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저자가 도쿄대학에서 약 20년간에 걸쳐 강의를 담당했던 \'문화접촉론\'과 \'국제문화론\'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도쿄대학을 정년퇴직하면서 정리한 국제문화론 교재. 근대 아시아 사람들이 경험한 경쟁과 투쟁의 역사를 문화관계에 따라 파악하여 만주사변을 일중간의 \'근대화\'라는 문화변화 경쟁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저자는 국제관계를 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국제관계의 문화인류학적 생성과 전개에 관한 성찰을 보여주며, 냉전기 주류 국제정치론과 탈냉전기 유행한 문명충돌론 및 지구문화론과 같은 국제정치에 대한 관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의 특징
첫째, 문화에 대한, 국제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담고 있다. 문화의 파악방법부터 오늘날의 국제관계를 문화적 관계로 파악하는 시각까지 단계적으로 일관된 설명을 하고 있다.
둘째, 이 책은 보통 교과서는 아니다. 히라노 교수의 독자적 시각에서 국제관계를 볼 것을 주장한 문제제기의 책이다.
셋째, 이론화 및 일반화를 시도해 모델을 제시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는 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이 책의 근본 동기는 근대 아시아가 경험한 비극의 원인을 가능한 한 냉정하게 탐구하는 데 있다. 아시아 국가들은 똑같은 근대화의 길을 걸을 운명이었음에도 일본이 대만과 조선을 식민지로 삼고 중국을 침략하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이 물음을 파고들면 근대화란 무엇이었던가를 아시아의 시점에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이 성과는 구미의 근대화론에 대항하는 주체적 근대화론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히라노 겐이치로
일본 도쿄(東京)대학교 교양학부 졸업(국제관계론)
미국 하버드(Harvard)대학교 대학원 유학(Ph.D.)
1969년 일본 죠치(上智)대학교 강사
1970년부터 도쿄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1998년부터 일본 와세다(早?田)대학교 정치경제학부 교수
일본국제문화학회장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제관계에서의 문화
1.문화란 무엇인가?
2.국제관계에서의 문화
3.문화와 문명
제3장 문화의 변화
1.내발적 변화와 외발적 변화
2.문화진화론
3.문화변용론
제4장 문화의 접촉과 변용: 문화접변
1.문화접변 연구의 등장
2.외래 문화요소의 전파와 선택
3.문화 운반자
제5장 문화접변에의‘저항’
1. 외래 문화요소의 수용
2. 문화적 저항
3. 저항운동
제6장 문화접변의 결과
1.문화요소의 재해석
2.문화의 재구성
3.문화접변의 결과
4.문화접변의 창조력
제7장 저항으로서의 문화접변
1. 적대적 문화접변
2. 문화접변과 내셔널리즘
3. 비서구의 근대화
제8장 문화접변론에서 본 근대 아시아와 일본의 문화
1.근대 서구의 영향:사회진화론을 중심으로
2.잡거문화·잡종문화·순수문화
3.전후 일본의 문화
제9장 문화변용과 문화교류
1.사람의 국제이동:현상
2.국제교류·문화교류:활동
3.지구문화론
제10장 결론
1.문화와 국제관계
2.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
3.문화접변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