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가시 잃은 성게 이미지

가시 잃은 성게
좋은땅 | 부모님 | 2025.08.30
  • 정가
  • 17,000원
  • 판매가
  • 15,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50P (5% 적립)
  • 상세정보
  • 14.8x21 | 0.255Kg | 196p
  • ISBN
  • 979113884622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문쾌식 시인의 ‘가시 잃은 성게’는 한 마디로 ‘가시를 잃은 이들을 위한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문쾌식 시인의 네 번째 시집 ‘가시 잃은 성게’는 고통과 상실을 말하지만 그 안에 머물지 않는다. 이 시집은 가시를 잃고 나서야 비로소 꽃이 피고, 향기가 돌고, 노래가 시작되는 존재들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이 시집은 아프지 않게 하려는 위로가 아니라, 함께 아파 본 이의 조용한 동행의 시이다.

삶의 끝에선 이들, 다시 시작하고 싶은 이들, 혹은 다만 오늘을 살아 내는 이들에게, 문쾌식 시인의 이 시집은 한 줌 흙처럼, 한 알의 보석처럼 조용히 품에 담기는 시집이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문쾌식 시인의 네 번째 시집 『가시 잃은 성게』는 삶의 고통과 상실을 통과한 끝에서 발견되는 빛과 향기를 담고 있다. 시인은 날카로운 가시를 품었던 존재들이 어떻게 그 가시를 내려놓고 새로운 생명으로 피어나는지를 섬세하게 노래한다. 이 시집에서 ‘가시’는 상처와 고독, 그리고 살아내기 위한 몸부림의 상징이다. 그러나 문쾌식 시인의 시는 그 가시에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가시가 사라진 뒤의 평화와, 상처를 껴안고 다시 피어나는 생명의 고요한 힘을 보여준다. 『가시 잃은 성게』는 단순한 위로나 치유의 언어가 아니라, 함께 아파하고 끝내 견뎌낸 이들이 건네는 깊고 조용한 동행의 시집이다.

이 시집은 여섯 개의 부로 나뉘어 있으며, 각 부는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자 꽃과 벌레, 자연의 언어로 이루어진 이야기이다. 1부에서는 시행착오와 틈, 안개, 상고대처럼 날카롭고 불완전한 순간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시인은 그 불완전함 속에서 오히려 완전함을 꿈꾼다. 2부에 이르면, ‘가시 하나, 나를 비추는 거울이 되다’라는 부제처럼 고통이 성찰의 도구로 자리한다. 가시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사랑과 겸손, 그리고 회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는 단지 개인의 경험을 넘어, 시대의 상처를 품은 우리 모두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3부와 4부는 꽃과 벌레, 그리고 오래 함께한 사물들을 매개로 삶의 단단한 뿌리를 이야기한다. 접시꽃, 독일붓꽃, 범꼬리꽃, 그리고 작은 곤충들의 세계가 펼쳐지며, 시인은 그 안에서 인간의 얼굴을 본다. 이러한 자연의 이미지들은 단순한 묘사를 넘어, 상처 입은 존재들이 어떻게 다시 일어나고 서로를 살리는지를 보여준다. ‘흔들리되 꺾이지 않으리’, ‘상생의 거울’ 같은 작품에서 시인은 삶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을 전한다. 5부와 6부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소환하고, 결국 가시 없이 피어나는 새로운 자아를 노래한다. ‘이제 나는 가시 없이 피어난다’라는 선언은, 치열한 고통을 지나 마침내 자유와 평화를 얻는 인간의 영원한 갈망을 상징한다.

『가시 잃은 성게』는 상처의 기록인 동시에, 그 상처를 넘어서는 희망의 기록이다. 그것은 화려하지 않지만 깊고 단단하다. 이 시집을 읽는 독자는 날카로운 가시에 찔린 자신의 시간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그 시간조차 꽃을 피우기 위한 필연이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문쾌식 시인의 시는 결국 이렇게 말한다. “삶의 바다는 우리를 가꾸고 다듬어, 마침내 가장 단단하고 아름다운 껍질을 남긴다.” 이 시집은 삶의 끝에서 다시 시작하려는 이들, 혹은 오늘을 겨우 버티는 모든 이에게, 한 줌의 흙처럼, 한 알의 보석처럼 조용히 품에 담길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문쾌식
경남 거창 출생, 2005년 시로 문예사조 등단, 2021년 시사문단 시로 등단.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 작가, 한국시사문단작가협회 회원, 빈여백동인, 현재 샘터문학회 회장.[수상경력]제16회 북한강문학상 수상제26회 민들레문학상 수상기독신보 제500회 기념 신춘문예 입상제9회 서울시 가족사랑이야기 전국 공모 최우수상[시집]‘엉겅퀴의 유혹’, ‘다시, 산수유꽃’, ‘11월의 장미’(교보문고 2023년 1월 베스트셀러 마크 획득), ‘가시 잃은 성게’

  목차

10 서시- 시 굽는 사람

1부
고요히 들끓는 시작, 가시가 돋힌 시간들

12 시행착오
14 목백일홍
16 3월에 웬 눈?
17 겨울 추위
18 틈이 생길 때
20 안개 속으로
21 달콤한 유혹
22 가시 잃은 성게
23 노년의 보름달
24 엄마가 그리운 때
26 말을 그리는 이유
27 상고대
28 흰 꽃 한 송이
30 약지의 눈물
32 혼돈의 시간
34 난적
36 깃털구름

2부
가시 하나, 나를 비추는 거울이 되다

38 역린
40 오도독 생식기
41 인식 차이 1
42 인식 차이 2
43 돌돌 말린 마음
44 마음의 세탁기
46 구부러진 시간 끝에서
48 로스터의 꿈
50 가시가 남긴 것
52 심령술사
54 4월, 너를 닮은 꽃
56 맑은 비
58 겸손의 꽃
60 무쇠 엉덩이
61 매화불
62 너는 개꽃?

3부
꽃과 벌레, 그들의 말 속에 내가 있다

66 샤스타데이지
68 접시꽃 당신
70 계절은 제때를 안다
72 유월은 밤꽃 세상
74 독일붓꽃
76 일일초의 고백
78 수국 앞에서
80 개망초 꽃
82 범꼬리꽃의 반란
84 범꼬리꽃 - 부끄러움은 꽃처럼 핀다
85 흰 향기, 울음을 품다
86 톱사슴벌레
88 오이 노가리
90 박각시나방
92 괴불주머니

4부
함께 하였던 것들이 나를 일으키다

96 호두에게
98 엄마 젖, 붓꽃
99 흔들리되 꺾이지 않으리
100 상생의 거울
102 그 꽃들을 놓아라
104 한 송이 나팔꽃처럼
106 가슴에 심은 백일홍
108 사랑의 낙관
110 안녕, 잘 지냈어?
112 한판 승부
114 십일월 예찬 1
116 십일월 예찬 2
118 가시 위에 핀 꽃
120 샌드백 창문
122 소망의 꽃

5부
과거를 부르면, 꽃이 핀다

126 그들을 다시 부를 때
128 여명의 벨소리
130 초록 갈비뼈 - 내면의 괴물을 닮은 너
132 핏빛 맨드라미
134 내 마음에도 눈꽃이
136 순둥이 허수아비
137 아침 별
138 붉은 잎, 나를 말하다
140 푸른 고래가 사는 방
142 꿈이 백합으로
144 꽃불 정원
146 흙의 기도 - 소멸은 끝이 아니기에
148 누군가의 따뜻함을 위해
150 민들레꽃
152 푸른 정원을 위하여
153 시퍼런 작두

6부
이제 나는 가시 없이 피어난다

156 연타석 홈런!!
158 누굴 탓해
160 가을의 전령
162 엘랑 비탈을 꿈꾸며
164 까마귀가 어딜 와 - 꽃불 앞 착시
166 밀당의 꽃
168 그 먼 띠
170 틈, 그리고 뿌리
172 예수, 12월의 따듯한 이름
174 쉿, 시가 온다
176 별이 된 꽃 - 기린초
178 겨울 심장에 띄우는 詩
180 물로 그리다
182 단단한 너를 위하여
183 분홍빛의 환상

184 기꺼이 배경이 된 사람이 굽는, “시(詩), 가시의 미학(美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