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초등 고학년 어린이를 위한 헌법 입문서다. 정치와 법이 우리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어린이의 언어로 풀어내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헌법 제1조를 비교해 소개한다. “국가의 주인은 누구일까?”, “왜 헌법이 필요할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한국의 헌법 1조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한다.
출판사 리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만나는, 우리가 함께 지켜야 할 나라의 첫 문장, 헌법 1조
『헌법 1조, 나라의 첫 문장』은 초등 고학년 어린이를 위한 헌법 입문서입니다.
정치와 법이 우리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어린이의 언어로 풀어내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헌법 제1조를 비교해 소개합니다.
“국가의 주인은 누구일까?”, “왜 헌법이 필요할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한국의 헌법 1조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합니다.
책 속에는 투표, 평등, 자유, 연대 같은 핵심 민주주의 개념이 등장하며, 각 나라의 역사적 맥락과 가치관을 배경으로 정치 체제의 차이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주인은 바로 우리예요. 우리가 함께 약속하고 함께 지키는 게 헌법이에요.”
이 책은 어린이가 민주주의의 정신을 익히고, 주권 의식을 키워 나갈 수 있게 돕는 뜻깊은 교육 도서입니다.
“나라는 누구의 것인가요?”
― 어린이의 질문에서 시작된 헌법 이야기
“나라는 누구의 것인가요?”
이 책은 어린이의 순수한 질문을 씨앗으로 삼았습니다. ‘왕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바뀌어 온 역사 속에서 헌법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를 어린이의 눈높이로 설명해 줍니다.
헌법 제1조는 단 한 문장이지만, 그 안에는 우리가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지, 누구를 위한 나라인지를 밝히는 가장 중요한 원칙이 담겨 있습니다. 『헌법 1조, 나라의 첫 문장』은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헌법 제1조를 통해 어린이가 민주주의와 주권의 뜻을 자연스럽게 깨치도록 돕습니다.
정치란 무엇이고, 민주주의란 어떤 가치인지부터 시작해, 미국·독일·일본·중국·대한민국의 헌법 제1조를 비교하며 각 나라의 역사와 정치 체제를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어린이는 “정치란 어른들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을 위한 약속”이라는 점을 배우게 됩니다.
헌법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면 민주주의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사실, 그리고 국가와 기관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정치와 헌법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함을 이 책은 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복잡한 개념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내면서, 헌법이 멀고 딱딱한 법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본 정신임을 강조합니다.
어린이에게 주권자 교육을 위한 꼭 한 권의 헌법책을 선물하고 싶다면, 『헌법 1조, 나라의 첫 문장』이 가장 좋은 시작이 될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서해경
초등 교양 부문 스테디셀러 작가. “나와 너, 우리에 관해 관심과 애정이 생길수록 좋은 이야기를 어린이와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이 커집니다. 「에듀텔링」 시리즈의 주인공 수염왕은 고집불통 심술쟁이지만, 그래서 더욱 예뻐해 주려 합니다.불어불문학을 전공하였고, 편집자로 일하다 지금은 어린이 책을 만들고 있습니다.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빼앗긴 문화재에도 봄은 오는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도서 『꼬불꼬불나라의 지리이야기』, 행복한아침독서 추천도서 『꼬불꼬불나라의 경제이야기』 등 다수의 책을 집필하였고, 서울시교육청 추천도서로 선정된 『꼬불꼬불나라의 정치이야기』를 이소영 선생님과 썼습니다.
목차
1. 정치란 무엇일까?
2. 국가의 주인은 누구일까?
3. 헌법이란 무엇일까?
4. 미국
아메리카합중국 제1조 제1절 이 헌법에 의하여 부여되는 모든 입법 권한은 미국 연방 의회에 속하며, 연방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한다.
5. 독일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제1조 제1항 인간의 존엄은 불가침이다. 이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이 모든 국가 권력의 의무이다.
6. 일본
일본국 헌법 제1조: 천황(덴노)은, 일본국의 상징으로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이며, 이 지위는, 주권이 존재하는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초한다.
7.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조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자 계급이 지도하고, 노동자와 농민 연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 민주주의 전제정치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8. 대한민국
대한민국 헌법 제1조 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