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데 작은 초석이라도 놓기 위하여, 그동안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이 어떤 연구를 수행하였고, 노벨 과학상 수상 분야 별로 학문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한국의 젊은이들이 도전 가능한 연구 분야를 탐색해본다.
출판사 리뷰
지금까지 한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전무하다!
반면에 우리와 이웃한 일본은 지금까지 30명이 노벨상을 수상하였으며, 이중에서 25명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였다. 수상분야 별로는 물리학상 12명, 화학상 8명 및 생리학·의학상 5명이다. 노벨 과학상 이외의 분야에서도 문학상 3명 및 평화상 2명이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IMF 기준 31개국의 선진국에 속하면서, 총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국가 중에서,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지 못한 국가는 안타깝게도 한국밖에 없다.
한국의 대학교에서 25년 이상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한 저자가 전하는,
한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한국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데 작은 초석이라도 놓기 위하여, 그동안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이 어떤 연구를 수행하였고, 노벨 과학상 수상 분야 별로 학문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한국의 젊은이들이 도전 가능한 연구 분야를 탐색해 보기로 한다.
이와 병행하여 호기심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기초연구에 일관적이며 지속적인 투자를 계속하며, 세계적인 연구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우리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한다면, 노벨 과학상 수상의 꿈이 성큼 현실로 우리 앞에 다가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서평(서문 포함)
매년 10월의 첫째 주와 둘째 주가 되면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 등에서, 전년도에 인류를 위해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금메달, 상장 및 상금을 수여할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이의 소식이 연일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 우리가 학수고대하던 한국인의 노벨상 수상 소식은 없고, 다른 나라의 노벨상 수상 소식만 커다랗게 들려와 우리 국민은 무척 실망한다.
노벨상은 물리학, 화학, 생리학·의학, 문학, 평화 및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수여되는데, 이들 중에서 물리학상, 화학상 및 생리학·의학상을 노벨 과학상이라 부른다.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 것은 국가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드높이고, 국가의 기초과학 및 원천기술의 경쟁력을 상승시켜, 국가의 발전 역량을 전 세계에 과시한다.
세계 각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일본은 1901년부터 1948년까지 수상자가 1명도 없다가, 1949년에 유카와 히데키(Yukawa Hideki)가 일본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후에도, 1999년까지 50년 동안 겨우 5명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데 머물렀다. 그러다가 21세기 이후에는 수상자가 급격히 늘어 미국 98명, 영국 26명에 이어 일본 16명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면 한국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2024년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것 이외에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전무하다. 한국이 노벨 평화상이나 문학상을 수상한 것은 노벨상이란 경기장에 들어선 것에 불과하다. 노벨상 경기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의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 것이다.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 수는 2022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8개국이 공동으로 52위를 차지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런데 IMF 기준 31개국의 선진국에 속하면서, 총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국가 중에서,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지 못한 국가는 안타깝게도 한국밖에 없다. 한국이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고 이를 전 세계에 증명하기 위하여, 빠른 시일 안에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는 것이 국가적인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일본은 노벨 과학상을 25명이나 수상하였는데 한국은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이 안타까워, 앞으로 많은 한국인들이 노벨 과학상에 도전하기 위하여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창의성을 개발하여, 과학으로부터 즐거움을 찾고, 과학을 가지고 사회와 국가에 이바지하는 많은 국민이 배출되어, 국가의 위상을 드높이고, 국가에 커다란 영광을 안기며, 전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긍지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이 연구에서는 호기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한다. 따라서 초·중·고 학생들, 특히 초등학교 학생들이 손을 움직여 실험을 직접 해보고, 이의 변화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흥미를 갖게 되고, 이것이 성장하여 노벨 과학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시간에 실험을 할 수 없는 학교들은 5-10개 학교가 하나의 클러스트(Cluster)를 구성하여, 가장 우수한 시설을 갖춘 정부의 과학 지정학교에서 학생들이 충분한 실험을 하여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기초연구비는 일본 수준 혹은 지금의 2-3배 이상으로 인상해야 한다. 연구비는 일본 과연비 및 미국 NSF 연구비 같이 단일화하고 융통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국가가 필요로 하는 분야를 선택하여 집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
많은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연구에서는 호기심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창의성을 개발하고, 기초연구에 일관적이며 지속적인 투자를 계속하며, 세계적인 연구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우리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한다면 노벨 과학상 수상의 꿈이 성큼 현실로 우리 앞에 다가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상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학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 (석사)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 (박사)1977-197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학공학연구부 연구원1985-1987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촉매과학기술센터 박사후 연구원1987-1988 한국화학연구소 무기화학연구부 선임연구원1989-2015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2015-현재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목차
머리말 4
제1장 세계적인 권위와 명성을 갖춘 노벨상의 탄생
1 노벨상 창설자 알프레드 노벨의 출생 16
2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수업자로 활약 20
3 프랑스 튜린대에서 니트로글리세린을 만남 23
4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다이너마이트의 발명 26
5 젤리나이트 및 발리스타이트 화약의 발명 32
6 알프레드 노벨의 화약 이외의 관심 분야 35
7 알프레드 노벨의 노벨상 제정 이유 40
8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장 42
제2장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노벨상 수상자
1 노벨상의 종류 53
2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56
3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59
4 원자설의 발전 과정 64
5 노벨상 중복 수상자 67
6 노벨상 부자간 수상자 84
7 노벨상 부부간 수상자 93
8 노벨상 형제 및 숙질간 수상자 99
9 노벨상 최연소 수상자 101
10 노벨상 최연장 수상자 104
11 노벨상 N관왕에 등극한 단체 108
제3장 노벨상 수상에 얽힌 안타까운 사연
1 노벨상 메달 및 상장의 구조 115
2 특별한 사연의 노벨상 수상자 118
3 희소 분야에서의 노벨상 수상자 123
4 스승과 제자의 노벨상 수상 기록 126
5 노벨상 수상에 얽힌 희비 129
6 불우한 노벨상 미수상자 137
제4장 아시아 최다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의 비결
1 일본 과학 발전의 선각자 후쿠자와 유키치 155
2 일본 물리학 계보의 구축과 선구자 157
3 일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유카와 히데기 161
4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164
5 일본의 기관별 노벨상 수상자 168
6 세계 최초의 학사 출신 노벨 과학상 수상자 다나카 고이치 173
7 일본의 노벨상 수상의 비결 175
제5장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한 명도 없는 한국의 현실
1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 186
2 아시아 각국의 노벨상 수상자 188
3 GDP 대비 연구개발비 및 기초연구비 비중 192
4 세계 최초의 발견을 위한 창의성 개발 197
5 노벨상 수상의 문제점 및 대책 203
6 한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 가능성 215
맺는말 220
참고문헌 224
부록 231