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중섭
1981년 경상국립대학교에 부임하여 형평운동 역사를 알게 된 뒤 지금까지 형평운동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고 있다.『형평운동연구: 일제침략기 백정의 사회사』(1994), 『형평운동』(2001), The Korean Paekjong under Japanese Rule: The Quest for Equality and Human Rights (2003), 『평등 사회를 향하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비교』(2015), 『되짚어본 형평운동: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며』(2025) 등 저서를 비롯하여 형평운동에 관한 많은 글을 썼다. 『형평운동』은 『衡平運動: 朝鮮の彼差別民白丁, その歷史とたたかい』(2003)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형평운동 발상지인 진주 지역의 역사를 탐구하여 저서 『사회운동의 시대 : 일제침략기 지역공동체의 역사사회학』(2012)를 발간하였고, 형평운동이 추구한 차별 없는 세상을 한국과 일본의 일상생활에서 실현하는 과정을 탐구한 저서 『인권의 지역화: 일상생활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2016)를 발간하였다.2019년 경상국립대학교를 정년 퇴직한 뒤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진주 역사와 지역 사회의 인권 실행에 관하여 탐구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진주문화를 찾아서〉를 새롭게 시작하며
『형평운동』 개정판을 내며
1. 형평사 - 백정의 희망
형평사와 형평운동
1923년 4월 24일과 4월 25일
형평사가 내건 목적
조선의 신분 질서와 백정
백정이 겪는 차별
백정은 어떻게 생겨났나?
2. 형평운동 발상지 진주
왜 진주인가?
무너지는 신분제
동학이 내건 백정 해방과 갑오개혁
깨어나는 백정들
동석 예배 거부 사건과 화해
실패하는 백정운동
사회의식을 일깨운 3.1운동
진주 지역의 역사적 유산
형평사가 만들어지는 과정
형평사 창립을 이끈 사람들
3. 형평운동의 확산과 충돌
형평사 창립축하식
전국으로 퍼지는 형평운동
눈에 보이는 형평운동 성과
진주에서 벌어진 형평사 반대 활동
결사적으로 저항하는 형평사원들
형평운동을 응원하는 사회
형평사 내부의 파벌 다툼
진주 본사에서 서울 총본부로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