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지중해는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이주 경로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등에서 유럽 연합 내로 이주하려는 난민들 상당수가 지중해를 이용하는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기 때문이다. 2015년은 유럽의 난민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이다. 그해 4월 지중해를 건너던 난민선 다섯 척이 한꺼번에 난파되어 1,200명 이상이 사망하였으며, 9월에는 그리스 바닷가에 떠밀려온 시리아 난민 아이 쿠르디의 사진이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전쟁과 정치적 혼란,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금전적·물질적 이익을 위해 국민 또는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을 불법 입국시키는 ‘난민 밀수’ 행위와 각국의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지중해 난민 문제는 풀기 어려운 골칫거리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나 목숨을 걸고 허술한 난민선에 올라타 파도로 뛰어드는 사람들을 그저 보고 있어야만 할까? 그리하여 해상인명구조를 위해 지중해로 뛰어든 인도주의 단체들이 있다. 2015년 설립된 SOS 메디테라네(SOS M?diterran?e) 역시 리비아 북쪽 지중해 국제 해역에서 익사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구조하는 NGO이다. 그래픽노블 『지중해의 끝, 파랑』은 일러스트레이터이자 탐사 보도 기자인 작가가 직접 SOS 메디테라네의 난민구조선 ‘오션 바이킹호’에 승선해 구조 활동에 나선 경험을 이야기한다. 오션 바이킹호에는 구조대원, 간호사, 문화중재자, 의사, 물류 담당자, 기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탑승해 오직 위험에 빠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힘을 합친다. 얼마나 숭고하고 보람된 일일까 싶지만 사실 해상인명구조는 고되고 위험한 데다가 인간에 대한 감탄과 혐오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느라 감정적으로도 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때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전세계를 공포와 불안으로 몰아넣던 상황이었다. 가뜩이나 해상인명구조단체를 껄끄럽게 여기던 국가에서는 코로나 방역과 시설 미비, 사소한 법률 위반 등을 문제 삼아 구조선을 억류하기 일쑤다. 내륙에서 구조를 지원하는 사무소는 극우단체의 테러 대상이 되기도 한다. 혐오메시지와 협박, 악플이 내내 따라다닌다. 이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활동가들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한다.
출판사 리뷰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이주 경로, 지중해
짙푸른 망망대해를 맴돌며 난민을 구조하는 사람들지중해는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이주 경로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등에서 유럽 연합 내로 이주하려는 난민들 상당수가 지중해를 이용하는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기 때문이다. 2015년은 유럽의 난민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이다. 그해 4월 지중해를 건너던 난민선 다섯 척이 한꺼번에 난파되어 1,200명 이상이 사망하였으며, 9월에는 그리스 바닷가에 떠밀려온 시리아 난민 아이 쿠르디의 사진이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전쟁과 정치적 혼란,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금전적·물질적 이익을 위해 국민 또는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을 불법 입국시키는 ‘난민 밀수’ 행위와 각국의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지중해 난민 문제는 풀기 어려운 골칫거리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나 목숨을 걸고 허술한 난민선에 올라타 파도로 뛰어드는 사람들을 그저 보고 있어야만 할까? 그리하여 해상인명구조를 위해 지중해로 뛰어든 인도주의 단체들이 있다. 2015년 설립된 SOS 메디테라네(SOS Mediterranee) 역시 리비아 북쪽 지중해 국제 해역에서 익사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구조하는 NGO이다.
그래픽노블 『지중해의 끝, 파랑』은 일러스트레이터이자 탐사 보도 기자인 작가가 직접 SOS 메디테라네의 난민구조선 ‘오션 바이킹호’에 승선해 구조 활동에 나선 경험을 이야기한다. 오션 바이킹호에는 구조대원, 간호사, 문화중재자, 의사, 물류 담당자, 기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탑승해 오직 위험에 빠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힘을 합친다. 얼마나 숭고하고 보람된 일일까 싶지만 사실 해상인명구조는 고되고 위험한 데다가 인간에 대한 감탄과 혐오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느라 감정적으로도 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때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전세계를 공포와 불안으로 몰아넣던 상황이었다. 가뜩이나 해상인명구조단체를 껄끄럽게 여기던 국가에서는 코로나 방역과 시설 미비, 사소한 법률 위반 등을 문제 삼아 구조선을 억류하기 일쑤다. 내륙에서 구조를 지원하는 사무소는 극우단체의 테러 대상이 되기도 한다. 혐오메시지와 협박, 악플이 내내 따라다닌다.
이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활동가들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한다.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난민들을 구조하고 돌보는 일은 난이도가 높은 임무지만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다. 망망대해에서 난파중인 난민 보트를 발견하는 일도, 어렵게 발견한 난민을 리비아 경비대보다 먼저 구조하는 일도 어느 하나 쉽지 않다. 그러나 오션 바이킹호가 항구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지중해로 뛰어들고 있다. 그들 중에는 태어난 지 한 달 된 아기도, 보호자 없이 보트에 태워진 미성년자들도 있다. 바다로 나온 한 사람 한 사람에게는 무게를 헤아릴 수 없는 절실한 마음들이 얹혀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오션 바이킹호는 바다로 나가 그들에게 손을 내민다.
인도주의의 최전선에서 만나는 슬픔과 절망,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희망으로 가득한 이야기작가 이폴리트는 동아프리카의 레위니옹 섬에서 안락하게 살아가는 프랑스 시민이다. 아프리카지만 프랑스 영토인 그곳에서 작가는 풍요로운 생활을 누린다. 아침이면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고 아들과 함께 해수풀에 헤엄을 치러 나가기도 한다. 레위니옹을 찾아온 피서객들은 잘 관리된 해수풀에 몸을 담그고 휴가를 만끽한다. 세상의 모든 바다는 하나라지만, 모든 이들에게 동일한 바다가 아니다. 목숨을 걸고 지중해로 탈출하는 사람들과 선진국 피서객들의 처지가 다른 것처럼. 이폴리트는 유니콘 튜브를 타고 깔깔거리는 아들의 친구들을 바라보며 자신이 지중해에서 구조한 아이샤를 떠올린다. 분홍색 유니콘 인형을 꼭 끌어안고 겁에 질려 있던 아이. 자신이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는지 아무것도 모른 채 자신을 구해준 어른들을 바라보던 아이. 위험에 빠진 어린아이를 구조하는 일에 도대체 어떤 시시비비가 있을 수 있겠는가.
선진국 출신 구조대원들이 에어컨이 나오는 저가항공을 타고 국경을 넘나들 때, 난민들은 전재산을 다 쏟아붓고도 교도소에 억류되거나 해안 경비대에 붙들리곤 한다. 그들에게 국경은 단단한 벽이다. 오션 바이킹호는 난민들을 구조한 뒤에도 이들의 하선을 허락하는 항구가 없어서 바다 위에서 무한정 대기해야 한다. 난민 억지와 국경 군사화 같은 유럽의 정책은 인도주의 단체들의 가장 큰 방해 요소이다. 가령 이탈리아의 피안테도시법령은 당국이 지정한 항구에만 내릴 것을 강제하는데, 일부러 조난 해역에서 멀리 떨어진 항구로 배정해 구조단체의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다. 작가는 오랜 기다림 끝에 도착한 항구가 쓰레기 적치장이라는 사실 앞에서 절망에 휩싸인 채 눈물을 흘린다. 자신이 속한 세계가 목숨을 걸고 찾아온 사람들을 이렇게 맞이한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서이다. 지중해에서 사람들을 구조한다는 건 단순히 피로와 고립에 맞서는 것 이상이다. 분노와 혐오, 무기력을 이겨내고 인류의 마지막 희망을 지켜내는 일인 것이다.
『지중해의 끝, 파랑』에서 작가는 난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는 것과 직접 그들의 손을 붙잡고 부축하고 눈을 바라보는 것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 달 된 아기를 안고 난민선에 올라탄 젊은 부부, 어린 아들과 단둘이 방 안에서 자 보는 게 소원이라는 엄마, 위대한 작가들을 읽고 글 쓰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청년, 각자의 이야기와 오션 바이킹호의 사명은 얽히고 섞인다. 우리 모두에게는 누군가를 구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작가 이폴리트가 어린 아들에게 자신이 괜찮은 사람이라는 걸 보여주고 싶어 하는 것처럼. 오션 바이킹호 같은 지중해의 구조선들은 인류애의 가장 가장자리에서 내미는 손끝 같은 것이다.
국제이주기구(IOM)에 의하면, 2024년 한 해 동안 2275명이 지중해에서 실종되었다고 한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지중해를 건너다 사망한 난민은 3만1180명이었다. 상처입고 좌절하면서도 활동가들이 지중해로 달려가는 이유다. 『지중해의 끝, 파랑』은 한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구체적인 사실들로 가득하면서도 작가 이폴리트와 구조대원들의 이야기가 겹겹이 담겨 있어 지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완성도가 높은 그래픽노블이다. 지중해 난민이라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치로 단순화하거나 마냥 감상적으로 그리는 대신 이 문제가 얼마나 까다롭고 복잡한지 전방위적으로 보여주는 데 그래픽노블만큼 잘 맞는 장르도 없을 것이다. 이폴리트가 오션 바이킹호에서 틈틈이 그린 다양한 인물화와 스케치가 수첩의 형태 그대로 실려 있는 등 그림으로만 전달되는 생생한 감정들도 눈여겨볼 만하다. 부록으로 오션 바이킹호의 중앙 지중해 항로와 SOS 메디테라네의 간략한 구조 활동 연표도 실려 있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인간답게 존재할 수 있는지 되묻게 되는 책이다.

『지중해의 끝, 파랑』은 우리가 다시금 올바른 방향을 바라보게 하는 책입니다. 이야기와 삶, 꿈, 웃음, 두려움처럼 인류가 공유하는 근원적인 감정을 무대 위로 다시 끌어올립니다. 바다를 건너려는 사람들의 삶의 여정을 조명합니다. 전쟁을 피해,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리비아에서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 그들이 바다로 향한 모든 이유를 담고 있습니다. 오직 더 나은 삶을 위해서요. 아이샤와 그녀의 유니콘, 아부바카르, 델마, 그리고 다른 수많은 사람들. 이 책은 제게,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왜 이 일을 일상적으로 계속해야 하는지 상기시켜줍니다.
*SOS 메디테라네(SOS Meiterrane) : 리비아 북쪽 지중해 국제 해역에서 해상 인명 구조 활동을 하는 유럽의 인도주의 기구. 리비아에서 바다로 도망치는 사람들과 익사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구조한다. 2015년 독일 전직 군인 Klaus Vogel과 프랑스 여성 Sophie Beau에 의해 설립되었다.
오션 바이킹을 타고 처음 구조했던 소녀, 아이샤를 떠올린다. 구명보트 위의 눈물이 오션 바이킹 갑판 위에서 기쁨의 눈물로 바뀌던 장면. 품에서 품으로 옮겨지는 동안 두 팔로 꼭 안고 있던 인형도.
분홍색 유니콘 인형이었다. 어떻게 그 자리까지 함께 올 수 있었는지, 아무도 정확히 모를 일이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폴리트
1976년생. 탐사보도 그래픽노블 분야를 선도하는 작가 중 한 명입니다. 저널리즘과 창작을 오가며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들은 독자와 평단 모두에게 꾸준히 호평받고 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드라큘라』(Gleat, 2003), 『발렌트래의 주인』(Denoe, 2006), 『신들의 판타지』(Les Arees, 2014), 『그림자들』(Pheus, 2013), 『숨을 참는 아이』(한울림스페셜, 2022) 등이 있습니다.
목차
지중해의 끝, 파랑 7
오션 바이킹호의 중앙 지중해 항로 218
간략한 구조 활동 연표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