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윤동주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 사이의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명동소학교, 은진중학교를 거쳐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편입하였으나 신사참배 거부 사건으로 폐교 조치되자, 광명중학교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立敎)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 교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로 편입하였다.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 연길에서 발행되던 『가톨릭소년』에 여러 편의 동시를 발표하고 그 외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에도 시를 발표하였으며, 문예지 『새명동』 발간에도 참여하였다. 대학 시절 틈틈이 쓴 시 19편을 골라 시집을 발간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신변을 염려한 스승과 벗들의 만류로 뜻을 보류하였다.1943년 독립운동을 모의한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2년 형을 선고받았다. 1945년 2월 16일 광복을 여섯 달 앞두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여 고향 용정에 묻혔다. 일제의 생체 실험 주사에 따른 희생으로 추정될 뿐 지금까지도 그의 죽음에 대해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1948년 유고 31편을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고, 1968년에는 연세대학교 내에 그의 시비(詩碑)가 세워졌다.
1부 자연
새싹 · 공광규
3월 · 오규원
봄비 · 심후섭
콩, 너는 죽었다 · 김용택
반딧불 · 윤동주
나무 · 윤동주
햇비 · 윤동주
해 · 박두진
들판이 적막하다 · 정현종
송사리 · 이문구
봄은 고양이로다 · 이장희
오-매 단풍 들것네 · 김영랑
오우가 · 윤선도
산 샘물 · 권태응
석류 이야기 · 이문자
2부 관계
돌담장의 안녕 · 김봉군
길 · 김종상
빗길 · 성명진
비스듬히 · 정현종
우리 둘이 · 김준현
한 송이 말의 힘 · 김선우
우리가 눈발이라면 · 안도현
까마귀 검다 하고 · 이직
까마귀 싸우는 골에 · 영천 이씨
수박끼리 · 이응인
3부 사랑
저녁에 · 김광섭
세상에서 가장 따뜻했던 저녁 · 복효근
비밀번호 · 문현식
묏버들 가려 꺾어 · 홍랑
사랑하는 별 하나 · 이성선
풀꽃 1 · 나태주
별 · 나태주
사랑에 답함 · 나태주
겨울 사랑 · 문정희
삼촌 · 김영롱
4부 존재
새로운 길 · 윤동주
유성 · 오세영
별밤에 · 나태주
연탄 한 장 · 안도현
후후후 · 성미정
살 만한 것 · 최대호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언
딱지 · 이준관
거꾸로 말했다 · 장철문
상처의 교훈 · 이해인
나를 키우는 말 · 이해인
넌 어느 쪽이니? · 이옥용
하늘의 별 따기 · 나희덕
맨드라미 · 김선우
큰 나무 · 조재도
신문지 밥상 · 정일근
동해 바다-후포에서 · 신경림
고래를 위하여 · 정호승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 정현종
작품 출처 및 수록 교과서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