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역주 한훤차록  이미지

역주 한훤차록
조선시대 간찰 서식집
수류화개 | 부모님 | 2025.07.01
  • 정가
  • 48,000원
  • 판매가
  • 43,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400P (5% 적립)
  • 상세정보
  • 16.7x23.6 | 0.967Kg | 744p
  • ISBN
  • 979119215323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조선시대에 전국적으로 널리 유통되었던 편지 형식과 예절 표현 양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간찰 서식집으로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간찰 서식 자료다. ‘한훤’은 추운지 더운지 묻는 안부를 뜻하고, ‘차록’은 당시의 생각이나 감정을 덧붙여 기록한 글을 이른다. 이 두 개념을 합쳐 ‘한훤차록’은 안부 인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상황별 간찰 형식들을 모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출판사 리뷰

《한훤차록》, 조선시대 간찰의 형식과 예절을 집대성한 간찰 서식집
《한훤차록寒暄箚錄》은 조선시대에 전국적으로 널리 유통되었던 편지 형식과 예절 표현 양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간찰 서식집으로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간찰 서식 자료다. ‘한훤’은 추운지 더운지 묻는 안부를 뜻하고, ‘차록’은 당시의 생각이나 감정을 덧붙여 기록한 글을 이른다. 이 두 개념을 합쳐 ‘한훤차록’은 안부 인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상황별 간찰 형식들을 모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5권 3책으로 구성되며, 이 책은 총 5권 3책으로 구성되며, 편지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알맞은 문구와 문장을 약 200여 항목으로 분류해 실었다. 편지의 시작부터 끝맺음, 봉투 서식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어 당시 문인들이 실제 서신을 쓸 때 참고문으로 삼았다.
서문이나 발문이 실려 있지 않지만, 조정순趙廷純(?~?)의 《동관지록童觀識錄》과 홍직필洪直弼이 1811년 남윤묵南允黙에게 보낸 답장을 통해 편저자가 남윤묵임을 알 수 있다. 다만 남윤묵이 활동했던 시기와 맞지 않는 유중교柳重敎와 곽종석郭鍾錫의 문장이 일부 인용되어 있어 이 부분은 당대의 문투 형식인 투식의 반복으로 해석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상수
민족문화추진회(현한국고전번역원), 국사편찬위원회, 온지서당, 중국 어언문화대학교 등에서한문과 고문서, 초서와 중국어를 공부했고, 단국대학교 한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강사, 한국한문학회 출판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전통문화연구회, 고전번역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 구초회에서 한문 번역과 탈초·강의를 하고 있다.번역서와탈초자료《간찰簡札 선비의 일상》, 《고시문집古詩文集》, 《구소수간歐蘇手簡》, 《다천유고茶泉遺稿》, 《동국명현유묵東國名賢遺墨》, 《동작금석문집銅雀金石文集》, 《류성룡, 전란戰亂을 헤치며》, 《문장의 법칙》, 《미국 와이즈만 미술관 한국 문화재 도록》, 《바흐와 야언》, 《방산유고芳山遺稿》, 《붓 끝에 담긴 향기香氣》, 《사문수간師門手簡》, 《사상세고沙上世稿》, 《서포일기西浦日記》, 《송헌선생한시집松軒先生漢詩集》, 《습재집習齋集》, 《신식新式 비문척독備門尺牘》, 《심원권일기》1~3, 《아언각비雅言覺非》, 《어머니 내음 서린 청송재 내방가사》, 《연암척독燕巖尺牘》, 《오가보첩吾家寶帖》, 《왕양명 집안 편지》, 《율곡 친필 격몽요결》, 《조선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중국의 음식디미방》, 《초간독草簡牘》, 《퇴계 편지 백 편》, 《한문독해첩경-문학편》, 《한문독해첩경-사학편》, 《한문독해첩경-철학편》, 《항전척독杭傳尺牘》, 《허균척독許筠尺牘》 외 다수

  목차

해제

권1
중봉식重封式
영진류營鎭類 / 절하류節下類 / 집사류執事類 / 개탁류開坼類 / 상서류上書類

피봉식皮封式
형주류兄主類 / 석사류碩士類 / 대감류大監類 / 존장류尊丈類 / 노형류老兄類 / 아문류衙門類 / 모관류某官類 / 태좌류台座類 / 시안류侍案類 / 배후류拜候類 / 근봉류謹封類

왕서식往書式
생례류省禮類 / 기두류起頭類 10 / 미심류未審類 / 시령류時令類 / 기후류氣候類 / 만안류萬安類 / 복모류伏慕類 / 제류第類 3 / 앙념류仰念類 / 소생류小生類 / 조안류粗安類 9 / 취고류就告類 2 / 궤유류饋遺類 / 결어류結語類 4 / 불비류不備類 / 복유류伏惟類 / 감찰류鑑察類 / 상후류上候類 / 연월류年月類 / 성명류姓名類 / 재배류再拜類

권2
답장식答狀式
기두류起頭類10 / 비의류匪意類 / 치중류褫中類 / 복승류伏承類 / 하서류下書類 / 근심류謹審類 / 시령류時令類 / 기후류氣候類 / 만안류萬安類 / 복위류伏慰類 / 제류第類 / 시의류示意類 / 감하류感荷類 / 사사류辭謝類

권3
조위식弔慰式
국애류國哀類 / 부모상류父母喪類 / 조부모상류祖父母喪類 / 숙부모상류叔父母喪類 / 형제상류兄弟喪類 / 처상류妻喪類 / 자상류子喪類 / 자부상류子婦喪類 / 여상류女喪類 / 요척류夭慽類 / 일가상류一家喪類 / 친지상류親知喪類 / 면례류緬禮類

권4
용례用例1
방경류邦慶類 / 중시류重試類 / 대과류大科類 / 소과류小科類 / 발해류發解類 / 부거류赴擧類 / 낙방류落榜類 / 생남류生男類 / 과혼류過婚類 / 혼서류婚書類 / 승탁류升擢類 / 번곤류藩閫類 / 읍진류邑鎭類 / 서사류筮仕類 / 복직류復職類 / 부임류赴任類 / 부연류赴燕類 / 보외류補外類 / 견적류譴謫類 / 유환류宥還類 / 파관류罷官類 / 해관류解官類 / 취리류就理類 / 행역류行役類

권5
용례用例2
문병류問病類 / 과주류課做類 / 시십류詩什類 / 권면류勸勉類 / 청취류淸趣類 / 유상류游賞類 / 청요류請邀類 / 차여류借與類 / 수한류水旱類 / 겸황류歉荒類 / 촉탁류囑托類

색인
지명색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