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말 그대로 언어를 번역할 때는 문화적인 요소를 제대로 번역해야 한다는 생각을 담았다. 한국어를 다른 말로 번역하거나, 다른 말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문화를 알아야 한다. 언어를 안다는 것은 문화를 안다는 뜻이기도 하다. 문화번역에서 생기는 수많은 편견을 벗어나야 한다. 이 책의 문화번역은 두 언어문화 사이의 우월감과 열등감을 경계한다. 서로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 그리고 번역의 기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문화번역이 ‘학문’에서 시작하여,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행동’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말 그대로 언어를 번역할 때는 문화적인 요소를 제대로 번역해야 한다는 생각을 담았습니다. 한국어를 다른 말로 번역하거나, 다른 말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문화를 알아야 합니다. 언어를 안다는 것은 문화를 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문화번역에서 생기는 수많은 편견을 벗어나야 합니다. 이 책의 문화번역은 두 언어문화 사이의 우월감과 열등감을 경계합니다. 서로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 그리고 번역의 기쁨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문화번역이 ‘학문’에서 시작하여,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행동’으로 나아가기를 소망합니다. 제가 바라는 문화번역의 학문행의 모습입니다.
이 책은 언어, 문화, 번역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정말로 넓은 주제입니다. 당연히 모든 부분을 다 다루는 것은 아닙니다. 문화번역을 철학이나 사회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기도 합니다. 관련 도서와 논문을 읽으면서, 이 책에는 담기 어렵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문화번역과 제국주의, 신제국주의, 반제국주의, 탈식민주의 등의 논의는 깊게 다루지 못했습니다. 다만 상호문화주의에 깊게 공감하고 쓴 글이라는 말씀은 드리고 싶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조현용
우리말로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말 연구가입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로 있습니다. 한국어교육기관 대표자협의회 회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부회장,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장 등을 지냈어요. 전 세계를 누비며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우리말 속에 담긴 긍정과 위로, 행복을 알리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우리말에 관한 책도 많이 썼습니다. 보물 같은 우리말이 품고 있는 좋은 뜻을 알리는 《우리말 선물》 《우리말 지혜》 《우리말 교실》 《우리말 소망》을 썼어요. 한국인들과 외국인들이 우리말을 공부할 때 필요한 교재도 수십 권 썼지요.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좋은 생각이 담긴 우리말을 알려 주고 싶어서 《초등학생을 위한 우리말 생각 사전》을 펴냈습니다. 어린이 여러분이 ‘이 책을 만나서 참 다행이다!’라고 생각하게 된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목차
1장. 문화번역의 세계
1.1. 문화와 번역
1.2. 문화번역과 번안
1.3. 한강의 기적과 번역
1.4. 번역의 번역
1.5. 한류의 뿌리, 한국어
2장. 문화번역과 역사
2.1. 한국 문화와 북두칠성
2.2. 한국 문화와 나라 이름
2.3. 계림(鷄林) 이야기
2.4. 왕릉 이야기
2.5. 왕릉의 현재
3장. 전통문화와 번역
3.1. 사극 번역의 세계
3.2. 민요의 번역
3.3. 민요와 노동요
3.4. 아리랑의 이해
3.5. 타령 이야기
4장. K-콘텐츠의 번역
4.1. 케이팝과 문화번역
4.2. 케이 영화와 문화번역
4.3. 케이 드라마와 문화번역
4.4. 케이 예능과 문화번역
4.5. 케이 스포츠와 문화번역
5장. 한국어의 특징과 문화번역
5.1. 한국어의 주요 특징
5.2. 대명사와 문화번역
5.3. 어감 번역
5.4. 형용사와 변화
5.5. 사투리의 번역
6장. 한국어 어휘의 번역
6.1. 의태어
6.2. 비슷하다는 말
6.3. 다의어와 문화번역
6.4. 감정 어휘의 번역
6.5. 인사말의 번역
7장. 사람의 번역
7.1. 친족어휘
7.2. 아버지, 어머니
7.3. 아내
7.4. 남편
7.5. 아가씨와 아줌마
8장. 속담 번역
8.1. 속담의 어려움
8.2. 속담과 가족
8.3. 속담과 정치, 경제
8.4. 속담과 사회
8.5. 속담과 법
9장. 이름과 문화번역
9.1. 이름과 문화
9.2. 인명과 문화
9.3. 지명과 문화
9.4. 동네의 지명
9.5. 작가의 이름
10장. 신어, 유행어와 문화번역
10.1. 신어와 유행어
10.2. 예능과 유행어의 번역
10.3. 유행어 매체의 변화
10.4. 유행어의 변화
10.5. 문화번역과 한국어 어휘의 세계화
참고한 책 또는 권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