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부사관 시험 준비생과 부사관 관련 학과 재학생에게 필요한 지침서다. 부사관 시험 평가와 더불어 부사관 시험 합격 이후 부사관의 정체성 확립과 양성교육, 보수교육, 복무연장과 장기복무, 인사교류, 근무평정, 진급 등 부사관으로 꼭 알아야 할 기본소양과 인사업무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차례대로 읽지 않아도 괜찮으며 독자가 관심 가는 부분을 부분 발췌하여 읽어도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출판사 리뷰
부사관 준비생의 필독서! 이 책 한 권이면 국가공무원이 된다.
육군훈련소, 육군부사관학교, 육군본부 인사령부 등 전ㆍ후방 정책부서 및 야전부대의 부사관 모집·선발ㆍ인사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사관 시험 준비생과 부사관 관련 학과 재학생에게 필요한 부사관 군사특기와 각종 모집 소개, 선발시험 평가, 양성교육, 보수교육, 부사관 인사, 부사관의 정체성과 생활지침서를 제공하고 싶었다.
특히 육군본부 부사관 모집 통제관과 면접관으로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부사관 모집 1장부터 부사관 정체성과 생활지침서 10장까지 부사관 선발 및 인사업무를 체계적인 흐름에 따라 구체적으로 저술하였다.
1장은 부사관의 정의와 군사특기를 소개하였고 2장은 육군ㆍ공군ㆍ해군(해병대) 부사관 모집 공고문으로써 부사관 모집 지원 경로를 소개하였고 각 모집 과정별 평가요소와 배점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3장부터 6장까지는 부사관 시험 준비생이 알아야 할 각 모집 과정별 평가요소 시험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육군ㆍ공군ㆍ해군(해병대) 순으로 모집과정을 소개하였고 장교(준사관), 군무원 등 다양한 지원 경로를 기술하였다.
7장은 부사관 시험의 평가요소(필기시험, 인성검사, 신체검사, 체력평가, 자기소개서, 면접 등)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시험 평가요소별 저자의 핵심 포인트를 제시하였다.
8장은 부사관 시험 합격한 이후 부사관 임관에 필요한 양성교육을 소개하였고 부사관 임관 이후 초급과정과 각종 보수교육 과정을 소개하였다.
9장은 부대배치 후 군 생활 중 알아야 할 부사관 인사의 핵심인 복무연장 및 장기복무 지원과 인사교류(부대 조정), 근무평정, 진급을 설명하였다.
10장은 부사관이 마음속에 각인해야 할 핵심가치와 임무와 역할, 상(像) 및 행동강령 등 부사관의 정체성을 제시하였다. 부사관이 갖추어야 할 상(像)과 행동강령, 부사관의 임무와 역할, 초급간부 구비 역량을 통해 군 전투력 발휘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복무자세를 설명하였다.
대부분 많은 책들은 필기시험 위주의 부사관 시험 합격 수험도서가 많지만, 저자는 부사관 시험 평가와 더불어 부사관 시험 합격 이후 부사관의 정체성 확립과 양성교육, 보수교육, 복무연장과 장기복무, 인사교류, 근무평정, 진급 등 부사관으로 꼭 알아야 할 기본소양과 인사업무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차례대로 읽지 않아도 괜찮으며 독자가 관심 가는 부분을 부분 발췌하여 읽어도 좋다.
저자는 부사관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부사관 시험 합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부사관 전체를 배움으로써 최고의 계급인 주임원사를 꿈꾸며 군 전투력 발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우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과 지식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목차
01 부사관 소개
부사관의 정의 12
육군 군사특기 13
02 육군부사관 모집
인력획득 환경 22
부사관이 되면 좋은 점 24
민간부사관(남ㆍ여군) 26
학군부사관후보생(RNTC) 28
군 가산복무지원금 지급대상 부사관(2년 가산) 31
군 가산복무지원금 지급대상 부사관(1년 가산) 34
임관시 장기복무 부사관 36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38
현역부사관 40
임기제부사관 41
특전부사관 42
지원 불가 45
03 공군 부사관 모집
공군부사관후보생 48
학군부사관후보생(RNTC) 50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52
04 해군 부사관 모집
부사관후보생(남ㆍ여) 56
학군부사관후보생(RNTC) 57
군 가산복무자 부사관 59
예비역 현역재임용 61
05 해병대 부사관 모집
부사관후보생 66
학군부사관후보생(RNTC) 68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대상자(부사관) 70
06 장교(준사관), 군무원 모집
육군3사관학교 사관생도 74
육군 회전익항공기 조종 준사관 76
육군 군무원 77
07 부사관 평가
필기시험 82
필기시험 주의사항 84
이런 경우는 부정행위에 해당된다. 87
필기시험 핵심 포인트 88
부사관 필기시험(예시) 90
인성검사 98
신체검사 99
직무수행능력 평가 102
직무수행능력 핵심 포인트 104
체력평가 105
체력평가 핵심 포인트 107
자기소개서 111
자기소개서 핵심 포인트 115
대면 면접 117
1면접장 119
2면접장 123
3면접장 126
면접 핵심 포인트 127
면접평가 예상질문 129
면접 준비 유의사항 145
비대면 면접(AI) 146
최종 선발 147
지원자가 범하기 쉬운 오류 148
08 육군 부사관 교육
초임하사 양성교육 152
공군ㆍ해군 양성교육 157
초임하사 부대분류 158
초임하사 연고지 복무 159
보수교육 161
훈련부사관 교육 165
09 육군 부사관 인사
인사관리 170
복무연장 178
장기복무 179
근무평정 184
진급 187
인사교류(부대 조정) 189
10 군 전투력발휘의 중추, 부사관
핵심가치 194
상(像)과 행동강령 196
가치관 200
비젼(Vision) 202
계급과 서열 203
복무자세 204
장교와 부사관 관계 206
하사 분대장 역할과 책임 209
초급부사관 육성 목표 및 구비역량 215
우리나라 부사관 역사 218
부사관 전투영웅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