문화원 및 (주)연합교육을 설립하여 월간 《대학 합격의길》, 월간 《대학편입》, 월간 《고교생학부모》지를 잇따라 창간했다. 월간지를 발행하는 동안 수많은 전국 주요 대학의 총장들과 자주 만남을 가지면서 각 대학의 특성을 알게 되었을뿐더러 30여 개 주요 대학의 입시정책 자문위원으로 활약했다. 지은이는 월간지 이외에도 《대학진학자료편람》, 《대학입시 합격전략》, 《대학입시 성공전략 시작에서 합격까지》, 《수시 필승 합격진단 합격예측》, 《이것이 대입 면접의 전부다》, 《대학 학과선택 백과》, 《대학편입자료편람》, 《대학원진학가이드》, 《대학입시 합격전략 & 합격점수 컷》, 《흙수저 부모의 감동 자녀교육》, 《SKY합격 한 가지 습관만 들이면 됩니다》 등 60여 종의 대입 관련 도서를 집필했다. 한편, 대학입시학원을 개원하여 경영하는 와중에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영역별 참고서와 문제집, 수능 모의고사, 수능을 대비한 연간 회원 학습지 《캠퍼스》 등 수많은 대학입시 학습분야의 교재를 발간했다. 최근에는 국내 유일의 대학입시 전문 뉴스채널 및 대입 전문 매거진 「대학 합격의길」의 주필 겸 명예회장(상임고문)을 역임하면서 대학입시와 관련한 강연, 저술, 칼럼 기고, 교육 평론, 후배 양성 등 입시교육 발전을 위해 열정을 쏟기도 했다. 한양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교육학을 공부했다. 대학 재학시절 지도교수였던 시인 박목월 선생님의 영향을 받아 시인과 수필가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 2026 대학입시 핵심정보 & 합격등급 컷
PART 1 – 2026학년도 대입전형 수시•정시 주요사항 총괄

1. 2026학년도 대학입시 주요사항 요약 …… 14
2. 수시모집 전형별 입시의 이해와 지원전략
(1) 학생부교과전형 …… 18
(2) 학생부종합전형 …… 25
(3) 논술위주전형 …… 31
3. 정시모집 수능전형의 이해와 지원전략 …… 38
4. 특별전형 및 기타 전형(수시⋅정시)
⋅사회통합(기회균형⋅고른기회) 특별전형 …… 45


PART 2 – 2026 수시•정시 핵심정보 및 합격권 성적 분석 리포트
[서울지역]
가톨릭대학교 …… 55
건국대학교 …… 62
경희대학교 …… 70
고려대학교 …… 79
광운대학교 …… 88
국민대학교 …… 95
덕성여자대학교 …… 103
동국대학교 …… 110
동덕여자대학교 …… 118
명지대학교 …… 125
삼육대학교 …… 133
상명대학교 …… 138
서강대학교 …… 144
서경대학교 …… 14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153
서울대학교 …… 160
서울시립대학교 …… 172
서울여자대학교 …… 179
성공회대학교 …… 185
성균관대학교 …… 189
성신여자대학교 …… 197
세종대학교 …… 205
숙명여자대학교 …… 212
숭실대학교 …… 219
연세대학교 …… 227
이화여자대학교 …… 235
중앙대학교 …… 244
한국외국어대학교 …… 253
한성대학교 …… 259
한양대학교 …… 264
홍익대학교 …… 273


[경기·인천지역]
가천대학교 …… 279
강남대학교 …… 286
경기대학교 …… 291
단국대학교(죽전) …… 299
대진대학교 …… 305
성결대학교 …… 309
수원대학교 …… 313
신한대학교 …… 318
아주대학교 …… 322
안양대학교 …… 328
용인대학교 …… 332
을지대학교 …… 335
인천대학교 …… 340
인하대학교 …… 347
차의과학대학교 …… 355
평택대학교 …… 358
한경대학교 …… 362
한국공학대학교 …… 367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 …… 371
한국항공대학교 …… 376
한신대학교 …… 381
한양대학교(에리카) …… 386
협성대학교 …… 391


[강원지역]
가톨릭관동대학교 …… 395
강릉원주대학교 …… 399
강원대학교 …… 404
연세대학교(미래) …… 412
한림대학교 …… 417

[대전·충청지역]
건국대학교(글로컬) …… 423
건양대학교 …… 428
고려대학교(세종) …… 433
공주대학교 …… 438
단국대학교(천안) …… 445
대전대학교 …… 451
백석대학교 …… 456
상명대학교(천안) …… 461
서원대학교 …… 465
순천향대학교 …… 470
청주대학교 …… 476
충남대학교 …… 481
충북대학교 …… 491
한국교통대학교 …… 499
한남대학교 …… 505
한밭대학교 …… 511
한서대학교 …… 515
호서대학교 …… 520
홍익대학교(세종) …… 524

[대구·경북지역]
경북대학교 …… 528
계명대학교 …… 537
국립경국대학교 …… 544
금오공과대학교 …… 547
대구한의대학교 …… 552
동국대학교(Wise) …… 556
영남대학교 …… 561
한동대학교 …… 568


[부산·울산·경남지역]
경상국립대학교 …… 572
경성대학교 …… 580
동아대학교 …… 586
부경대학교 …… 592
부산대학교 …… 599
울산대학교 …… 608
창원대학교 …… 613
한국해양대학교 …… 618

[광주·전라지역]
군산대학교 …… 622
목표대학교 …… 627
목표해양대학교 …… 631
순천대학교 …… 634
원광대학교 …… 639
전남대학교 …… 645
전북대학교 …… 656
조선대학교 …… 661

[제주지역]
제주대학교 …… 668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